(위 이미지에 사용된 코드는 예시로, 실제 작동하는 코드가 아닙니다.)
4. 설정창 중간 부분에 위치한 '액션스크립트' 영역에 원하는 데이터 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코드를 입력합니다.
여기서 잠깐!, "액션스크립트"란 무엇일까요?
이 사례에 빗대어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방금 추출한 리스트 정보를 하나씩 클릭하고, 그 후에 나타나는 상세 내용 정보를 수집해줘!” 와 같은 요청을 컴퓨터 언어(=코드)로 작성한 것입니다.
예를들어, 웹페이지의 URL을 집 주소로 비유해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리스틀리와 같은 웹스크래핑 봇들은 이 '집 주소'만 가지고 웹페이지에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데요. 특정 요소를 클릭했을 때 보이는 상세 데이터와 같은 경우는 집 안에 있는 수 많은 서랍 중, 특정 행동을 했을 때(=클릭) 열리는 서랍 속의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당연히 집주소(URL)만으로는 정확한 데이터의 위치를 알수가 없기 때문에 "무슨 액션을 하고, 어떤 위치의 정보를 가져와!" 하는 추가적인 코드가 필요한 것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