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 해 동안 아트선재센터에 보내주신 많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We want to extend our heartfelt gratitude to each one of you for an incredible year of support and engagement. Happy New Year! |
|
|
현재 전시
Current Exhibitions |
|
|
사진: 남서원. Photo: Seowon Nam.
|
|
|
주황빛 벽에 설치된 <더듬기>(2024)는 차갑고 단단한 석상을 숯으로 더듬으며 작가들이 미륵을 만지고 느꼈던 경험을 전달합니다. 이는 소외된 풍경과 조각에 대한 감각적 접속을 불러일으키며, 일상에서 잊힌 미술의 존재감을 재발견하게 합니다. 이어지는 영상 작업 <쓰레기와 춤을>(2024)은 먼지와 쓰레기들이 폐허 속에서 춤추는 모습을 담아내며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먼지 속에서 자연과 조화롭게 존재하는 새로운 관계를 환기시키며, 우리에게 함께 존재함의 의미를 묻습니다.
ikkibawiKrrr: Rocks Living in Rewind
Space 2, Art Sonje Center
Rock n’ Feel (2024) shares the experiences encountered by the artists while running their hands over Maitreya as they used charcoal to feel a cold, solid statue. This approach elicits a sensory connection with an alienated landscape and sculpture, allowing for the rediscovery of the forgotten presence of art in life. The exhibition also presents a video work entitled Dances with Trash (2024), shows dust and pieces of garbage dancing in ruins untouched by human hands. In that untouched dust, it shows a new relationship of harmony with nature, while posing questions to us about the meaning of coexistence.
|
|
|
사진: 아인아 아카이브. Photo: Ahina Archive.
|
|
|
언두 플래닛
《언두 플래닛》은 3개의 주제로 구성됩니다. '커뮤니티'는 협업과 공존에 관해 이야기하며, ‘비인간’은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지구상에 서식하는 동식물과 같이 인간이 아니지만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을 다룬 작업들을 소개합니다. 나아가 '대지 미술'은 1970–80년대 생태와 환경에 대한 미학적, 과학적, 참여적 도전을 수행했던 작가들의 활동을 작품과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습니다.
Undo Planet
The Ground, Space 1, Art Sonje Center
Showcasing a total of 17 artists/teams, Undo Planet is structured around three key themes. “Community” features works of artists who collaborated and engaged with the. “Non-human” presents the works of artists who move beyond human-centered perspectives, shedding light on the intricate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imals, plants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Land Art" examines the activities and archive materials of artists who took on aesthetic, scientific, and participatory challenges towards ecology and the environment in the 1970s and 1980s.
|
|
|
언두 플래닛 도록
Undo Planet Catalogue |
|
|
《언두 플래닛》 도록에는 전시를 기획한 김선정, 김지나가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을 공유하는 글과 참여 작가 및 작품에 대한 소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와 함께 1968년 『아트포럼』에 발표된 로버트 스미스슨의 「사유의 퇴적: 대지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대지미술에 관한 심도 있는 미술사적 이해를 돕고자 했습니다.
Undo Planet includes essays by two curators Sunjung Kim and Jina Kim, sharing exhibition making process, along with introductions to the artists and their works. Additionally, it features Robert Simthson’s essay A Sedimentation of the Mind: Earth Projects, originally published in Artforum in 1968. |
|
|
사유의 퇴적: 대지 프로젝트 강연자: 리사 르 푀브르 일시: 2025. 1. 16. (목) 19:00
《언두 플래닛》에는 대지미술의 선구적인 작업, 로버트 스미스슨의 〈나선형 방파제〉와 낸시 홀트의 〈태양 터널〉이 제작되는 과정과 현장을 기록한 영상 작업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전시와 연계해 마련한 홀트/스미스슨 재단 디렉터 리사 르 푀브르의 온라인 강연은 낸시 홀트와 로버트 스미스슨의 실험적이었던 대지미술 작업을 다양한 아카이빙 기록과 함께 소개합니다.
A Sedimentation of the Mind: Earth Projects Lecturer: Lisa Le Feuvre Dates: Thu, Jan 16, 2025 at 19:00
The Undo Planet showcases an exceptional collection of video works documenting the creation and sites of two landmark land art projects: Robert Smithson’s Spiral Jetty and Nancy Holt’s Sun Tunnels. Complementing the exhibition, Lisa Le Feuvre, Executive Director of the Holt/Smithson Foundation, presents an insightful online lecture. The lecture highlights Holt and Smithson’s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rough extensive archival materials, off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transformative contributions to land art.
|
|
|
도슨트 전시해설
Docent-guided Tours |
|
|
아트선재센터 도슨트의 전시해설은 도슨트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에듀케이터와 큐레이터의 교육을 거쳐 진행됩니다. 관객과 소통하는 도슨트의 전시해설로 여러 작가들의 작업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시간을 만들어보세요.
2024. 12. 3. – 2025. 1. 26.
화요일–일요일 14:00, 16:00
*현장 접수로 진행됩니다.
|
Gain insight into the exhibitions through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docents, who have undergone comprehensive training with educators and curators at Art Sonje Center. Listen to these docents to deepen your understanding.
December 3, 2024 – January 26, 2025 Tuesday–Sunday 14:00, 16:00
* Please note that Docent-guided Tours will be conducted only in Korean. |
|
|
아트선재센터 Art Sonje Center
press@artsonje.org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3길 87
8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