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가격그래프 
RPSREC & RE100REC
평균 가격 비교
SMP+RPSREC
국내 배출권 가격
녹색프리미엄 경매 결과
 정책  | 봄철 전력수급 특별 대책 마련
올봄 역대 최저 전력수요가 전망됨에 따라 정부가 봄철 전력수급 특별 대책을 마련했다. 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수립해 작년보다 1주일 확대한 총 72일간 운영 예정이다. ▲주요 발전기 정비 일정 조정 ▲미세먼지 저감을 고려한 석탄 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등의 안정화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자세히보기>
 동향  | 2024년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24.2.20.)
에너지 신산업 분야(제로에너지빌딩, 전력저장장치 등)의 초기 시장 조성 및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이 발표됐다. 시설 및 운전자금을 포함해 총 50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에너지자립섬 ▲기타 에너지 신사업(ESS,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사업 등)이 세부지원 대상사업이다. <자세히보기>
 정책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정책: 태양광, 풍력, 수소
독일 정부의 '에너지구상(Energy Concept)’은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2030년 30%, 2050년 60%가 달성 목표이다. 2022년 4월 채택된 에너지종합대책에 따라 2030년까지 태양광 215GW, 육상풍력 115GW, 해상풍력 30GW, 그린수소 5GW 확대 목표이다. <자세히보기>
 동향  | IEA, 2023년 이산화탄소 배출 보고서 발표
올해 3월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2023년 이산화탄소 배출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원에 의한 글로벌 이산화탄소 배출은 작년보다 1.1% 증가한 4억 1천만 톤으로 약 65%가 석탄에 의해 증가했다. 2023년 탄소배출은 증가했지만, 세계 GDP 증가율 3%보다는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친환경 에너지가 탄소배출 감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았다. 선진국의 탄소 배출이 50년 전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전력 부문에서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이 전체 발전원의 50%를 차지, 석탄은 17%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보기>
[PPA 제도적 검토] PPA제도 현황과 활성화 필요성
법무법인(유)세종 이상현 프로젝트에너지그룹장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 중립 달성은 이미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산업통상자원부가 PPA를 한국형 RE100(재생에너지 100%) 이행 수단 중의 하나로 정한 후, 2021년 6월 제3자PPA가, 2022년 9월에는 직접PPA가 허용되었고, 올해 5월에는 전기사업법이 개정되어 ESS를 이용하여 재생에너지전기저장판매를 하는 사업자도 PPA를 통해 전기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자세히보기>

[국내외 PPA 현황 비교] 국내외 PPA제도 비교 및 시사점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이창훈 사무국장

전 세계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100%로 사용하고자 하는 RE100 캠페인이 확산되면서 그 이행수단의 하나로 ‘PPA(Power Purchase Agreement)’가 점차 주목받고 있다. PPA는 장기계약을 통해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실질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어 글로벌 RE100 시장에서의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자세히보기>

RE100 가입 동향('24.3.29. 현재)  
🔋 글로벌 RE100 참여 기업 총 428개(*2월 동일)
RE100 News

SK에코플랜트, 이집트 재생에너지로 그린수소 만든다 | 일렉트릭파워 | 2024.02.29

SK에코플랜트는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C)를 비롯한 이집트신재생에너지청(NREA)·국영송전회사(EETC)·수에즈운하경제구역(SCZONE)·국부펀드(TSFE) 등 주요 정부기관과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및 그린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RE100 달성 2500억 규모 ‘재생에너지펀드’ 운용 본격화 | 전기신문 | 2024.03.05

정부는 2500억 규모 ‘기업재생에너지펀드’ 운용 본격화를 통해 녹색프리미엄제도 추가성 확보 및 PPA 기업 부담으로 작용하던 망 사용료 지원범위를 대기업까지 확대할 예정임


한-뉴질랜드, 재생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한다 | 에너지신문 | 2024.03.05

뉴질랜드의 풍부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Active Investor Plus)와 같은 정책이 주목받으며 한국 기업과의 활발한 협업 및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를 도모함


‘REC가격은 오르고, 재생에너지 발전율 겨우 9%…속타는 기업들 | 머니투데이 | 2024.03.17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탄소감축을 요구받는 강도가 점점 높아지는 반면 RE100에 대한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으므로, 현실적인 대안으로 CFE를 추구해야 함


Biden’s DOE Announces $366 Million for Green Energy Projects in Rural and Remote Areas | Eco-Watch | 2024.02.27

바이든 행정부는 높은 에너지 요금 완화 및 안정성 개선 위해 미 시골 지역 17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약 3억 6천만 달러의 자금 제공을 발표, 위 프로젝트 통해 전반적으로 더 저렴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 창출 및 가정 에너지 요금 절감, 지역사회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함


U.S. DOE Invests $44 Million to Advance a Clean, Reliable Electric Grid | Clean Technica | 2024.03.20

미 에너지부는 풍력과 태양 에너지로 운영되는 깨끗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발전을 위해 3,400만 달러를 지원할 11개 프로젝트 선정을 발표, 청정에너지와 전력망의 상호 연결을 간소화하기 위한 1,000만 달러의 새로운 자금 지원 기회도 발표함

  
RE100 민간추진파트너십에 가입하세요!👍 
  • 가입혜택1 RE100 관련 국내외 정책 이슈 및 동향을 담은 월간 레터 발송
  • 가입혜택2 파트너십 회원사 대상, RE100 제도에 대한 의견수렴 및 정책제안을 위한 간담회 초청
  • 가입혜택3 글로벌 RE100(EP100, EV100) 및 한국형 RE100가입 및 이행전략 수립 지원

🔔info@climatechangecenter.kr을 주소록에 추가하세요.

메일이 스팸함에 빠지지 않습니다.

"월 만원으로 기후영웅이 되어주세요. 폐비닐재생화분을 드립니다"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901-949649

(재)기후변화센터
info@climatechangecenter.kr
03127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190, 701호 02-766-4351
ⓒ기후변화센터ㅣ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