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학생들의 비율은 어느 정도 되나요?
보통 20%~30%가 비 유럽권 학생이에요. 라틴 글꼴 디자인을 가르치기 때문에 인도, 아프리카, CJK 등 매년 다양한 문자권 유학생들이 있어요. 학부 시절 동기였던 ‘노은유’ 디자이너와 친했습니다.
💬 비 라틴권 유학생의 경우는 라틴권의 학생과 달리 각 나라의 문자를 포함시키게 되는지?
Type and Media는 라틴 글꼴 디자인에 집중되어 있어요. 비 라틴권 학생들의 경우에 각국의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졸업 요건은 아니에요. 유럽권의 학생들도 다국어 글꼴(Multi-script)에 욕심이 많기 때문에, 그리스, 키릴 문자를 포함해서 도전하는 학생들이 있지만 선택 사항이에요. 라틴 글꼴 결과물로 졸업하고, 이후에 각 나라의 문자를 추가하여 완성합니다. ‘노은유’, ‘이노을’ 디자이너도 한글은 졸업 이후에 완성했어요.
💬 멀티 스크립트에 대해 따로 강의를 진행하나요?
다들 멀티스크립트에 대한 관심이 다들 많아요. CJK, 키릴, 아랍, 그리스 문자 등 여러 문화권에서의 유학생이 다양하게 있고, 학교에서도 해당 문자권에 대한 워크샵이 많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저는 함민주 디자이너와 한글을 그려 보는 워크샵을 진행한 적이 있어요. 다양한 문자권의 디자이너들을 초빙해서 워크샵을 통해 학생들에게 멀티 스크립트의 경험을 시켜줍니다. 물론, 한정된 시간에 모든 것을 배울 순 없고 관심이 있다면 졸업 후 따로 멀티 스크립트에 대해 공부해야 합니다.
💬 왕립학교(KABK)에서 학부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먼저 어떤 강의를 진행하고 계시는지 궁금해요.
2~3학년이 같이 수강할 수 있는 선택 과목으로 그래픽 디자인을 실무적으로 배울 수 있게 강의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외부 클라이언트에게 업무를 받아 작업을 진행해요. 실제 영화제 포스터 제작, 헤이그 극장 아이덴티티 작업 등을 진행했습니다. 교육 차원에서 학교 외부 실무 과정을 주로 다룹니다. 학생들에게 외부 파트너와 소통하는 방법, 리서치를 하고 콘셉트를 세우는 법, 클라이언트를 설득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준비, 그룹으로 작업하고 디자인을 돕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클라이언트와 소통하고 관계를 유지하는 것 또한 디자이너가 배워야 할 기본적인 소양이니까요.
💬 글꼴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자유롭게 글꼴 그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글꼴의 형태가 만들어진 배경과 기능에 깊은 의미를 둬요. 글꼴은 문화와 사상을 담고, 수 세기 동안 진화하며 책이나 다른 매체를 통해 다음 세대를 위해 문명의 지식을 보존해 왔어요. 각자의 문화가 멸종하는 걸 막고 기록하는 기능적인 도구죠. 글꼴 디자이너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스케치하고 다양한 형태의 글꼴을 그리면서 흥미를 느끼지만, 중요한 건 이 작업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가예요. 저는 원래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지만, 폴란드에서 자랐어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할 줄 알지만, 키릴 문자를 읽고 쓰게 된 건 비록 몇 년 전 일이에요. 이제는 기능적 역할을 고려하여 항상 우크라이나 키릴 문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라틴 글꼴 디자이너의 눈으로 본 한국의 타이포그래피는 어떤가요?
한글은 학부 시절 디자이너 ‘노은유’ 님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훈민정음이었는데, 처음 본 한글은 글자가 맞나 싶을 정도로 정말 단순하게 생겨서 재미있었습니다. 글자 형태가 동그라미, 네모, 선들로 이루어져 단순하고 신기했어요. 하지만 한글의 탄생한 배경을 듣고 나서는 이 형태가 너무나 잘 디자인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처음 만들어진 한글 형태가 부리가 아닌 민부리인 점도 재밌었어요. 한자를 사용하던 시절, 모든 계층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고자 한 아이디어가 멋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면에, 처음 한국을 방문했을 때, 역사적 장소에는 대부분 한자를 사용한 것이 신기했습니다. 소백산에 다녀왔는데 정상에는 한자가 적혀 있었습니다. 한글 창제 이후 한자의 사용이 없어졌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한국의 옛날 타이포그래피는 한자가 차지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한글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보다 훨씬 후에야 보편적인 문자로 사용된 것이 신기했어요.
💬 마지막으로, 한글 디자이너들은 한글을 만들면서도 그에 어울리는 로마자도 한 벌 디자인하는게 보통인데요, 혹시 도움이 될만한 강의가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vimeo.com/820154357 - Accent in type design, Aleksandra Samuļenkova
https://vimeo.com/223640811 - W. A. Dwiggins: The Experimental Type Designs with Bruce Kennett
https://vimeo.com/188312436 - Text and Type, Tobias Frere Jones
https://vimeo.com/344106339 - The Cube: practical research in theoretical models. with Erik van Blokland
https://vimeo.com/359605373 – The Designer’s Role with Matthew Carter
https://vimeo.com/354062747 - James Edmonds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