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랩 17.9 출시, n8n Korea 첫 자동화 밋업 후기, 개발 생산성 ↑ Git 필수 명령어 조직을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만드는 첫 번째 요소는 모든 곳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건데요. 가장 중요한 건 새로운 아이디어를 포용하는 수용성이라고 하죠.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에 나오는 이야기인데요. 창의성과 혁신성을 강화하는 기폭제로써 수용성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인포레터를 시작합니다. ☀️ |
|
|
* 매달 넷째 주 월요일, GitLab 최신 기능 정보와 DevOps 읽을거리를 소개합니다. |
|
|
- GitLab 17.9 업데이트 - 병렬 배포로 여러 Page 사이트 실행, 워크스페이스 컨테이너 지원
- n8n Korea 첫 번째 밋업 '팀을 위한 자동화' 현장 공개(feat. 링크드인 커뮤니티)
- 개발 속도와 협업 효율 향상! 필수 Git 명령어 10가지 알아보기
|
|
|
인포그랩이 지난 2월 14일 n8n Korea 커뮤니티의 첫 번째 밋업 ‘팀을 위한 자동화’를 성황리에 열었습니다. n8n은 AI 기반 워크플로 자동화 도구인데요. 이날 밋업에서는 인포그랩 DevOps 컨설턴트와 소프트웨어·DevOps 엔지니어들이 n8n을 활용한 다양한 업무 자동화 사례를 발표했고요. n8n + Slack 기반 사내 데일리 스탠드업 봇, 팀 지식 공유 허브 구축 방법을 데모와 함께 선보였습니다. 누구나 영상을 보고 따라 할 수 있도록 n8n 활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했어요.
참가자들의 관심과 호응도 높았습니다. n8n이 요즘 핫한 도구이고, IT 업계에는 자동화에 열정 있는 분이 많아 밋업 신청 단계부터 행사 끝까지 질문이 끊이지 않았죠. 최근 인포그랩은 링크드인에 n8n Korea - 워크플로 자동화 커뮤니티도 개설했는데요. 이번 밋업 전체 영상은 이 커뮤니티에 단독 공개합니다! 인포그랩은 앞으로 다양한 n8n 활용 꿀팁과 자동화 템플릿을 커뮤니티에 공유할 거고요. n8n Korea 커뮤니티 밋업도 매달 셋째 주에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밋업의 발표 내용과 자세한 현장 후기를 소개합니다. |
|
|
* GitLab 최신 버전 릴리즈 소식입니다. |
|
|
GitLab Duo 셀프 호스팅 GA 버전, 병렬 배포 기반 여러 Page 사이트 실행 기능, Sysbox 기반 워크스페이스 컨테이너 지원 기능, Value Stream Analytics에서 추적하는 이벤트, 취약점 위험 데이터 지원, UI 기반 DAST 스캔 구성 기능이 업데이트됐습니다! |
|
|
병렬 배포로 여러 버전의 GitLab Pages 사이트를 동시에 만들 수 있어요. 이 기능은 디자인 변경 사항 또는 콘텐츠 업데이트를 미리 보거나, 개발 중 사이트 변경 사항을 테스트하고, Merge request(MR)에서 변경 사항을 리뷰하며, 여러 사이트 버전을 유지 관리할 때 유용해요. 병렬 배포는 저장 공간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24시간 뒤에 만료됩니다. 그러나 이 기간을 맞춤 설정하거나 배포가 만료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 MR이 merge 되거나 종료되면 MR에서 생성된 병렬 배포는 삭제됩니다. |
|
|
이제 GitLab 워크스페이스가 개발 환경에서 직접 컨테이너를 빌드하고 실행하도록 지원해요. 워크스페이스가 Sysbox로 구성된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실행될 때, 추가 구성없이 컨테이너를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어요. 이 기능은 GitLab 워크스페이스 환경에서 전체 컨테이너 워크플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돼요. Sysbox는 컨테이너 격리를 개선하고, 컨테이너가 가상 머신(VM)과 동일한 워크로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입니다. |
|
|
* 인포그랩이 직접 제작한 DevOps 아티클입니다. |
|
|
Git은 전 세계 개발자가 널리 사용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프로젝트 개발, 협업 시 코드를 수정하거나 파일을 추가, 삭제할 때 Git으로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저장할 수 있죠. Git은 개발팀 협업을 원활하게 하고, 코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수입니다. 그러나 git commit과 git push만 반복하는 건 Git의 강력한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데요. 이 글에서는 효율적인 개발과 협업을 위해 꼭 알아야 할 Git 명령어를 정리했습니다.
git rebase -i로 커밋 내역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git reflog를 사용하면 HEAD 포인터의 이동을 자세히 추적할 수 있죠. git worktree로 브랜치 전환 없이 동시 작업할 수 있고요. git bisect를 활용해 특정 커밋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git bundle로 리포지터리 전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해 백업, 복원할 수 있죠. 이밖에 개발 생산성과 협업 효과를 극대화하는 Git 명령어와 활용법을 더 알아보세요. |
|
|
* 인포그랩이 엄선한 글로벌 IT 기업·전문가의 DevOps 콘텐츠입니다. |
|
|
- RAG 개념
- LLM과 외부 데이터 소스 결합해 정확하고 유용한 응답 생성
- RAG 챗봇은 텍스트 문서, 웹 페이지,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비정형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지식 그래프 등 정형 데이터 포함한 여러 소스의 정보에 액세스, 처리
- 사용자 경험 개인화, 최신 정보 상태 유지, 내부 문서 기반해 응답
- RAG 챗봇 사례
- 내부 지식 기반 챗봇: 기업 내부 지식베이스와 연동 → 질의응답 자동화
- API 문서 챗봇: API 문서와 코드 예제 검색 → 개발 질문에 답변
- 금융 분석 챗봇: 금융 질문 관련 데이터 검색 → 통찰력 있는 분석, 위험 평가, 투자 추천
- n8n으로 RAG 챗봇 구축 방법:
- 데이터 소스와 콘텐츠 추출 설정 → 임베딩 생성 → 문서와 임베딩을 Pinecone 벡터 스토어에 저장 → 핵심 챗봇 로직 구축 → 벡터 스토어 도구로 정보 검색 → 챗봇 테스트
|
|
|
이번 인포레터는 어떠셨나요?
인포레터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언제든 환영합니다.🙂 |
|
|
DevOps와 GitLab, Mattermost, Teleport, n8n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지금 인포그랩에 ✉️문의하세요.🚀 |
|
|
인포그랩 인포레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로101번길 17, 초림프라자 511-512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