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징징대는 글을 쓰는 걸 가장 싫어하는데요, 가슴에 대한 글을 쓸 때마다 제가 그러고 있는 것 같아 싫은 기분이 듭니다. 내가 여성이라는 것이, 왕가슴을 가졌다는 것이 징징댈 만한 일이라도 되는 것처럼, 그런 글은 쓰고 싶지는 않아요. 그저 웃기고 싶었습니다. 왕가슴 이야기가 재밌을 줄 알았어요. 그런데 소재가 점점 고갈되는 것 같고, 중도를 잡고 쓰기도 이렇게나 어려운 일이었네요. 글쓰기는 왜 이렇게 늘 어려운 것인지.

특히나 한국 여성들에게 신체는 가장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것으로 치부되어 왔기 때문인지 너무나도 한국 여성으로 자라온 저에게 이것을 내놓고 이야기하는 게 점점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여러 부담을 안고 계속해서 이 주제의 글을 연재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일단 이 글이 재미있기는 한지. 특히 소중한 몇 없는 남성 독자들에게 제 글이 너무 과하게 느껴지진 않을지 걱정이 큽니다. 실제로 남성 독자들의 감상평을 단 한 번도 듣지 못해 짧은 답장으로라도 뭔가를 남겨준다면 참 고맙겠습니다.

요즘은 소설을 열심히 써서인지, 유튜브 영상을 많이 만들어서인지 이 편지까지 쓰다 보니 자꾸 고갈되는 느낌입니다. 쓰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지속하고 싶어요.

용기를 주세요. 오늘도 고맙습니다.

중학생 때 나는 남자애들의 시선을 과하게 의식하고, 두려워했다.


한번은 15살 때 어떤 남자애가 “너 아줌마 같애”라고 말했고, 고작 그 말 한마디에 세상이 무너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앞머리 없이 똥머리를 묶고 다니던 나에게 닌자 같다고 말했던 상민이(아, 난 이 애를 너무 미워하고 한편 좋아해서 아직까지 이 애의 이름을 잊지 못한다) 말에 나는 심지어 왕 울어 버렸고 그 사건 때문에 다른 여자애들이 나를 그 애 앞으로 끌고 가 기어이 그 애의 사과를 받아냈다.

그때 그 여자애들의 사과 소동 때문에 나는 그날을 더 잊을 수 없게 되었다. 남자애들이 나를 막 대하는 것보다 더 싫었던 건 그 사실을 여자애들이 다 알게 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남자애들 몇 명에게 사랑받느냐에 따라 여자애의 가치가 매겨지던 그런 시기가 있었다.

기본적으로 나는 사랑 받고 싶었고, 최선을 다해 노력했으나 그게 잘 안됐다. 실패를 직시할 때마다, 내 외모와 모든 요소에 대한 실망감이 쌓일 때마다, 나는 하루하루 좌절했다.

 

“너 아줌마 같애”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나는 사실 무덤덤했다. 조폭마누라, 왕만두 같은 지루한 별명들만큼이나 아줌마도 그저 그런 고유명사에 불과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데 그 뒤 남자애는 몇 번이나 더 나를 아줌마 같다고 말했고, 나는 점점 그 애의 진지한 태도가 신경 쓰였다. “너 진~짜 아줌마 같애.” 그 애는 심각하게 나의 어떤 지점을 ‘아줌마’ 같다고 말하고 있었다. 그 말을 수도 없이 반복하며 나의 아줌마성을 기어이 찾아내 없애 버리길 강조하고 있었다.

 

‘아줌마’라는 호칭에 대해 생각하다 보니 또 한 가지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고등학생 때 같은 반 여자애 K와 함께 버스를 타고 어딘가로 향하고 있었다. K는 버스에 서 있었고, 나는 앉아 있었는데 그녀는 버스를 타고 가는 내내 자기 친구와 시끄럽게 전화 통화를 했다. 그러자 버스에 앉아 있던 한 아저씨가 큰 소리로 K에게 고함을 쳤다.

“거 아줌마 조용히 좀 합시다.”

K는 분명 교복을 입고 있었고, 자리에 앉아 있던 아저씨는 K가 학생이라는 걸 인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를 아줌마라고 불렀다. 성인이든, 미성년이든 여성에게 아줌마라는 호칭이 얼마나 모욕적인지 그 아저씨는 잘 알고 있었다.

 

남자애의 “아줌마 같다”는 말이 서너 번쯤 반복되었을 때, 나는 나의 아줌마성을 찾아 제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기 시작했다. 그 애가 나를 아줌마 같다고 말했던 순간을 복기하며 당시 내 행동이나 외모의 공통점을 찾아보려고 애썼던 것이다. 내가 교실에서 큰 소리로 말할 때? 머리를 아래로 묶고 있을 때? 얼굴이 조금 부어 있을 때? 그도 아니면 그 초록 가디건을 입었을 때?

 

나는 그 꽉 끼는 초록 가디건을 입었을 때 내 가슴이 커 보인다는 사실을 뒤늦게 학생주임 교사 때문에 알게 되었다. 주임교사는 내가 그 가디건을 입을 때마다 “그거 벗어”라고 꽤 강한 어조로 말하곤 했다. 나는 모범생이었으므로 그녀의 말을 순순히 들을 수도 있었겠으나 가디건을 벗으라는 그녀의 요구는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아 내 멋대로 계속 입고 다녔다. 하루는 복도 저 끝에서 주임교사가 나를 가리키더니 복도가 쩌렁쩌렁 울리도록 고함을 치는 게 아닌가.

“내가 그거 입지 말랬지.”

아마도 주임교사는 내가 자기 말을 듣지 않아서 지나치게 흥분한 모양이었다. 그녀는 내게 달려와 공격적으로 가디건을 벗겨 가져갔고, 한 달 뒤에 찾으러 오라고 말했다.

한 달 뒤에 나는 그녀에게 가디건을 받으러 가 용기를 내 물었다.

“이거 왜 입지 말라고 하신 거예요?”

“부담스러워”

주임교사는 최대한 감정을 절제하고 친절한 표정을 지으며 말했다. 하지만 그녀의 시선은 내 가슴에 닿아 있었다.

 

어쩌면 그 남자애가 내 큰 가슴 때문에 나를 아줌마 같다고 생각하는지 몰랐다.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는 아직도 미지수이지만 그 가능성은 중학생인 나를 슬프게 했다.

 

우리 엄마는 나보다 가슴이 훨씬 크다. 엄마의 가슴은 젖꼭지가 유난히 크고 까맸다. 가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이 젖꼭지였을 정도다. 엄마의 가슴은 축 늘어져 있어서 푸딩이나 천사점토를 흉부에 붙여 놓은 것처럼 보였다. 나에게 엄마의 가슴은 아줌마의 가슴이었다. 엄마의 커다란 가슴 때문에 엄마는 더더욱 아줌마처럼 보였고, 나는 최대한 엄마와 달라지고 싶었다. 아줌마가 되기 싫었다. 그 무렵 나는 엄마만큼이나 가슴이 주체할 수 없이 커져가고 있었다. 나는 내 아줌마 같은 가슴을 가리기 위해 숨이 안 쉬어질 듯 몸에 꽉 끼는 브레지어를 입기 시작했다.

 

나는 3학년이 되었고, 초록 가디건을 목에 둘러 하복 셔츠 때문에 노골적으로 드러난 내 가슴 부위를 가리는 데에 사용하게 되었다. 다른 반이 된, 나를 아줌마라고 불렀던 그 남자애는 복도에서 나를 마주쳐도 아는 척 한번 하지 않고 지나쳐 사라졌다.

  
2023. 11. 22 
살살씀
살살쓴편지는 무료 메일링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담은 후원은 받고 있습니다.
100214-06-28669 (우리은행)으로
1원 이상 자유로운 후원이 가능합니다.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살살쓴편지는 제 대나무 숲 같은 공간인데
여러분에게도 필요할까 싶어 내어드립니다. 
아무거나 막 털어놓고 싶은 거 있음 답장 보내세요!
익명이니 안심하시구요🤐
과거의 편지도 읽어주세요.
글의 일부를 인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혀주시거나, 인스타그램 @y_j_choiii 계정을 태그해 주세요.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