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M-Micro Newsletter(12월 중순)
KCLM 2024 제 3회 국제 생활관의학 콘퍼런스 Full Program 영상 안내
 총 40여명 스피커, 11시간, 26개 강의 세션 포함 
 10 CME(Continuing Medical Education) 평점 취득 및 수료증 수여
- 국제생활습관의학 보드자격증 유지 프로그램(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인정
KCLM 2024 제 3회 국제 생활관의학 콘퍼런스 발표 관련 논문(samples)
Salutogenesis: The Defining Concept for a New Healthcare System(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014)

"이 논문에서는 발표된 데이터와 수많은 과학자, 의료진, 환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업데이트 및 확장된 버전의 OHE(Optimal Healing Environment 최적의 치유환경) 정의를 소개합니다. 의료 분야에서 치유와 웰빙을 만들어내는 기본 원칙으로서 '살루토제네시스(Salutogenesis)'의 개념을 전면에 내세우고, 각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된 접근법의 임상적, 경제적 결과의 예를 통해 OHE의 영역을 더욱 명확히 설명합니다.

이렇게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살루토제네시스는 현재와 미래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의료 접근법을 개발하는 토대가 됩니다. OHE는 의료 환경에서 살루토제네시스를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포괄적이며 질병 치료에서 건강 창출로 전환하려는 다른 많은 모델을 매핑하고 활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중심 의료 가정이나 P4 Medicine과 같은 다른 프레임워크보다 선호합니다. 예를 들어, 이 프레임워크는 군의 토탈 포스 피트니스, 환자 중심 의료 가정, 개인 중심 진료, 기업 부문의 최적 건강 작업장, 국가 예방 전략 등 전체 시스템 건강 창출을 위한 여러 다른 프레임워크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었습니다."

Chapter 37 The Application of Salutogenesis in Hospitals(The Handbook of Salutogenesis [Internet]. 2nd edition., 2022)
Dementia prevention, intervention, and care: 2024 report of the Lancet standing Commission Livingston(The Lancet, 2024)
세계적으로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커다란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치매를 일정부분 (대략 45%)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대두되었고, 치매 발생률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14개 핵심 위험요인과 권고 사항이 있습니다. 양질의 교육과 중년기 이후의 인지 자극 활동은 치매 예방의 핵심입니다.

(1) 교육을 통한 인지 능력 강화는 신경 가소성을 촉진해 치매 발병을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습니다.

(2) 보청기 사용과 소음 노출 감소가 강조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청력 손실이 있는 사람들은 인지 자극 부족과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치매 위험이 최대 1.9배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고혈압 관리로 뇌 혈류를 유지해야 합니다. 수축기 혈압을 130mmHg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4) 금연은 치매 위험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개인적 노력 중 하나입니다. 흡연은 뇌 혈관 건강을 심각하게 저해합니다.

(5) 체중을 적절히 관리하고 생애중기에는 비만을 치료해야 합니다. 그러나, 노령기에는 체중을 유지하고 노쇠를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6) 당뇨병 관리는 혈당 수치를 조절하고 뇌혈관 손상을 예방합니다.

(7) 정기적인 사회적 활동과 교류는 우울증과 인지 저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8) 우울증은 중년과 노년기 모두에서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9)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뇌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적절한 음주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10) 머리 외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장비를 사용하고, 안전한 스포츠 관행을 유지해야 합니다.

(11) 시력 검진과 적절한 시력 교정이 필수적입니다. 시력 저하는 인지적 자극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2) 중년기 이후 고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13) 공기오염: 공기 질 개선은 대규모 환경 정책과 개인적 보호 조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14)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혈관건강을 유지하고 신경성장인자를 증가시켜 치매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치매 예방의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교육, 보건 서비스 접근성 확대, 청력 보호 장비 보급, 사회적 활동 프로그램 지원 등 공공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공기 오염 감소와 같은 환경 정책은 국가적 차원의 대책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Effects of Patient-Driven Lifestyle Modification Using Intermittently Scann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Randomized Open-label PDF Study(Diabetes Care, 2022)

"이 연구에서는  식후 포도당을 보고 건강에 해로운 음식에 대한 자기 평가(SEOUL) 알고리즘을 통하여 식습관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춘 생활습관 수정에 동기를 부여하는 isCGM을 사용했으며, 집중 인슐린 요법을 사용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대한 이러한 환자 주도형 생활습관 수정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결론
"주로 식습관에 초점을 맞춘 환자 주도형 생활습관 교정을 통해 T2D 환자의 HbA1c 수치를 효과적으로 낮췄습니다."
PAVING the Path to Wellnes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Lifestyle Medicine Education and Group Interventions (Education in lifestyle Medicine, 2021)
"웰니스로 가는 길은 12가지 핵심 주제에 초점을 맞춘 혁신적인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생활습관 변화를 추구하고 건강과 웰니스를 최적화하도록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건강의 길 개척 프로그램은 유방암 재발 위험을 낮추고 삶의 질을 개선하며 유방암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입증된 생활습관 중재에 대한 증거 기반 권장 사항을 참가자들에게 제공하는 성공적인 생존자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An Exercise-Induced Metabolic Shield in Distant Organs Blocks Cancer Progression and Metastatic Dissemination
(Cancer Research, 2022)
"여기서 우리는 운동이 내부 장기의 대사 재프로그래밍을 유도하여 영양소 수요를 증가시키고 종양에 대한 영양소 가용성을 제한하여 운동 유발 대사 보호막을 생성함으로써 전이성 클로닝화를 방지한다고 보고합니다.
처음에 암이 없었던 대규모 인간 코호트를 대상으로 한 20년간의 전향적 연구에서 얻은 역학 데이터에 따르면 암 발병 전 운동은 전이성이 낮은 단계의 암 발생에는 약간의 영향을 미치지만, 전이성이 높은 암 발생 가능성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mmunity-Engaged Lifestyle Medicine as a Framework for Health Equity: Principles for Lifestyle Medicine in Low-Resource Settings(State of The Art Reviews, 2019)
"흡연과 음주, 영양 부족, 비신체활동 등 생활습관 위험요인은 실제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저소득층과 취약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근본적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빈곤, 사회적 관계, 식량 접근성, 건축 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 이러한 '건강에 해로운 생활습관'에 노출되면 건강 결과의 격차가 지속되고, 소수 취약 계층의 건강하고 생산적인 삶을 빼앗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Temporal trends in the burden of non communicable diseases in countries with the highest malaria burden, 1990-2019: Evaluating the double burden of non communicable and communicable diseases in epidemiological transition (Globalization and Health, 2022)
"비전염성 질병과 전염성 질병의 이중 부담은 많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의 보건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고 있으며, 종종 방치되고 있습니다. 질병의 예방, 감시, 통제를 위해서는 정부와 비정부기구가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동참하고 지원하는 통합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4년 6기 국제생활습관의학 보드전문의/전문인 자격증 시험" 성료
- 일시: 2024.12.1(일), OT 오전 8시 30분, 시험 9~13(4H)
- 장소 : 연세암병원 서암강당(B3)
- 등록 64명, 응시 62명
 2025년 7기 보드전문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정 및 시험 등록 2025년 1월 안내 ! 
관심/문의는 office@lifestylemedicinekorea.org로 연락주십시오 
2024년 2회 KCLM 동문회
2025 "Upcoming" KCLM 역서 출간
"포킷 사이즈의 LM 가이드, 국내 출시"
(2025년 1월 출간 예정)

<생활습관의학 포킷 가이드>

- LM 진료, 상담, 코칭, 즉석 사용 등을
용이하게 보조하는 가이드 -

이 책은 의학교육과 동시에 과학적 근거에 중요한 주제들을 개념적으로 결합했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으며, 실제로 모든 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얇은 두께로 영양, 신체활동, 체중 관리, 스트레스 감소, 약물남용 회피, 건강한 수면, 긍정적 인간관계 등의 영역에 대한 관련 근거를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각 장은 가용한 모든 근거를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필수에 해당하는 근거의 틀을 세워줍니다. 임상의 교육의 중요한 영역에서 이 포킷 가이드가 가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자 서문 중에서-

 <포킷 가이드> 목차 

1: 행동변화   필수

2: 신체활동 필수

3: 영양 필수 

4: 수면 필수

5: 스트레스 필수 

6: 사회적 연결 필수

7: 알코올 사용 필수

8: 금연 필수

9: 결론

  2025년 KCLM '1차 역서 역자' 초대
'1차 역서 출간'에 관심이 있는 분은 연락주십시오.
 1) 1차 역서 출간 계획 
1. Lifestyle Psychiatry: Evidence-Based Lifestyle Intervention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2. Lifestyle Nursing
3. Lifestyle Nutrition
4. Empowering Behavior Change in Patients Lifestyle Medicin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예시] <Lifestyle Nutrition> 목차 
1. Lifestyle Nutrition for Physician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2. The Western Diet
3.  Measuring Nutritional Status
4.  Nutrition, Lifestyle Medicine and Chronic Disease
5.  The Role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in Incorporating Healthy Nutrition and other Lifestyle Medicine Concepts
6.  Nutrition and Health Equity
7.  Hunger, Food Insecurity and Malnutrition
8.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20-2025
9.  Nutrition and Inflammation
10. Nutrition and Metabolic Health
11.  Nutrition and Atherosclerosis
12. Nutri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13. Nutrition and Hypertension
 14.  Nutrition and Stroke
15.  Nutrition and Cancer
16.  Nutrition, Cognition and Mental Health
17.  Nutrition and Peripheral Artery Disease
18.  Chronic Kidney Disease
19.  Erectile Dysfunction
20.  Lifestyle Nutrition for Pre-Diabetes
21.  Nutrition for Overweight and Obesity
22.  Nutrition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23.  Osteoporosis 
24.  Nutrition and the Microbiome
25.  Lifestyle Habits and Practices to Reduce Risk Factors for Heart Disease, Diabetes, Obesity, Metabolic Syndrome, Dementia and Cancer
26. Healthy Plant Based Diets: Mediterranean, AHA, DASH, US Healthy Eating Pattern, Vegetarian and Vegan
27. Nutrition for the Elderly
28. Childhood Nutrition
29. Nutrition for Women
30. Nutrition for Physically Active People and Athletes
31. Components of a Healthy Heart Diet
32. Genetics, Epigenetics and Precision Nutrition  
33. Nutrition and Planetary Health
34. Public Policy Support for Healthy Eating
35. Eating for Nutrition for Good Health and to Protect the Planet
 보드시험 특별 자료집 : 국제생활습관의학 보드 전문의/전문인 자격증 시험 준비용
7월 1일 출시
<4차 개정판 보드리뷰매뉴얼 한글판>
☑️ LM 기초역량 학습 기회 : 모든 보건의료제공자 및 관심 있는 개인 또는 그룹 
☑️ LM 역량강화 업데이트 기회 : LM Diplomates 
☑️ KCLM이 직접 인쇄 + 배송으로, 신청에서
매뉴얼 수령까지 최대 3일 가능 ! 
☑️ ACLM 온라인 코스 접속 코드 제공

10명그룹 10%할인
7월 12일 출시
<미래를 여는 헬스케어 솔루션>
모든 의료제공자를 위한 생활습관의학
진료 지침서

의료계에 부는 변화의 바람!
건강과 의학 그리고 생활과 삶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생활습관의학


8월 8일 출시
<빛나는 여성의 웰니스를 위하여>
건강하게 나이들고 싶은
여성을 위한 자기관리 12단계

이 책은 모든 여성, 특히 폐경 전후의 중년 여성들이 생애전환기를 맞아, 새롭게 자신의 최상의 모습과 삶을 소망하고 염원하면서, '웰니스 생활습관'을 선택하고 실천하여, 더욱 풍성하고 아름다운 웰빙과 웰니스 라이프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특별히 기획된 안내서이다.  지난 십여 년간 하버드 의대 부속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어 온 12단계의 '웰니스로 가는 길(PAVING the Path to Wellnes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이 책은 웰빙과 웰니스 라이프의 길잡이가 되어 주는 보물 같은 책이다. - 뒷표지 글 중에서- 
KCLM Book Corner ➔          Yes 24 ➔          알라딘 ➔           교보문고 ➔
KCLM Membership Benefits  
KCLM 콘텐츠에 대해 평생회원(10%), 연간회원(2%) 할인적용(페이빙, 보드리뷰코스 예외)
KCLM Partner/Collaboration/Participation  
KCLM 파트너/협력기관으로 인증한 기관은 홈페이지에 게시됩니다.
12월은 2025년 신년 비전 및 기획 등을 가집니다. 감사합니다. 
기관명 : 대한생활습관의학원
사업자등록번호 : 228-82-70610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 182, 203호
Office Hour : M-F 9~12, 13~16

 문의
 KCLM 의학원 이메일 : office@lifestylemedicinekorea.org

 KCLM 의학원 기획관리국
         황요순 국장(010-2902-9195)
         윤예솜 간사(010-8794-5635, IT 지원)
 KCLM 의학회 사무국
         최정민 국장(010-3291-2354)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