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님들 안녕하세요! 🙌
저희는 스포츠 약학회 소속의 콘텐츠팀 파넥션🔗입니다!
Q : 파넥션은 무슨 뜻인가요?
A : Pharmacy + Connection의 합성어입니다.
#약학과 스포츠의 연결고리🔗
여기에 덧붙여 정보와 정보를 쉽게 연결해서
약사님들께 제공하고자 합니다
#반도핑 #스포츠영양 #컨디셔닝 #스포츠행사및교육 #기타정책사회이슈
* 본 컨텐츠는 PC 버전을 기준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
|
|
|
🔔 Review Quiz
파넥션의 뉴스레터는 지난 주 뉴스레터에 대한 간단한 퀴즈와 함께 시작합니다 😊
정답은 이번 뉴스레터의 마지막 부분에 해설과 함께 준비해 두었으니 꼭 확인해 주세요!
|
|
|
Q. 다음의 치질 연고에 쓰이는 성분 중 혈관수축제로 S6 흥분제 카테고리지만
도핑에 걸리지 않고 2023년부터 모니터링 성분으로 분류된 것은 무엇일까요?
① 페닐에프린 ② 나파졸린 ③ 테트라히드로졸린 |
|
|
💊
[금지약물과 도핑]
삭센다 도핑에 걸릴까요? 위고비는?
|
|
|
🗂 오늘의 파넥션 INDEX
#1 일론머스크의 위고비🚀 vs 전통 강자 삭센다🔥
#2 그래서 위고비, 삭센다는 도핑에 걸릴까?
#3 다른 체중감량약은 도핑에 걸릴까? 클렌부테롤, 식욕억제제, 이뇨제
|
|
|
#1 일론머스크의 위고비🚀 vs 전통 강자 삭센다🔥
|
|
|
안녕하세요, 스포츠약학회 파넥션입니다.
약사님들, 비만약과 도핑의 관계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도핑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오늘은 최근 한국에 입고 되면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위고비와 삭센다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다른 비만약들의 도핑 관련 정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
최근 우리나라 약국에 위고비가 입고되면서
일부 약국은 판매개시일에 문의 전화만 100통을 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위고비는 GLP-1 작용제로 세마글루티드 성분의 주사제입니다.
특히 일론머스크🚀가 자신의 다이어트 비결로
"단식 + Ozempic/Wegovy + 맛있는 음식 멀리하기"
라고 X에서 언급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타게 되었죠.
아시아인 대상 임상시험에서 13.2%의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며,
드라마틱한 결과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같은 GLP-1 작용제 계열에 '삭센다'라는 전통 강자가 있죠.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투여주기'와 '가격'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할까요?
바로 반감기 때문입니다.
✅ 삭센다: 반감기 13시간 → 매일 피하주사
✅ 위고비: 반감기 160시간 → 주 1회 피하주사
한 달로 환산하면 위고비는 4회, 삭센다는 30회라는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죠.
두 약제의 상세 비교, 한눈에 살펴볼까요?
|
|
|
#2 그래서 위고비, 삭센다는 도핑에 걸릴까?
|
|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X. 도핑에 걸리지 않습니다‘
|
|
|
그러면 위 질문에 도핑에 걸리지 않으니, 걱정없이 사용해도 된다고 해도 답하면 될까요?
도핑에는 걸리지 않습니다만, 조금 더 고민해볼만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GLP-작용제의 급격한 체중감량으로 인한 💪근육손실💪입니다.
식사량이 줄어들면서 근손실이 일어날 수 있는 거죠...!
일반적인 체중감량시 근육 손실 정도와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있으나,
세마글루티드 성분의 경우 감량 체중의 최대 40%까지 근육 손실이 일어난 데이터가 있으니
근육량을 유지향상하려는 목적일 경우 근손실이 걱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보디빌딩대회 등 근육량이 중요한 운동 선수의 경우 근손실에 민감할 수밖에 없죠.
따라서 사용 상 이점과 단점을 꼭 알리고,
복용을 원할 시 적절한 단백질 보충을 권해야 하겠습니다.
물론 이 외에도 구역감, 췌장염, 요요현상 등의 부작용 사례도 보고된 바 있으니,
환자의 상황에 맞춰 신중한 사용을 권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
👥"혹시 아시나요?" 👥
한미약품에서 근손실 부작용을 감소시킨 triple agonist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GLP-1, 글루카곤, GIP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 시키는 기전으로
근손실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동시에 목표하는 신개념 비만치료제라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과연, 한국에서도 위고비, 삭센다에 비견할 비만치료제가 나올 수 있을까요? |
|
|
#3 다른 체중감량약은 도핑에 걸릴까? 클렌부테롤, 식욕억제제, 이뇨제
|
|
|
📕 "클렌부테롤 원래는 천식치료제인데…"
클렌부테롤, 기관지 천식 치료제로 시작된 이 약물은
체지방 감소 효과로 인해 다이어트 약물로 오남용되고 있습니다.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임에도
인터넷에서 '클렌부테롤 스택'이 연관 검색어로 뜰 정도로
불법 유통이 만연한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운동선수라면 특히 주의해야합니다!
WADA 금지 약물 리스트에 포함된 '상시금지약물'입니다.
제지방량 증가, 체지방 감소의 탁월한 아나볼릭 효과가 있어 베타2작용제임에도
(일반적으로 베타2작용제는 S3 으로 분류됩니다)
S1 동화작용제 계열 금지 약물로 분류되어 있죠.
2024년, 영국의 트라이애슬론 선수 Louis Walker는 클렌부테롤이 포함된
클렌녹신 정제 블리스터 팩을 소지했다는 이유로 3년 출전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습니다.
|
|
|
📗"식욕억제제, 운동선수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식욕억제제의 성분은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등의 중추신경자극제입니다.
이 약물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로 인해 운동선수들이 오남용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 경기력 향상: 반응속도 증가와 피로감 감소
✅ 체중 감량: 체급 경기 선수들의 급격한 감량 목적
✅ 각성 상태 유지: 경기 중 집중력과 공격성 향상
WADA는 이 약물들을 어떻게 분류할까요? |
|
|
🚴사이클 선수인 Yoelkis Aira가
2013년 6월 8일 FRBA Stuart 대회의 도핑 검사에서
펜터민 양성 반응을 나타낸 사례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2년간의 자격 정지 처분, 대회 성적 박탈 및 메달, 포인트, 상금 몰수라는
중징계를 받았다고 하네요!
|
|
|
📘"이뇨제, 감량 보조제로 써도될까?"
복싱, 유도, MMA 등 계체량이 있는 종목 선수들의 고민은
바로 급격한 체중감량입니다.
엄격한 수분제한으로 10시간 만에 7kg을 감량하는 케이스가 있을 정도죠😱
그렇다면 우리 쉽게 쉽게 가볼까요?
이뇨제를 사용하면 어떨까요?
단호하게 말씀드립니다. "안됩니다!"
WADA에서는 *모든 이뇨제를 상시 금지 약물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뇨제는 체중감량과 도핑 은폐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상시 금지 약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 금메달리스트 Dawn Harper-Nelson이 처방받은
혈압약에 포함된 HCTZ(hydrochlorothiazide)로 인해 도핑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다행히 처방약 복용 증명으로 3개월 자격정지로 감경되었지만,
그는 "모든 처방약을 철저히 확인하는 것의 중요성을 배웠다"고 밝혔습니다.
처방약이면 안심하고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방약이더라도 철저히 확인해야한다는 교훈을 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겠네요
*단, drospirenone, pamabrom, 탄산탈수소효소억제제의 국소적 안과적 사용
(경구로 복용하는 아세타졸은 안됩니다!),
치과마취를 위한 felypressin의 국소투여는 예외입니다!
|
|
|
💊WADA의 이뇨제 검출 기준, 알고 계신가요?
기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소변 시료에서 20ng/mL 초과 검출 시 도핑 양성(AAF)
✅ 20ng/mL 이하 검출 시 음성
하지만, 체급 경기 선수는 더욱 엄격합니다
✅20ng/mL 이하라도 비정상분석수치(ATF)로 보고 의무적인 조사 대상
✅체중 감량 목적의 오남용 가능성 때문
|
|
|
💡 오늘의 파넥션 요약
✅ 위고비, 삭센다 ➡️ 도핑 안 걸려요
✅ 클렌부테롤 ➡️ 무조건 안돼요! ❌
✅ 식욕억제제, 이뇨제 ➡️ 성분부터 살펴봐요!
궁금증이 좀 풀리셨나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편안하게 말씀주세요!
|
|
|
✏️ 작성자를 소개합니다
👨💻 ARB
고혈압 1차 치료제인 ARB처럼 대중에게 넓게 -
그리고 가까이서 쉽게 전달되는 글쓰기를 지향합니다.
어려운 말을 쉽게 쓰는 것을 좋아해요.
MBTI F 프로공감러
👨💻 LEVODOPA
BBB를 통과해서 뇌까지 전달되는
LEVODOPA처럼 전달력있는 글을 지향합니다. 정보의 호수 속에서 그냥 스쳐지나가는 글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되는, 뇌리에 남는 컨텐츠를 만드려고 노력합니다 🧠
Designed by ⚡️ LEVODOPA / Edited by 🪐 ARB
|
|
|
⭐오늘의 Review Quiz 정답은 ① 페닐에프린 이었습니다 ⭐
① 페닐에프린 은 2023년부터 모니터링 약물로 분류되어 도핑으로 바로 적발되는 약물은 아니게 되었습니다.
② 나파졸린과 ③ 테트라히드로졸린 모두 S6 혈관수축제로 경구 복용을 포함해 전신 흡수가 가능한 점막 국소 적용(항문, 구강)에는 경기 중 도핑 금지 약물 성분입니다. 하지만 비강, 귀, 피부와 같은 국소 적용은 괜찮습니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약사님, 다음주에는
[운동선수의 통증, 어떤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까?]가 올라옵니다!
많관부!
오늘의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궁금한 내용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