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6
2024. 2월호
📫이번 24일은 토요일이라 하루 일찍 도착했어요!  

매달 반복되는 급여 업무. 급여는 근로자들의 사기를 북돋는 존재지만, 담당자에겐 매달 실수 없이 진행하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중요한 업무죠.

HR 분야에도 업무 자동화 도입이 확산하고 있는데요. 직접 급여를 정산하지 않더라도 급여 제도와 산정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번 24레터에서는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을 정리했어요. 각각 산정하는 방법도 기준도 다르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헷갈리기 쉬운 내용을 실무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꼼꼼히 읽어 보세요📜 (근로자 입장에서도 퇴직금 등 내 임금을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2월 호 미리 보기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비교
      • 통상임금,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 통상임금, 평균임금이 적용되는 급여와 수당
      • 쉽게 이해하는 임금 산정 방법
    • 위펀 사용 설명서💡
    • 2월에 꼭 읽어야 할 HR 뉴스 클리핑 📰
✅ 이 글을 다 읽으면,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이럴 때 기준임금으로 사용해요
  • 통상임금, 평균임금에 적용되는 수당과 임금을 확인하고 산정할 수 있어요
  • 통상임금 산정 기준 시간 수를 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예외 사례도 있어요!)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이란?
▲ 표가 잘 안보인다면 눌러서 크게 보세요!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을 비교해 볼까요?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소정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수당을 말해요. 기본급을 포함해 일반적으로 직책수당, 자격수당, 근무일에 비례하여 근로를 제공하면 지급하는 식대 등도 해당는데요. 급여, 수당 계산 시 해당 임금이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3가지를 충족한다면 통상임금으로 판단해요. 통상임금은 각종 법정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이 돼요.

평균임금은 산정해야 할 사유 발생 전 3개월 동안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동일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이에요. 출산휴가, 육아휴직, 질병 등으로 인한 휴직 기간 중 지급된 임금은 평균임금 산정 기준 기간 및 총액에서 제외해야 해요. (이때, 제외되는 기간이 3개월 이상이라면 제외되는 기간의 최초 일자를 평균임금 산정 사유가 발생한 날로 보아요. 제외되는 기간의 최초일 이전 3개월로 계산하는 것이죠!)

정리하면, 통상임금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서로 정한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대가로서 미리 지급 약속을 한 사전적 개념이에요. 반면에 평균임금은 실제 근로를 제공하고 난 다음 지급받는 모든 임금을 포함해 계산하는 사후적 개념이랍니다.

단,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근로 계약이나 단체 협약, 취업 규칙 등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어요.

💰 이런 임금이 포함돼요!
  •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예시 : 기본급, 직무수당, 직책수당, 기술수당, 자격수당, 위험수당, 고정 식대, 정기적인 고정 상여금 등
  •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예시 : 기본급, 각종 법정수당, 정기상여금, 산정 사유일 기준 이미 발생한 연차미사용수당 등
통상임금, 평균임금이 적용되는 급여와 수당
*괄호 안 (근거 법령)을 눌러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통상임금
평균임금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산정 방법
💡 퇴직금 계산 시,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은 경우 통상임금액을 기준으로 지급해야 해요!
임금 및 수당을 계산할 때, 먼저 통상임금을 시간당 금액(시간급)으로 산정해야 해요. 근로 조건이 시간 단위로 산정되기 때문에 시간급으로 계산하는 것이 원칙인데요. 예를 들어, 소정근로시간이 일 8시간, 주 5일 근무로 주 40시간인 경우 → 월 임금액을 통상임금 산정 기준 시간 수(209시간)로 나누면 시간급 통상임금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 위의 경우, 왜 209시간인가요?

5인 이상 사업장 기준,

  1. 일 8시간, 주 5일 근무
  2. 1일 무급 휴무
  3. 1일 유급 주휴 209시간 = (40시간 + 유급주휴 8시간) × {365일 ÷ 7일(1주일) ÷12개월}

정리하면,

① 1주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 소정근로 40시간+주휴 8시간= 48시간

② 연간 주 수 = 365일 ÷ 7일 = 52.14주

③ 1달 주 수 = 52.14주 ÷ 12월 = 4.345주

따라서 주 40시간제 기준, 월평균 근로 시간은 208.56시간으로 209시간이 되는 것이죠.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지급하여야 하는 원칙에 따라 올림 계산한답니다!)

토요일을 유급 처리하는 경우, 월평균 근로시간은 달라져요.

토요일 4시간 유급 → 226시간

(40시간 + 8시간 + 4시간) × 4.345주 = 225.952시간

토요일 8시간 유급 → 243시간

(40시간 + 8시간 + 8시간) × 4.345주 = 243.333시간

 ▲ 예외! 퇴직금 계산 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중 큰 것으로 계산하여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지급해요.
💡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 제외되는 기간
  1. 수습 기간이나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휴업한 기간
  2.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으로 요양하기 위해 휴업한 기간
  3. 출산 전후 휴가 기간이거나 육아휴직 기간
평균임금은 통상임금과 비교해 개념과 계산이 훨씬 쉬워요😮‍💨 하지만 퇴직금, 재해보상, 휴업수당, 감급 제한 등의 기준이 되므로 정확히 짚어볼 필요가 있어요. (퇴직금과 연관되어 있어 근로자에게도 친숙한 용어죠!)
근로자의 통상 생활임금을 사실대로 산정하는 데 목적이 있는 평균임금은 임금 총액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느 범위의 임금까지 포함하느냐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해요. 모든 임금의 성격을 포함하며 통상임금에는 포함되지 않는 연차수당, 명절상여금, 가족수당도 해당되는데요. 상여금과 연차휴가수당과 같은 임금은 직전 1년간 발생한 금액의 3/12(12개월 중 3개월분)을 산입해요. (특정 수당이나 특별 상여금이 무조건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므로 명목이 아닌 수당/임금의 성격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요)
이때 연차수당은 1) 미사용으로 인해 지급한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 2) 퇴직으로 지급한 미사용수당 두 가지인데요. 퇴직으로 발생하는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은 산정 사유 발생일 이전에 지급된 임금이 아니므로,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 산정 시 포함되지 않아요. 퇴직금 산정 시 1번은 포함, 2번은 제외 항목인 것이죠.
예시로 계산해 볼까요
▶ 이해를 돕기 위한 ‘간략 임금명세서’로, 연장근로수당 등 산정식 생략
▶ 직책수당: 매월 동일하게 고정 지급 기준

1. 소정근로시간 : 209시간
2. 입사일 : 2023년 2월 1일
3. 퇴사일 : 2024년 2월 1일
 (*이해가 쉽도록 만 1년 근무로 가정해요)

  • 김퍼니의 통상임금

월 통상임금 = 기본급 280만 원 + 정기상여금 20만 원 + 식대 20만 원 + 직책수당 10만 원 = 330만 원

월 통상임금 산정 기준 시간 수 = 209시간

330만 원 ÷ 209시간 = 시급 통상임금 약 15,789원

→ 일급 계산 시, 15,789원 × 하루 근로 시간 8시간 = 일급 통상임금 126,312원

    • 김퍼니의 평균임금

    2월 1일 퇴사,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의 3개월인 11월 1일~1월 31일은 30일+31일+31일=92일로 11월부터 1월까지 360만 원을 동일하게 받았다면

    3개월 임금 총액= 360만 원 × 3개월 = 총 1,080만 원

    사유 발생일 이전 3개월 총일수 = 92일,  1,080만 원 ÷ 92일 = 117,391원

    → 평균임금 기준 퇴직금은?    117,391원 × 30일 × (365/365) = 3,521,730원

    급여 정산에 빠질 수 없는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수당과 임금 등 상세 내용들은 회사마다 근로 조건, 단체 협약, 법적 해석 등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해요. 개념과 정산 방법을 이해하고 우리 회사에 맞게 적용해 보세요!

    임직원 근무 시간, 연차 관리 등 다양한 HR 데이터 어떻게 관리하세요?

    HR 관리를 한눈에 하는 방법

    위펀을 조금 더 즐겁게 사용하는 꿀팁
    B2B 서비스 플랫폼 ‘위펀기업 운영과 공간 관리, 복지 운용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업 운영을 돕고 있어요. 손이 많이 가는 사소한 문제들부터 어렵고 큰 문제들까지 해결하는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위펀은 기업이 성공을 위한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드려요. (🆕매달 신규 서비스가 업데이트 된답니다!)
    2024년, 주목 받는 기업들은 이미 위펀과 함께하고 있어요. 
    성공하는 기업을 위한 부스팅 플랫폼, 위펀과 효율적인 기업 성장을 도모해 보세요🚀
    기업이 필요한 모든 것, 위펀에게 물어보세요!

    HR 관련 뉴스만 쏙쏙 모았어요 👀

    “이것 제공하는 회사 가고싶어요”…‘코로나 학번’ 졸업생에 물어보니

    97~2012년 사이에 태어난 Z세대가 이제 회사에 취업할 나이가 되었어요. 대학 생활을 코로나와 함께했고,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Z세대는 어떤 종류의 일을 하고 싶고, 어떤 곳에서 일을 하고 싶어 할까요? Z세대 신입사원 채용을 고민 중이라면, 그들의 생각을 깊숙이 이해하는 게 먼저겠죠?

    "편의점 알바가 더 좋아요"…30대 퇴사자의 '반전' 사연

    국내 성인 71%가 ‘프리터족(자유로운 노동자)’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해요. 취업 문이 닫힌 탓도 있지만, 극심한 경쟁에서 벗어나 최소 비용으로 소소한 삶을 추구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죠. 평생직장이라는 의미가 퇴색되며 ‘직장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세요.

    "한국 장시간 근로자 비중, OECD 평균 수준까지 감소"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발표한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주 50시간 이상 근무한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전체의 12%로 OECD 평균보다 1.8%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는 지난 20년 동안 가파르게 감소한 수치인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결과가 나타났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전 직원에 겨울방학이라니"…대기업도 부러워하는 회사

    지난 16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강남 테헤란로에 위치한 한 회사에 방문했어요. 해당 기업은 유연근무 활용 우수사업장으로 꼽힌 회사였는데요. 유연한 하이브리드 근무와 장기근속 휴가 지원, ‘겨울 방학’ 부여까지! 올해부터는 유연근무 활용 사업장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이 강화돼요. 연차 사용률 92%에 달하는 이 회사의 비결! 함께 알아볼까요?

    2월의 <Here you R>은 여기까지예요.

    다음 달에도 유익한 소식과 HR 인사이트로 찾아올게요
    제발 〰️🙏

    이번 레터는 어떠셨어요?
    marketing@snack24h.com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74, 15층 (역삼동, 케이스퀘어강남2) 1644-4624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