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컬리 #로컬숍연구잡지 #인터뷰어의기획법 |
"좋아하는 일 지키자" 80배 성장
잡지 브로드컬리 |
자영업 가게를 찾아가 "한 달에 얼마 버세요?" 묻는 잡지가 있습니다. 서점, 베이커리, 카페 등 이른바 직장인의 '로망'을 실현한 가게들을 찾아가 누구보다 현실적 질문을 던집니다. 증권사 기업분석팀에서 일하던 브로드컬리 조퇴계 대표는 돌연 퇴사하고 잡지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창업 3년 차에 한 달 수익이 29만 원이던 시절을 지나, 한 달 수익 2400만 원을 찍었습니다. 이번엔 폴인이 조퇴계 대표에게 현실적 질문을 던졌습니다. 수익 80배 성장 사이엔 무슨 일이 있었나요? 1년에 한 권 잡지 내서 어떻게 먹고 사나요? 솔직하고 진정성 있는 그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공개합니다. |
“저희는 재미를 잃지 않는 선에서 좋아하는 일로
돈 벌기 위한 노력을 아주 많이 하는 것 같아요.” |
Q. '로컬숍' 연구 잡지라는 말이 신선했어요. |
사실 '로컬숍'이라는 말을 쓰려고 처음부터 생각한 건 아니었어요. 다만 공간 운영을 하는 자영업을 적확하게 표현하는 단어가 달리 떠오르질 않았어요. 로드숍이라는 단어가 있긴 했지만 화장품이나 의류숍을 뜻하는 인식이 강하지 않나 싶었어요. 그래서 이름 붙인 게 '로컬숍'이었어요. |
Q. 질문도, 주제도 신선한데요. 브로드컬리 기획의 출발 지점이 궁금합니다.
|
궁금한 걸 묻습니다. 누군가 궁금해 할 것 같은 질문 말고, 제가 궁금한 걸 묻고 또 편집부 팀원들이 궁금한 걸 묻습니다. 그러면 어렵게 계산하지 않아도, 의미 있는 질문이 나올 수 있는 거 같아요. |
아마도 독립출판의 장점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돈을 쓰는 사람, 기획하는 사람, 취재하고 편집하는 사람이 모두 동일인이에요. 글을 쓰는 사람이 스스로 궁금한 걸 묻고 정리해서 책을 내니까요. |
"소비자가 그 가게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소비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어요." ⓒ폴인, 최지훈 |
Q. 브로드컬리 매거진의 각 호 주제는 자영업자 당사자보다 '내 가게'를 꿈꾸는 직장인과 예비 창업자들에게 더 호응을 얻을 것 같은데요. |
의외로 자영업자들도 많이 읽으세요. 인스타그램에 올려주시는 게시글 본문 중에서도 어려웠던 시간에 대해 얘기하는 부분에 밑줄을 치거나 사진 찍어 올리시더라고요. 아무래도 창업의 어려움을 겪는 분이라면 힘을 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고요. 말씀하신 대로 자기 브랜드를 꿈꾸는 직장인도 많이 봅니다. |
누구든지 좋아하는 게 하나씩 있잖아요. 커피든 빵이든 책이든, 당장은 아니더라도 내가 상상하는 일을 하는 사람의 삶의 모습이 궁금하니까 읽어보는 것 같아요. 제가 원했던 건 창업을 준비하는 독자보다 로컬숍을 소비하는 독자들이 읽길 바랐어요. 가게에서 같은 메뉴에 돈을 쓰더라도, 가게의 운영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소비하는건 다르니까요. |
강원도 산속에 있는 카페에 갔다고 가정해보죠. 커피가 6천원이에요. 그러면 어떤 분들은 이렇게 생각해요. '여기 월세는 50만원밖에 안 할 것 같은데 500만원 월세 내는 서울에 있는 카페랑 비교해서 커피가 더 비싸네.' 그러면 먹는 사람 입장에서도 기분 안 좋잖아요. |
그런데 처음에 여기 수도가 없었을 수도 있거든요. 아니면 수도가 들어오더라도 정수 필터를 아주 비싸게 써야 될 수도 있는 거죠. 그런 것들을 전부 고려해서 가격을 책정한 경우가 많을 거예요. 그 사실을 알고 소비했을 때 공간에서 느끼는 감동이 달라지길 바랐던 것 같아요. |
Q. 5권의 잡지 중 독자들의 반응이 가장 좋았던 건 어떤 호였나요? 그 이유는요?
|
1호 서울의 3년 이하 빵집들: 왜 굳이 로컬 베이커리인가? 2호 서울의 3년 이하 서점들: 책 팔아서 먹고살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3호 서울의 3년 이하 서점들: 솔직히 책이 정말 팔릴 거라 생각했나? 4호 제주의 3년 이하 이주민의 가게들: 원했던 삶의 방식을 일궜는가? 5호 서울의 3년 이하 퇴사자의 가게들: 하고 싶은 일 해서 행복하냐 묻는다면? |
5호 '서울의 3년 이하 퇴사자의 가게들'은 지금까지 8000부 인쇄했어요. 지금까지도 꾸준히 팔리고 있죠. 발간할 2019년 당시 퇴사라는 키워드가 워낙 붐이기도 했고, 그만큼 대중적으로 관심을 많이 받는 주제였던 거 같아요. |
Q. 작은 출판사는 구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신간을 부지런히 발행해 수익을 내는 전략을 취하는데요. 1년에 1종을 겨우 내는 건 일반 출판시장의 문법과는 어긋나는 것 같아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사실 저도 빨리 내고 싶은데요. 이게 저희답게 만들 수 있는 최선인 것 같아요. 소수 인원으로 운영되는 편집부이기도 하고, 신간 제작 기간을 제외하면 풀타임으로 업무를 보는 건 저 한 사람이거든요. 팀원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나름의 사업을 꾸려가고 있습니다. |
많이들 오해하시는데, 신간이 자주 나오지는 않지만 저희 편집부의 주된 매출은 언제나 책 판매입니다. 외주 작업 하느라 바쁜 거 아니냐 물으시기도 하는데, 그냥 책 만드는 기간이 긴 겁니다.
|
그에 쏟는 시간 만큼 정확하게 신간이 늦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주는 못 합니다. 그나마 1년에 한 권으로 계획한 신간 일정도 지키지 못할 때가 많죠. 그럼 어떻게 먹고 사나 궁금하실 수 있는데, 정말 다행스럽게도 구간이 꾸준히 판매되고 있습니다. 벌써 6년 전 발행한 창간호도 아직 주문이 들어오고 있어요. |
브로드컬리는 2022년 4월 첫 사무실을 열었다. ⓒ폴인, 최지훈 |
Q. 시간이 지나도 '이것만은 지키고 싶다'라는 브로드컬리의 핵심 슬로건이 있다면 뭘까요. |
그런 말들 하잖아요. 취미가 일이 되면 재미가 없어진다. 저희는 재미를 잃지 않는 선에서 좋아하는 일로 돈 벌기 위한 노력을 아주 많이 하는 것 같아요. |
다른 건 몰라도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마음은 꼭 지키고 싶어요. |
때로는 비효율적이거든요. 저희는 취재처를 외부에서 추천받기보다 되도록 직접 발굴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전 가게 다니는 것 자체가 즐겁거든요. 섭외하는 4~5개월의 과정이 정말 좋아요. 상황이 달라지면 조정을 해야겠죠. 사무실도 생겼고 고정비가 늘어나면 또 달라질 수 있겠지만, 어쨌든 지금까진 좋아하는 일을 '일'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먹고살 만큼 혹은 그 이상의 경제적인 피드백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놓고 싶진 않아요.
|
💭 "90년대생 팀장? 어떤 사람들일까?" 💭 "90년대생 팀장은 팀워크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까?" 💭 "요즘 세대에게 통하는 리더십은 무엇일까?" |
곧 공개되는 폴인의 오리지널 Video 시리즈 <90년대생 팀장이 온다> 제작 비하인드를 폴인 에디터와 PD가 살짝 공개합니다! :) |
📍 에디터톡 신청 안내
- 대상 : 듣고 싶은 분 누구나! (멤버십 회원이 아니라도 신청 가능)
- 일자 : 2022.07.14(목) 20시 (약 40분)
- 방식 : 유튜브 LIVE (당일 URL 발송 예정)
- 신청 : 아래 구글폼 작성 (무료)
|
NEW! 다른 멤버들이 많이 본 신규 아티클은? 👀 |
폴인 fol:in
서울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12F 폴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