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Hermann Hesse  
헤르만 헤세

20세기 가장 널리 읽힌 독일 작가

평생 ‘자신으로 가는 길’을 탐구한 거장

 

“모든 사람의 삶은 자기 자신으로 가는 길이며, 그 길 위에서의 시도다.”


1877년 독일 뷔르템베르크의 소도시 칼프에서 선교사 요하네스 헤세와 저명한 인도학자의 딸인 마리 군데르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명문 마울브론 신학교에 진학하지만 “시인이 아니면 아무것도 되고 싶지 않아” 도망쳤다. 열다섯 살에 자살을 기도했으나 실패하고 신경쇠약 치료를 받는 등 방황을 거듭했다. 이후 시계공장과 서점에서 수습생으로 일하며 정신적 안정을 찾고 글쓰기에 전념했다. 1898년 첫 시집 『낭만적인 노래들』을 출간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1904년 『페터 카멘친트』로 문학적 성공을 거두며 전업작가가 되었다. 1906년 유년 시절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수레바퀴 아래서』를 비롯해 『크눌프』 『청춘은 아름다워라』 등을 발표하며 인가로서 탄탄한 입지를 다졌다.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자원입대하나 고도근시로 복무 부적격 판정을 받고 독일포로후원센터에서 전쟁포로들을 위한 책과 잡지를 발행했다. 1919년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발표한 『데미안』이 당시 젊은이들에게 커다란 파동을 불러일으키며 폰타네상을 받았다. 이후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싯다르타』 『황야의 이리』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유리알 유희』 등을 발표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1946년 괴테상과 노벨문학상을 수상했고 1962년 8월 9일 뇌출혈로 스위스 몬타뇰라에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60개가 넘는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1억 5천만 부가 넘게 팔리면서 헤르만 헤세는 20세기에 가장 널리 읽힌 독일 작가가 되었다.
 2025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먼슬리 클래식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헤르만 헤세의 명작들

1906년 발표 (29세) 수레바퀴 아래서

신학교를 도망쳐 나온 경험이 있는 헤세의 자전적 소설

수레바퀴 아래 깔린 청춘의 권리를 아름다운 언어로 주장한 작품

1919년 발표 (42세) 데미안

누구나 한 번쯤 데미안을 만나고 누구나 한 번쯤 데미안이 된다!

아내가 정신분열 증세를 보여 결국 병원에 수용되는 등 괴로운 시절에 집필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간해 당시 젊은이들에게 커다란 파동을 불러일으킨 작품

1922년 발표 (45세) 싯다르타

헤세의 지혜와 사상이 녹아든 걸작

싯다르타의 생애로 형상화한, 자아를 완성해가는 성스러운 구도의 여정

1930년 발표 (53세)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헤세 생전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

이성과 종교의 수호자 나르치스, 감각과 예술의 방랑자 골드문트

두 주인공의 우정과 사랑, 헤어졌다가 다시 만나는 여정을 그린 작품

헤르만 헤세와 마울브론 수도원

마울브론 수도원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교외에 위치한 이 수도원은 12세기 설립되었으며,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도 옛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수도원이 유명한 이유는 따로 있지요. 바로 헤르만 헤세의 소설 『수레바퀴 아래서』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헤세의 또다른 소설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에도 이 수도원을 닮은 ‘마리아브론 수도원’이 등장합니다)

헤세가 입학했다가 1년도 채우지 못하고 떠난 마울브론.

『수레바퀴 아래서』의 등장인물들이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것 같은 모습입니다.

* 이미지 출처 www.kloster-maulbronn.de 

독일에서 태어나 스위스에서 삶의 대부분을 보낸 헤세는 거처를 이리저리 옮겨다녔습니다. 두 번의 이혼을 포함해 개인사에서도 힘든 경험을 여러 번 했고, 특히 제1차세계대전과 제2차세계대전을 모두 겪었으며 자기 작품이 금서가 되는 지경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아픔 속에서도 헤세는 '자기만의 길'에 대한 탐구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이러한 아픔이 있었기에 '자기만의 길'이라는 주제에 더 천착했을지도 모릅니다.

by 해라💫밤의도서관🌃 
문학동네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210 문학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