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옛날 영화는 쉽지 않은 영화들도 많은만큼 나이가 어느정도 이상 되는 사람들만의 전유물같다고 느껴질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옛날 영화들 중에도 어린아이들과 같이 즐길수 있는 영화도 찾아보면 충분히 많은데요, 연휴를 맞아 아이들과 시간을 더 많이 보내게 될 수도 있을 분들을 위해 오늘은 로버트 J. 플래허티의 <북극의 나누크>(1922)를 소개합니다😁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그 사이의 어딘가 
"다큐멘터리"하면 어떤것이 생각나시나요? "픽션의 반대", "사실", "있는 그대로", "인터뷰", "실존 인물", "나레이션" 과 비슷한 맥락의 단어들이 떠오르실 것입니다. 현재의 우리는 영화를 크게 보자면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로 나누고 있습니다. 그리고 "극영화"가 좀 더 주류를 차지하고 있죠. 하지만 영화의 시작은 "극영화"가 아닌 "다큐멘터리"였습니다. 영화를 탄생시킨 뤼미에르 형제의 첫 영화 <기차의 도착>(1895)도 생각해보면 다큐멘터리이며 영화사 초반의 영화들은 대부분이 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짧게 찍은 "다큐멘터리"의 일종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만큼 "다큐멘터리"는 현재 영화의 주류는 아닐지도 모르지만 매우 의미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영화사 초반의 영화들은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실사 영화"(actuality)라고 불린다는 것인데요,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를 만들었다고 공식적으로 알려진 사람은 로버트 J. 플래허티이며 그가 만든 첫 영화가 오늘 소개할 <북극의 나누크>(1922)입니다.

<북극의 나누크>(1922)는 첫 다큐멘터리 영화로 알려져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재밌는 점이 있습니다. 바로 <북극의 나누크>(1922)에 나오는 모든 내용이 '있는 그대로'만을 찍은 영화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주인공 '나누크'는 원래 이름이 '나누크'가 아니며, 그의 아내로 나오는 사람도 그의 실제 아내가 아닙니다. 또한 당시의 에스키모들은 이미 총을 사용하여 사냥을 하던 사람들이었는데요, 영화를 위해서 일부러 옛날 방식으로 사냥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그리고 에스키모들이 당시 '현대 문명'의 물건들을 보며 신기해하는 모습을 영화속에서 보여주지만, 사실 그들은 플래허티의 카메라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수준까지 될 정도로 '현대 문명'에 익숙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북극의 나누크>(1922)가 첫 "다큐멘터리"로 알려져있을까요? <북극의 나누크>(1922)를 통해 알수 있는 것은 "다큐멘터리"는 한톨의 거짓도 없이 있는 그대로만을 보여주는 영화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있는 그대로만을 보여주는 영화는 "다큐멘터리"보다는 "시네마 베리테"(cinéma vérité)라는 장르에 더 가깝습니다. "다큐멘터리"의 정의는 "하나의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정도로 표현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북극의 나누크>(1922)는 매우 많은 픽션을 포함하고 있지만, 에스키모들이 한때 살아갔던 삶의 방식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은 누구도 부정할수 없을것 입니다. <북극의 나누크>(1922)속 유명한 장면인 바다표범 사냥 장면은 당연히 인위적인 설정이 들어가긴 하였지만 에스키모들이 전통방식으로 바다표범을 사냥한것은 거짓이 아닌 사실입니다. 한 영화 평론가의 말을 인용하자면 "바다표범이 시나리오를 미리 읽고 연기한것도 아니지 않은가"라고 할수 있죠😁

이러한 점을 고려할때에 우리는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의 범위가 생각보다 훨씬 넓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는 접점이 없는 양극단의 장르가 아니라 서로 얽히고 설켜있는 형태로 보는것이 더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다큐멘터리는 관객의 흥미유발을 위해 영화내용을 극영화의 포맷속에 끼워넣는 경우가 자주 있는 동시에 극영화는 관객의 흥미유발을 위해 더욱더 영화내용이 사실인것처럼 포장하려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점 또한 재밌는 점이라고 느낍니다.
북극의 에스키모들이 살아가는 방식  
플래허티는 원래 자신의 직업의 일환으로 탐험을 하던 사람이었는데 어느날 자신의 고용인의 제안으로 카메라를 가지고 탐험에 나섭니다. 그리고 수많은 것들을 찍어와서 편집을 하고 뉴욕에 필름을 보낼 준비를 하는데 실수로 불이 나서 거의 대부분의 필름을 잃게 됩니다. 하지만 어차피 원래의 영화에 대해서 "이 장면 저 장면을 이어붙였을뿐, 서로 관련도 없고 연결이 안된다"고 느꼈기에 오히려 화재를 새로운 기회로 삼았습니다.

플래허티는 다시 카메라를 들고 떠나며 이번에는 "다른 종류의 영화"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플래허티는 '나누크'라는 한 에스키모를 주인공으로 하여 북극의 에스키모들의 생활을 영화로 찍습니다. 영화속에서 나누크는 그의 가족들과 배를 타고 강을 건너고 이끼를 연료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백인들과 물물교환을 하는 모습 등 에스키모 생활의 다양한 면들을 보여줍니다. 
"1922년에 만들어진 에스키모의 생활에 대한 다큐멘터리"라고 <북극의 나누크>(1922)를 단순하게만 설명하면 저라도 '재미없겠다' 하고 생각할텐데 지금 이 시대에 몇번씩 봐도 아직도 볼때마다 재밌게 보게 된다는 것은 이 영화가 가진 힘을 잘 보여주는 부분같습니다. <북극의 나누크>(1922)는 사냥같이 흥미진진한 부분들이 있을뿐만 아니라 보고있으면 힐링되는 부분들도 많은데요, 특히나 아기와 아기허스키들을 같이 찍은 장면은 반칙이라 느껴질정도로 누구라도 미소가 나올수밖에 없습니다. 교육적이면서 재밌기까지 한 이 영화는 어린 아이와 어른이 같이 본다면 두 사람 모두를 만족시킬만한 영화입니다. 혹시 주변에 아이가 있다면 이번 연휴에는 아이와 같이 <북극의 나누크>(1922)를 감상하고 대화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P.S. <북극의 나누크>(1922)웨이브, 왓챠, 네이버 시리즈온, 구글플레이무비, 씨네폭스에서 감상하실수 있습니다🥰

P.P.S. 영화 맨 앞의 2분 가량의 서문은 건너뛰셔도 무방합니다😅
추천인 프로그램
찰리씨네 다이어리를 주변에 추천해주세요! 아래의 고유 추천인코드를 입력해서 구독하시는 새 구독자분이 생기면 두분께 모두 1포인트를 드려요! 누적 포인트에 따라서 선물도 드리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구독자님의 고유 추천인코드: 다음주 뉴스레터때 알려드립니다!
-현재 포인트: 0

🎁선물🎁
3포인트: 편의점 3000원권
6포인트: 스타벅스 음료쿠폰
10포인트: 문화상품권 10000원
Copyright ⓒ 2022 찰리씨네 다이어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