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8 (THU)
1. 미국 테이퍼링 공식화
2. 부동산경매에서 배당의 원리
3. 한입 너겟
냠냐미🥔님은 너겟 팀이 유료 서비스를 운영 중인 걸 알고 계셨나요? 너겟 팀은 지난 6월부터 부족하지만, 조금씩 유료 서비스를 준비해오고 있는데요. 유료 구독을 하시면, 기존 대왕 너겟에 찍어 먹을 수 있는 케첩(Catch-up)을 제공하고 있어요. 케첩은 대왕 너겟에 1~2단락 내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코너예요. 앞으로는 케첩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궁금해하는 구독자님들이 계셔서 제목만 살짝쿵 담을 예정! 외에도 내·외부 필진과 만들고 있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전문도 볼 수 있는데, 더 있었으면 하는 콘텐츠가 있다면 오늘 피드백 폼을 통해서 말해주세요! 

마지막으로 구독자님들 중 수험생 구독자가 적지 않은데요. 오늘 수능 화이팅 했으면 좋겠어요!! 수험생을 비롯한 모든 구독자님들에게 하고픈 말을 적어봤어요. 너겟 팀이 항상 님을 응원해요.

내 계좌 수익도 쫄쫄쫄? 💧

그동안 미국 중앙은행이 콸콸콸 풀던 돈(=양적완화)을 쫄쫄쫄 푸는 것(=테이퍼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소문만이 무성했는데요. 앞으로는 돈을 쫄쫄쫄 풀겠다고 공식적으로 말했어요.

테이퍼링, 들어봤는데 뭐더라?
테이퍼링(tapering)의 사전적인 의미는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건데요. 경제 상황이 어려울 때, 중앙은행이 시장에 맘껏 풀었던 돈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걸 말해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는 코로나19로 인해 미국 경제가 휘청거리자 채권 같은 자산을 왕창 사들여 시장에 돈을 풀었는데요. 매달 사들인 자산만 1,200억 달러(약 141조 7,800억 원)에 달해요. 앞으로는 1,050억 달러(약 124조 575억 원)로 줄이겠다고.

갑자기 줄이는 이유는 뭐야?
지난해까지는 경제 상황이 안 좋았는데요. 이제는 조금씩 경제가 회복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거든요. 어떻게 아냐고요?
  • 경기가 회복돼 📈: 미국은 코로나19 직후 역성장을 기록했는데요. 지난해 3분기부터는 조금씩 회복해 5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고. 어느덧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어요. 델타 바이러스 영향은 있지만, 안정적으로 성장 중.
  • 물가도 올라가 🙄: 전 세계적으로 제품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데, 수요는 빠르게 늘고 있어요. 이로 인해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고.

우리랑은 무슨 상관이지?
테이퍼링을 실시하면 머지않아 기준금리*도 오르거든요. 기준금리가 오른다는 건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는 좋지 않은 소식이에요.
  • 주가가 떨어져 📉: 지금 같이 금리가 낮을 때는, 예·적금을 가입해도 받을 수 있는 이자가 적어요.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주식 투자를 많이 하는데요. 금리가 상승하면, 원금도 몽땅 날릴 수 있는 주식보다는 안전하게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예·적금으로 눈을 돌린다고. 사람들의 관심이 줄어들면 가격도 하락할 수밖에.
  • 아메리카 러시 💰: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국과 대만 등 신흥국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은 미국으로 투자금을 옮겨요.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망할 가능성도 적은데, 수익률도 높아졌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주식 시장은 외국인의 영향력이 커서 외국인들의 투자금이 옮겨가면 좋지 않은 신호라고.

다들 오래전부터 연준이 테이퍼링을 실시할 거라고 계속 이야기했는데요. 덕분에 큰 영향은 아직 없다고.
*기준금리는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예요. 금융기관은 기준금리에 일정한 금리를 더해 우리에게 대출해주거나 예·적금 이자를 주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 아직은 아니야
연준이 테이퍼링을 본격적으로 발표하면서 이제 사람들의 관심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향했어요. 그런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현재는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전문가들은 연준이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인상할 거로 보고 있어요. 
🥫 케첩(Catch-up)
8년 전의 악몽, 이번에는?

*딥핑 소오스는 다양한 구독자들과 의견을 공유하며 사고를 더 넓히는 너겟의 새로운 코너예요. 

삼성전자가 5년 만에 인사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있는데요. 그중 사람들의 관심이 쏠린 건 동료평가제예요. 동료평가제는 동료 부서원 3명을 지정해 평가를 받는 건데요. 수평적이고 공정한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 상급자가 직원들을 평가하던 기존 인사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도입을 논의 중이에요. 하지만 젊은 직원들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어요.

  • 좋은 방안인 것 같아 😊: 기존에는 상사 마음대로 평가가 이뤄질 수도 있어서 불만이 컸는데요. 동료에게 평가받으면 그래도 공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을 것 같아요.
  • 공정한 거 맞아? 🤔: 사적인 감정으로 일부러 점수를 낮게 줄 수도 있고, 오히려 서로를 감시한다는 분위기가 생겨서 팀워크를 해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구독자님은 삼성전자가 논의 중인 '동료평가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응답 기간: 11월 18일(목) ~ 11월 25일(목)
3번째 딥핑 소오스는 27일 토요일에 공개될 예정이에요.

세입자를 설득하는 배당의 원리 (2)

지난주에는 물권과 채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배당을 진행하게 되면 어떤 것이 더 우위에 있는 권리이며, 우위에 있는 권리들은 어떤 식으로 배당하는지를 살펴봤어요.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 배당표를 직접 짜서 명도*를 해야 할 세입자를 직접 설득할 수 있게끔 배당하는 세부 순서에 대해 이야기 할게요.
*명도란 경매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로, 기존에 살고 있던 사람의 거주지를 옮기는 행위를 말해요.

배당은 언제 진행되는 거지?
경매가 진행되는 기일이 가장 먼저 정해져야 해요. 이후 경매 기일 때 낙찰받는 사람이 나타나면 7일 동안 해당 경매 물건에 대한 이의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매각결정기일이 진행되는데요. 여기서 별다른 이의제기가 발생하지 않으면 매각을 최종적으로 확정 짓는 매각허가결정확정이 내려져요.

법원은 최고가로 낙찰한 낙찰자에게 (매각허가결정확정 이후) 30일 내로 나머지 잔금인 90%의 금액을 내라는 매각대금 납부를 통보하게 되고요. 이후 낙찰자가 잔금을 치르면 법원을 4주 내로 배당금을 지급할 날을 정하고 돈을 받아야 할 채권자들을 한자리에 모으는데요. 여기서 낙찰자가 낸 금액을 배당 순서에 맞게 지급하고 배당을 종결해요.

배당 순서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배당 순서는 우선변제권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빚을 갚지 못해 담보 잡은 물건이 경매로 넘어간 경우 우선변제권이 없는 일은 만나보기 힘들기 때문에 우선변제권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말할게요. 우선변제권이 없는 경우도 궁금하면, 첨부한 배당표를 보고 순서가 다르다는 점만 살펴보면 돼요.

한입에 해치우는 이슈
제목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어요.
오늘(18일) 주식 시장의 개장·폐장이 1시간씩 늦춰져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되기 때문인데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열리니 오전 9시에 장이 열리지 않아도 당황하지 마세요. 

내일(19일)부터는 모든 사업자가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월급 명세서를 제공해야 해요. 월급 명세서에는 기본급, 수당, 상여금 등 내용을 상세하게 적어야 한다고. 사업주가 월급 명세서를 주지 않거나, 기재 사항을 적지 않으면 근로자 1명당 20~30만 원 과태료를 내야 해요. 이후에도 계속 어기면 과태료는 100만 원까지 올라가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시행되자 배달앱 이용자가 22%나 감소하고 외식 수요는 크게 늘었어요. 그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여러 명의 사람과 사적모임을 하기 힘들었는데요. 이제는 조금은 자유로워져 외식을 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에요.

최근 미국 씨티은행이 국내 소매금융 부분을 철수한 데 이어 캐나다 노바스코샤은행도 국내 사업 철수를 결정했어요. 2013년 영국계 HSBC은행이 국내 소매금융 사업이 철수한 이후 골드만삭스, 바클레이스, 맥쿼리은행 등도 줄줄이 한국을 떠나고 있는데요. 외국계 은행들이 한국을 떠나는 건 높아지는 경쟁력, 높은 규제, 지나친 정부의 간섭 등이 이유라고.
원유 가격을 두고 정부와 낙농업계 간 눈치 싸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정부가 용도별 차등 가격제 도입을 제안했어요. 흰 우유를 만드는 음용유와 치즈 등의 원료로 사용하는 가공유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자는 건데요. 음용유는 지금과 같은 가격으로, 가공유는 조금 싼 가격을 적용해 우유 가격을 현실적으로 낮춰보자고.
🥔 너가 Get 하면 좋은 단어
⭐ 탭루트(Taproot): 식물의 곧은 뿌리라는 뜻인데요. 비트코인에서는 비트코인의 서명 방식을 개선해 프라이버시를 향상시키는 소프트포크*를 말해요. 일종의 업그레이드인 거죠.
*소프트포크는 이전 버전과 호환이 가능한 업그레이드예요.

👉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의 하락세를 두고 많은 투자자가 차익실현에 나선 것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 있는데요. 탭루트 업그레이드 이후 비트코인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꺾이면서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오늘 너겟은 맛있었나요? 💡
친구도 맛있는 경제뉴스 '너겟'을 볼 수 있도록 소개해주세요.

오늘의 너겟은 어땠어요? 
님의 생각💬을 듣고 싶어요!

너겟 (nugget) 
광고 및 협업 문의 nugget_letter@uget.co.kr  
Copyright ⓒ 2021 nugg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