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임 그리니엄💚 #목조건축 #탄소중립 그린슈머의 킬링타임 <그리니엄> 월요일에 만나요! 부실 공사부터 비리, 안타까운 붕괴 사고까지. 요즘 방송에서 건축 관련 이야기 많이 나오죠. 오늘은 건축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건축 현장에서 쓰이는 목재의 매력 포인트를 시작으로 건축 자재로 재탄생한 건설 폐기물, 현실판 잭과 콩나무 목조 빌딩 시장 동향까지. 건축 분야의 순환경제 인사이트를 담은 6월 넷째 주 그리니엄 레터를 보내드립니다. 이번 한 주도 활기차게 시작하세요!☺ 도시 전체가 숲처럼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면 어떨까요? 최근 건축가와 건설 업계가 목재에 매우 열광하고 있는데요. 이들은 목재를 지속가능한 자재로 보고 건축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몇 년 사이, 목재로 만든 건물이 유럽과 미국 등에 세워지고 있단 소식! Circle 뉴스 순환 경제를 쉽게 정리했어요. 틈틈이 읽어보면 어느새 당신도 순환경제 전문가! ![]() 걸핏하면 들려오는 건설 폐기물 불법 매립 사건. 매립 비용 때문에 마을 외곽에 몰래 버리고 가거나, 아파트 시공 시 벽 사이에 몰래 숨겨두기도 하죠. 그런데 이 넘쳐 나는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 ![]() 지구온난화의 주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건물이 있다면 어떨까요. 현실 불가능한 생각이라고요? NO! 최근 탄소 배출을 낮추고자 목재로 만든 빌딩이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소식! 5초 브리핑 딱 5초, 순환 경제 동향 빠르게 읽고 가세요! 1. 동아시아 최초 '탄소중립도시' 계획 세운 서울 🌏 탄소중립도시 달성 계획을 담은 서울의 '기후행동계획(CAP)'이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의 최종 승인! C40은 기후변화 대응 위한 도시들의 협의체로 현재 96개 도시가 참여 중이라네요. 2. 희토류도 재활용하자 목소리 높여📢
산업계에서 전략 광물인 희토류를 국가 안보 차원에서 재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단 목소리가 나왔어요. 버려진 제품으로부터 희토류 회수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고 지속적일 것이란 설명! 3. 환경 오염 걱정 '제로' 친환경 마스크 출시 🇪🇸 스페인에서 개발한 마스크가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천은 면화, 끈은 옥수수 성분을 사용해 만들어 매립시 100% 생분해되고, 퇴비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여기에 성능도 뒤떨어지진 않는단 점! 4. 숨은 자원 찾아 나선 태안군 🏃♂️ 지난해 상반기 폐비닐 157톤, 농약 빈통 30톤 등 총 824톤의 숨은 자원을 찾은 충청남도 태안군! 올해도 농어촌 지역에 방치된 각종 폐기물을 수거해 재활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하네요. 5. 빨대와 작별 선언한 시드니 양 🇦🇺 호주 시드니에서 내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를 쓸 수 없다고 하는데요.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스주는 오는 2022년부터 일회용 비닐봉지, 플라스틱 빨대, 식기, 면봉 등의 사용을 금지한다고. 이지C 이지C와 함께 순환경제의 AtoZ 쉽게 알아볼까요? 어서와, 순환경제는 두 번째지?
이번 주도 어김없이 찾아온 이지씨! 지난번에 이어 순환경제 관련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주체 3인방>시리즈를 준비했는데요. 개인에 이어 기업과 정부의 역할 그리고 노력에 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아아! 잠깐마안!!! 나 이전 내용 기억 안나요!” 하는 분들, 그럴 줄 알고 준비한 ‘키워드로 알아보는 순환경제 A-Z(개인편)’ 1분 요약! 함께 훑어볼까요? 그리니엄 레터는 앞으로 매주 월요일 정오, 점심시간에 여러분을 찾아가겠습니다. 그린슈머의 킬링타임, 그리니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아임 그리니엄💚 =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주 월요일 정오에 만나요 :) 멋진 파트너! 반가워요👀 그리니엄과 함께하고 싶은 이야기나 알리고 싶은 소식이 있다면 greenium@greenium.kr을 통해 알려주세요. 담당 매니저가 꼼꼼히 확인 후 최대한 빠르게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