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무엇과 싸우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온 뽀글이입니다.

흐름 편집부 단톡방을 공개합니다.

얼른 보세요!


                    



흐름 뉴스레터는 매달 둘째 주와 넷째 주 수요일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책 만드는 건 프로지만, 뉴스레터는 초보인 저희에게 피드백은 큰 힘이 됩니다.
뉴스레터 끝에 있는 피드백 폼에 여러분의 목소리를 남겨주세요.



전체의 인상을 결정짓는

나만의 1밀리미터


『1밀리미터의 싸움』

페터 바이코치 지음, 배진아 옮김, 정연구 감수


by 뽀글이

안녕하세요. 1밀리미터의 싸움으로 돌아온 뽀글이입니다.

저는 어릴 때 의학드라마, 의학 다큐멘터리를 엄청나게 좋아했었는데요.

드라마에 종종 나오는 "메스!" "200줄 차지!"는 물론이고, 양손을 가슴 위로 들고 "이 수술 제가 집도합니다" 같은 대사들을 따라 하며 놀곤 했습니다.

이 책의 내용이 드라마 뺨치게 드라마틱 하다 보니 저도 같이 울고 웃으며 만들었습니다. (진짜로 한 방울 흘린 건 비밀)

어쩌면 앞서 만들었던 두 권이 모두 기술에 관련된 책이어서(두 번째 인류 우리는 가상 세계로 간다) 한 사람의 이야기가 담긴 에세이가 더 반가웠던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은 시한폭탄 같은 각종 뇌 질환들과 두께가 1밀리미터도 채 되지 않는 혈관벽을 사이에 두고 싸우는 신경외과 의사의 일을 보여줍니다. 복잡하고 예민한 뇌 안에서 단 1밀리미터를 전진하기 위해 몇 시간씩 씨름하는 모습을 보면서 문득 나의 '1밀리미터의 싸움'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 편집자의 일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는 1밀리미터의 싸움은 교정, 교열이 아닐까 싶은데요. 편집자들이 하는 일을 어떻게 보여주지... 하는 걱정이 들던 그때! 제 머릿속을 스치는 일화가 있었습니다.

 

때는 서이노 편집자가 홀리데이 인 뮤지엄을 편집할 당시였습니다. '짚어'와 '집어' 중 어느 것이 맞느냐는 질문이었습니다. '그게 그거 아니야?' 싶을 수도 있겠지만 편집자들에게는 밤을 새우게 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프사 모두 진짜 주의) 

(그러나 결국 '집'으로 갔다고 한다.)
항상 도움 주는 흐름 편집부 사랑해애애애액!!!!💙


종이책 만드는 편집자라고 하면 주변에서 종종 "너 그럼 맞춤법이랑 띄어쓰기 잘 알아?"라고 물어오는데, 그럴 때마다 항상 당당하게 "아니!🙅‍♀️"라고 대답합니다.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맞는지 계속 신경 쓰다 보면 게슈탈트 붕괴 현상이 찾아옵니다. 꼼꼼이가 맞는 건지 꼼꼼히가 맞는 건지, 왠지 오늘따라 꼼꼼이가 맞는 거 같고, 볼수록 '꼼꼼'이란 글자도 이상해 보입니다. ('꼼꼼히'가 맞습니다.) 하지만 걱정 없습니다. 우리에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있거든요. 조금 더 구체적인 예시가 필요할 땐 온라인가나다이용하곤 합니다. 웬만한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국립국어원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를 즐겨찾기 해놓으시면 좋습니다.

 

1밀리미터의 싸움을 만들 때에는 맞춤법과 띄어쓰기 말고 한 가지 난관이 더 있었는데요, 바로 의학 용어였습니다.

심지어 원서는 독일에서 출간되어, 독일어 의학 용어를 번역가께서 영어, 한국어로 옮기고, 그걸 또 감수자께서 재차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의학 용어나 책 속에 나오는 여러 묘사에 대해 맞게 표현됐는지 거듭 여쭤봤는데 끝까지 함께 봐주셔서 책이 무사히 출간될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뇌는 우리의 몸을 컨트롤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병변을 완벽히 제거한다고 해도 환자에게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밀리미터가 아주 중요해집니다. 단어 하나로 책이 전하는 메시지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편집자들도 점 하나로 몇날 며칠을 고민하곤 합니다. 꼭 의사나 편집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남들은 모르는, 그러나 전체의 인상을 결정짓는 1밀리미터로 고민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되는 책이었습니다. 여러분의 '1밀리미터의 싸움'은 무엇인가요?

『1밀리미터의 싸움』

페터 바이코치 지음, 배진아 옮김, 정연구 감수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책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발행인 유정연  I   이메일 주소 news.wave@hbooks.co.kr  I   수신거부 Unsubscribe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