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Trend Topic 정리📚
1. "AI 거품론 = 기우?"... 구글·메타·아마존 모두 ▲
2. 엔비디아, 양자컴퓨터와 슈퍼컴퓨터 결합
3. 엔비디아 독주 속, AI 반도체 확보 경쟁 심화
4. AI 활용 핵심, 전략적 데이터 관리 |
|
|
고성능 컴퓨팅(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에서 인터커넥션 네트워크(Interconnection Network)는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수천, 수만 개의프로세서를 병렬 형태로 작업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데, 이 때 각 프로세서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인터커넥션 네트워크 기술은 크게 △Cray Aries △InfiniBand △Intel Omini-Path △Ethernet 등 네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통신 효율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HPC 인터커넥션 네트워크도 HPC 시스템이 대규모가 될수록 한계점이 존재하는데요. 어떤 한계점이 존재하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아래 원문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
|
|
Trend Topic
"AI 거품론=기우?"...구글·메타·아마존 모두 ▲✅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3분기 실적이 월가 예상치를 뛰어넘었어요. 인공지능(AI) 서비스나 관련 인프라 부문의 수익이 예상보다 더 많았는데요. 한 마디로 'AI 서프라이즈'예요. 구글, MS, 아마존의 경우 인공지능 서비스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생성형 AI에 최적화된 각 사 클라우드 매출이 크게 증가했어요. 기업 CEO들은 AI 투자에 따른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면서 최근 'AI 거품론'을 불식시키는 발언을 이어갔어요.
각 빅테크는 AI 투자를 위해 평소보다 더 많은 자본을 쓴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앞으로도 이들 기업의 AI 투자는 계속될 전망이에요. 대표적으로 알파벳, MS, 아마존은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해 소형 모듈원자로(SMR) 개발 투자 계획을 밝혔어요.
▶ "AI 거품론=기우?"... 구글·메타·아마존 모두 'AI 서프라이즈'
▶ AI 열풍에 전력 수요 폭증... 아마존 등 빅테크 소형원전 광폭 투자
|
|
|
엔비디아, 양자컴퓨터와 슈퍼컴퓨터 결합👀
엔비디아가 양자컴퓨터와 슈퍼컴퓨터를 결합하기 위한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어요.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가속기 시장에 이어 양자컴퓨터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인데요.
지난 4일 IT전문매체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양자컴퓨터 기업 퀸텀머신은 양자컴퓨터 오류 보정 문제 해결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어요. 퀸텀머신은 2018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양자컴퓨터를 더 쉽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플랫폼 '퀀텀 오케스트레이션(QOP)'과 양자컴퓨터를 위한 최초의 표준 범용 언어 'QUA'를 발표하는 등 높은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기업이에요.
엔비디아는 슈퍼컴퓨터 기술을 활용해 오류를 10%만 보정해낼 수 있다면 양자컴퓨터의 논리적 큐피트가 기하급수적으로 향상된 오류 보정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 엔비디아, 양자컴퓨터 오류 보정 연구 속도... AI 가속기 이후 먹거리 '탄탄'
▶ 양자와 AI의 결합... 초지능 시대 열린다
|
|
|
엔비디아 독주 속, AI 반도체 확보 경쟁 심화😮
이제 인공지능(AI)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 되고 있어요. 보다 고성능의 AI를 개발해 글로벌 산업 패권을 확보하려는 국가간 기업간 각축전이 벌어지는 상황인데요. 이에 AI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HW) 칩 'AI 반도체' 기술 역량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어요. 현재 엔비디아가 시장을 독점하는 가운데 전통 반도체 업체는 이에 대항할 신제품을 보이고 있으며, 빅테크 기업들은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칩을 개발하고 있어요.
국내 AI 반도체 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3% 정도로 알려졌어요. 우리 정부는 2020년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해 2030년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을 발표했어요. 업계에서는 향후 AI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국산 반도체 활용이 확산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요.
▶ 격동의 'AI 반도체' 시장... 엔비디아 아성에 도전장
|
|
|
디지털 리얼티가 자사 '2024 글로벌 데이터 인사이트 서베이'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어요. 글로벌 서베이에 따르면 한국(66%), 싱가포르(46%), 홍콩(45%)의 기업 다수가 자사의 AI 도입 수준을 성숙하다고 평가했는데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IT 리더들은 AI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데 있어 전략적 데이터 관리가 핵심임을 인정했어요.
아울러 72%의 기업이 데이터 위치 전략을 AI 전략 계획과 연계하여 핵심 지역에 고밀도 스토리지와 처리 용량을 배치함으로써 AI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어요. 또한 향후 2년 이내에 인프라를 1~5곳에 추가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은 56%에 달했어요.
|
|
|
Clunixmktg@clunix.com | 02-3486-5896(0302) 서울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 하이테크시티 1동 1206-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