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호] 저 그런 뜻으로 말한 거 아니에요

팀 문화는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요, 리더의 개인적 특성은 특히 더욱 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상사는 자신이 의도한 것보다 훨씬 거대한 영향력을 조직 문화에 미치고 있죠. <실리콘밸리의 팀장들>에서는 이 영향력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쓸 수 있는지 이렇게 조언하고 있어요. 💘

✅ 팀장이 바로 팀 문화다


1. 정리하라: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라 

상사로서 감내해야 할 직원들의 시선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침묵도 마찬가지.


2. 분명한 논의와 의사 결정: 문화가 '그냥 흘러가게' 내버려두지 마라

어떤 논의와 의사 결정은 그냥 '인사팀에 위임' 하고픈 생각이 듭니다. 가령 이번 행사를 '홀리데이 파티'라고 할까, 아니면 그냥 '크리스마스 파티'라고 할까? 크리스마스트리를 설치해야 할까? 술을 준비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하지만, 당신이 의사 결정을 내리지 않으면 조직은 결국 무정부상태로 빠져들게 됩니다.


3. 설득하라: 사소함에 집중하라

세부 사항에 관심을 기울이면 당신은 직원들에게 조직 문화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설득할 수 있습니다. 예로 사무실 환경은 문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당신은 은은한 조명의 차분한 분위기를 원하나요? 아니면 모두가 분주하게 돌아다니는 활기찬 사무실 분위기를 원하나요? 사소한 선택을 통해 직원들이 조직 문화에 따라 행동하도록 설득할 수 있어요.


4. 실행하라: 행동은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

놀랍게도 당신의 사소한 행동마저 조직 문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루한 말이지만 리더의 솔선수범이 팔로워들을 움직이게 합니다.


5. 배워라: 실수에서 배우는 팀 문화를 만들어라

골치 아픈 일은 언제든 일어나게 마련입니다. 그런 일이 벌어질 때, 문제로부터 배우고 변화를 추진하는 것은 상사인 당신의 몫입니다. 그러한 책임을 게을리할 때, 실수에서 배우는 조직 문화를 구축할 수 없어요.


6. 들어라: 팀 문화는 자기 복제로 퍼져나간다

조직 문화와 관련해서 가장 놀라운 점은 강력한 문화는 자가 복제 기능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당신이 조직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많은 의식적인 노력을 했더라도, 자기 자신보다 더 큰 가치를 이룩했다고 느낄 때 비로소 성공했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죠. 이를테면, 내가 직접 관리 감독 하지 않은 일이지만, 팀원들끼리 내가 그리는 그림을 완성해냈을 때.

👁‍🗨 리더와 팔로워의 신비로운 상관관계 💭


즐겨보는 목요뇌과학뉴스에 흥미로운 연구가 소개되어 공유합니다. 어떤 리더를 만나느냐에 따라 뇌의 반응이 달라진다는 재미있는 연구였어요.


흥미로운 점은, 리더의 실제 능력과 상관없이, 리더가 나를 이해해 주고 지원해 준다고 느낄 때 뇌가 반응한다는 거예요. 즉, 중요한 건 리더의 실제 행동보다는 내가 그 리더를 어떻게 느끼느냐는 거죠. 이 연구*는 리더십이 단순한 기술이나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인식과 신뢰가 중요하다는 걸 보여줘요. 리더를 믿고 신뢰하면, 그 자체로 뇌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일어나고, 자연스럽게 동기부여가 되는 거예요. 따라서 리더십의 핵심은 '나에게 어떻게 다가오느냐'에 달려 있는 거죠.

(*리더십과 신뢰: 변혁적 리더로 인식되는 리더에 대한 팔로워의 신경적 반응)


이런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우리 뇌 깊숙한 곳에서부터 작동하는 특별한 힘을 발휘합니다.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는 단순한 업무 지시를 넘어, 뇌에서 실제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연결로 작용하죠.

🚩 변혁적 리더(Transformational Leader)

리더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그들의 가치관과 신념에 변화를 일으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영감을 주는 리더십 스타일. 이 리더십은 구성원들이 단순히 지시를 따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동기 부여를 느끼며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구성원의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상당한 경력의 리더에게도 어려운 일입니다. 리더에게 도움이 되고 구성원에게 전파해야 할 리더십을 제대로 정의하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 팀장의 리더십


    어느 조직에서나 조직 관점에서 쉽게 리더의 역할과 리더십을 정의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조직 내 리더들이 얼마나 동의하고 공감하여 자신이 팀을 이끌 때 적용할 수 있느냐입니다.

    결국 조직이 추구하는 리더십을 리더들에게 잘 전파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회사가 정한 것을 그냥 따르라는 것이 아닌 실제 리더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아야 합니다.

    나는 동의하지 않지만 회사에서 하라고 해서 한다는 식의 리더의 변명이야말로 구성원에게 지지도 받지 못하고 가이드도 줄 수 없는 최악의 리더십이기 때문입니다. 


    📚리더십 논의를 위해 참고할만한 책


    줄리 주오, <팀장의 탄생>, 2020.

    앤드루 S 그로브, <하이 아웃풋 매니지먼트>, 2018.

    에드 캣멀, <창의성을 지휘하라>,2014.


    출처: 원티드북스, <스타트업 HR 팀장들>

    문화는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유지하고 전파하는 데 더욱 많은 노력이 들기에 끊임없이 리마인드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문화콘텐츠 서비스에서는 문화 메시지 포스터와 뉴스레터, 웹툰 개발을 통해 리마인드 업무를 서포트 하고 있어요. 

    다른 기업에서는 어떻게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 홈페이지에서 둘러보시고, 궁금하신 점을 자유롭게 문의하기에 남겨주세요.

    리더십의 검증은 팔로워십에 있다

    리더는 팔로워와 팔로워십의 의미를 늘 생각해야 합니다.

    팔로워십은 맹목적으로 리더를 따르는 구성원을 부르는 개념이 아닙니다. 필요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며 리더의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더 나은 결정을 위한 비판을 할 수 있으며, 조직의 목표와 성장에 공헌하는 구성원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구성원이 보다 진솔하게 리더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리더 스스로 평소 경청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고, 일관된 메시지와 행동을 보이며,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감사와 사과에 대해서 표현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스스로의 리더십이 유효한가에 대한 답을 혼자서 찾는 것을 멈춰야 합니다. 지금 함께 하고 있는 구성원과 리더십의 답을 함께 찾아보세요. 

    🚩 리더를 위한 유익한 기사 모음 ZIP


    나의 리더 유형은? 테스트하러가기


    ‘Z세대가 꿈꾸는 리더는?’…유재석·아이유가 뽑힌 이유는 ‘소통과 배려’ 기사보기


    직장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상사를 떠난다...리더는 직원의 인생을 흔드는 사람 읽어보기


    MBTI 리더십: 리더가 알잘딱깔센 업무 보고를 주고받는 법 읽어보기


    "우리 팀장님 T야"...리더의 말하기 'HOW 화법'으로 해결 하자 읽어보기


    (영상) 리더의 말그릇을 키우는 방법 - 세바시 들어보기



    지난달 보내드린 신년회 87호 레터가 97호로 표기되어 발행되었습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마음만은 벌써 아흔 일곱 편을 써 내려갔었나 봐요. 사랑으로 속아주세요 :) 


    위캔두잇 레터는 자사 서비스에 문의하셨거나, 홈페이지 가입, 이벤트 참여하신 분들께 월1회 발송됩니다. 레터가 불편하신 분들은 하단의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캐릭콘
    characcon@naver.com
    서울 서초구 서운로 19, 1811호 07047365020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