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가 왔습니다
<월요뉴스: 독서퀴즈>
제911회 독서퀴즈입니다
<~6/18까지 응모>
OTT로 쉽게 배우는 경제 수업

나는 조기은퇴를 꿈꾼다 - 파이어족

  영화 <작전> 포스터

작전 / 감독 이호재

주가는 원칙적으로 기업 가치나 경제 상황을 반영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머니게임이다 보니 탐욕이 개입된다. 이른바 작전세력이 개입할 때 주가는 이유 없이 출렁이고, 자칫 개미투자자들은 낭패를 당할 수 있다.

영화 <작전>은 주식시장 어디에선가 벌어지고 있는 주가 조작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영화다. 연극을 전공한 강현수는 주식에 뛰어들었다가 한순간 신용불량자로 전락한다. 이후 독기를 품고 독학한 그는 전업 개미투자자로 재기한다. 그는 추세를 지켜보다가 우연히 오메가정보통신주가 작전주라는 것을 발견한다. 이를 추격해 수천만 원을 손에 쥐며 ‘빙고’를 부르지만, 알고 보니 전직 조폭 출신 황종구가 작업 중이던 종목이다. 이들에게 포섭된 현수는 600억 원짜리 작전에 휘말린다. 탈세를 원하는 졸부, 비자금을 축적하려는 정치인까지 참여하는 초대형 금융스캔들이다. 하지만 돈 앞에 신의는 없다. 이 작전에 참여한 사람들은 더 큰돈을 벌기 위해 서로를 속고 속이면서 납치와 살해를 반복하게 된다.

강현수는 인생 한방을 노린다. 골방에서 라면을 먹어가며 주식시장 내공을 쌓고 있다. 그러다 오메가정보통신으로 수천만 원을 벌게 된 강현수는 이렇게 외친다.

“한 번에 1,000만 원, 통장에 10억 찍는 날, 이 생활도 쫑이다.”

노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충분한 돈을 번 뒤 조기은퇴를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을 ‘파이어(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족’이라고 부른다. 즉 경제적으로 자립해서 일찍 은퇴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현업에서 은퇴는 5060세대가 하지만 이보다 빨리 30대 말이나 늦어도 40대 초반까지는 은퇴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다.

파이어족은 원래 회사생활을 하는 20대부터 소비를 줄이고 수입의 70~80% 이상을 저축하는 등 극단적으로 절약을 해서 일찍 은퇴해 자신의 삶을 즐기는 사람을 의미했다. 즉 원하는 목표액을 벌어 부자가 되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조금 덜 먹고 덜 쓰고 나중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파이어족을 꿈꾸는 사람들은 생활비 절약을 위해 주택 규모를 줄이고, 오래된 차를 타고, 외식과 여행을 줄이는 것은 물론 먹거리를 스스로 재배하기도 한다.

파이어 운동은 199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확산됐는데, 방법론은 달라졌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이어진 경제침체기에 사회생활을 시작한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들은 저금리·저성장시대를 맞아 과거처럼 돈을 절약해 저축하는 것으로는 은퇴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워졌다. 일에 대한 불만족도, 높은 청년실업률, 경제적 불확실성 확대 등도 차분히 돈을 모으는 것을 어렵게 했다. 이 세대들로 인해 주식, 가상통화, 부동산 등 자산투자를 통해 많은 돈을 벌어서 빨리 은퇴하는 것으로 파이어 운동의 의미가 바뀌게 됐다.


미국 파이어족이 목표로 하는 노후자금은 우리 돈 약 11억~22억 원 정도다. 이 돈을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해 연 5~6%의 수익을 얻어 생활비로 사용한다. 2021년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평균 12억 원을 넘어섰다. 그러다 보니 10억 원은 크지 않은 돈처럼 보이지만, 사실 현금 10억 원은 적지 않은 돈이다. 이 돈을 굴려서 연간 5% 수익률을 낸다면 연간 5,000만 원의 수익을 얻는다. 웬만한 직장인들의 한 해 연봉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인들이 10억, 20억 원이나 되는 집들을 엉덩이에 깔고 살고 있다는 건 비극일 수도 있다.

영화 속 현수는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 어머니에게 돈을 좀 빌려 달라고 한다. 그러나 어머니는 집주인이 집을 싸게 내놔서 집을 사는 바람에 돈이 없다며 거절한다. 화가 난 현수는 큰 소리로 따진다. “과천 촌구석이 무슨 비전이 있다고 집을 덜컥 사. 이 동네는 죽었다 깨어나도 절대 안 올라요. 엄마가 부동산을 알어?” 이 영화는 2009년에 제작됐다. 현재 과천 이 아파트의 집값은 얼마일까? 집값이 조정을 받았다고 해도 역시 높다. 영화 <작전>에 붙은 댓글은 이렇다. “역시 집이다. 엄마 말 잘 들어.” 부동산이 자산의 대부분을 결정하는 가계의 웃픈 현실을 대변한다.


주간 독서퀴즈: 6/5~6/18
(멤버십 회원 전용)
상품: 북코캐시 1만원 권 (10명)

911회 독서퀴즈입니다.

 

노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충분한 돈을 번 뒤 조기은퇴를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을 ‘파이어(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족’이라고 부른다. 즉 경제적으로 자립해서 일찍 은퇴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현업에서 은퇴는 5060세대가 하지만 이보다 빨리 30대 말이나 늦어도 40대 초반까지는 은퇴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출처: OTT로 쉽게 배우는 경제 수업중에서)

 

① 파이어족은 원래는 회사생활을 하는 20대부터 소비를 줄이고 수입의 70~80% 이상을 저축하는 등 극단적으로 절약을 해서 일찍 은퇴해 자신의 삶을 즐기는 사람을 의미했다.

② 파이어 운동은 199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확산됐는데, 그 방법론은 달라졌다.

③ 저금리·저성장시대를 맞아 과거처럼 절약과 저축으로는 은퇴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워지자 주식, 가상통화 등 투자를 통해 큰돈을 벌어 빨리 은퇴하는 것으로 파이어 운동의 의미가 바뀌게 됐다.

④ 코로나19 이후 경제 활동이 위축되면서 자산 투자보다는 절약을 통해 자산을 모아 일찍 은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다시 파이어족의 트렌드가 되었다.

2023년 6월 2주차 추천도서
북코스모스 멤버십 안내
북코스모스 멤버십 회원이 되시면, A4 8페이지 분량의 도서요약본 6000종과 오디오북, 배송비만 내고 신간도서 받아볼 수 있는 문화도시락, 독서퀴즈 및 각종 이벤트 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님께서 북코스모스 뉴스레터 수신을 승낙하셨습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여기에서 로그인 후 <메일링 서비스>페이지에서 수신거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체사인 경우 사내 인트라넷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메일은 (주)북코스모스에서 발송한 발신전용 메일입니다. 관련 문의 사항에 대해서는 customer@bookcosmos.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409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6-09858 (주)북코스모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22 현대 아이스페이스 1601호 02-335-2222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