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DC 기조연설에 올라온 팀 쿡 애플 CEO.
애플 지능(Apple Intelligence)의 탄생
애플 WWDC2024의 내용. 사실 블룸버그의 보도로 많은 부분이 유출되었는데요. WWDC2024는 과연 유출된 내용을 애플이 얼마나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로 엮어내는지를 보여주는 자리였습니다. 2시간 동안 사전 녹화된 영상을 틀어주고 함께 시청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서프라이즈도 없었어요. 하지만 애플이 AI를 어떻게 소비자들에게 가져올지를 엄청나게 고민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애플은 애플 생태계 기기 아이폰, 아이패드, 맥을 관통하는 생성형AI를 '애플지능(Apple Intelligence)'이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앞으로 AI는 인공지능이 아니라 애플지능이라고 부르겠다는 애플의 '애플중심적 사고'가 눈에 띄었는데요. 🤣
AI가 소비자들에게 쓸모있는 서비스로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애플은 너무 잘 알고 있었어요. 바로 개인화. 애플은 이를 Personal Context라고 설명했어요. AI가 개인의 사적인 대화 및 경험의 맥락을 이해하고 있어야 고객들에게 가장 쓸모 있는 AI가 된다는 것.
그러나 소비자 개인화를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가져와야하고 이는 소비자들에게 예민할 수가 있죠. 문제는 생성형AI는 모델의 사이즈가 크기때문에 아이폰 등 디바이스에서 계산하기 어렵다는 것이에요. 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데이터센터(클라우드)로 보내서 이를 연산시키고 다시 가져오는 절차가 필요해요.
이를 위해서 애플은 어떻게 하기로 했냐면 직접 데이터센터를 만들기로 했어요. 자신들의 AI반도체가 탑재된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고객의 데이터는 여기서만 처리하기로 한 것. 그 이름은 바로 Private Cloud Compute 라고 정했습니다. 그래서 온디바이스로 애플 반도체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온디바이스에서, 높은 연산이 필요한 것은 클라우드로 보내는 하이브리드 AI를 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고객의 정보를 가져와서 어떤 것을 하느냐면요.
첫번째. 시리가 좀 더 개인화된 비서가 됩니다. 생성형AI가 고객을 좀더 잘 이해해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줘요. 내 말을 잘 알아듣는 개인용 비서를 만드는 것이 애플의 목표.
둘째 앱에 실제 명령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현재는 시리와 AI를 가지고 애플이 직접만든 앱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서드파티앱(우버나 배민같은)에도 확장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