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키우는 돈키레터 | 2021년 12월 06일 월요일
I N D E X
월요일 : 효라클의 효라칼럼 | 한강뷰의 미국주식으로 한강뷰 가기
화요일 : 효라클의 효라칼럼 | 코라클의 코인,어디까지 가봤니
수요일 : 효라클의 효라칼럼 | 시골교수의 부동산 이슈 인사이트
목요일 : 효라클의 효라칼럼 | 어썸인의 어썸한 부동산 꿀팁
금요일 : 효라클의 효라칼럼 | Coming Soon

📝효라클 
   효 라 칼 럼   
🚀 <지옥> 다음은 <고요의 바다>

📸 넷플릭스 <고요의 바다> 포스터
<오징어게임>에 이어 <지옥>마저 넷플릭스를 장악한 가운데다음 타자가 조용히 출격을 기다리고 있습니다바로 <고요의 바다>인데요공유와 배두나가 주연을 맡아서 벌써부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고요의 바다> 12 24일 공개를 확정 지은 상황인데필수 자원의 고갈로 황폐해진 미래의 지구에서 특수 임무를 받고 달에 버려진 연구 기지로 떠나는 정예 대원들의 이야기를 담은 우주 SF물입니다

<고요의 바다제작사는 아티스트스튜디오입니다이정재와 정우성이 설립해서 유명한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아티스트컴퍼니와 함께 #위지윅스튜디오에 매각될 예정입니다. 연내 합병을 마무리하기로 협약한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소속 아티스트와 IP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지윅스튜디오와 협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이 같은 행보는 위지윅스튜디오의 모회사인 #컴투스와 관계가 깊습니다올해 위지윅스튜디오의 지분 38%를 인수하며 최대주주에 오른 컴투스는 메타버스, NFT 사업에 진심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고요의 바다> <지옥>의 뒤를 이어 넷플릭스 전 세계 스트리밍 1위를 차지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바쁘니까 요약이다!
✔ 12/24, 넷플릭스에서 공유와 배두나가 주연을 맡은 우주 SF물 <고요의 바다> 공개 확정
✔ <고요의 바다> 제작사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위지윅스튜디오에 매각될 예정이며, 메타버스 및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지윅스튜디오와 협업할 계획
✔ 위지윅스튜디오의 모회사인 #컴투스는 위지윅스튜디오의 지분 38%를 인수하며 최대주주에 오름.
 <오징어게임>과 <지옥>에 이어 <고요의 바다>도 넷플릭스 전 세계 스트리밍 1위를 차지할지 귀추가 주목됨.
📈효라클
세계 경제 흐름과 다년간의 수많은 데이터로 뉴스보다 더 빠르게 앞서가는 슈퍼개미입니다.
주식적 사고의 창시자 [오늘의 주식], [문과생의 주식 투자 vs 이과생의 주식 투자]을 집필하였으며 블로그, 카페, 유튜브강의 등 활발하게 활동중인 주식 전문가입니다. 
💲한강뷰 
미국주식으로 한강뷰 가기
📊 미국의 대표 반도체 ETF 3대장 알아보기
▶ 반도체, 4차 산업 혁명의 열쇠

📸 Photo by christian wiediger
누가 뭐라 해도 앞으로의 10년은 4차 산업 혁명의 시대이자 기술의 시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욱 비약적인 기술발전과 함께 우리의 삶, 더 나아가 전 세계가 바뀌게 되겠죠.

그렇다면 이 4차 산업 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반도체라고 생각합니다. AI부터 자율주행, 클라우드 서비스, 우주항공, 더 나아가 모든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에 이르기까지 반도체는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기대감이 엄청나게 높아지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들의 주가와 시가총액도 나날이 커져만 가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미국에는 워낙 많은 반도체 회사들이 있기에 딱 어떤 기업을 골라 투자하기가 난감합니다. 너무나도 좋아 보이는 기업들이 한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역시나 이럴 때는 ETF 투자가 가장 마음 편하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분들을 위해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 ETF 3대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 1. SOXX -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 ETF
첫 번째로 알아볼 녀석은 반도체 ETF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큰 SOXX입니다. 정식 명칭은 iShares PHLX Semiconductor ETF로 블랙록에서 2001년 상장하여 지금까지 운용해오고 있는 ETF입니다.

1126일 기준으로 운용자산 규모는 9.2B10조 원을 넘어가는 사이즈입니다. 그리고 운용 수수료는 0.43%로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죠. 워낙 큰 규모답게 일 거래량도 400M 수준에 이르고, 거래하는 데 큰 문제가 없는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SOXX는 현재 32개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ETF 치고는 소수의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상위 15개의 기업이 76%나 되는 비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하는 종목들은 87%의 비중으로 대부분이 미국 기업들이며, 근소하게나마 네덜란드와 대만의 기업들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하는 종목 중의 92%나 되는 높은 비중이 설계 및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기업이며, 반도체를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의 비중은 8% 정도로 낮은 편입니다.

대표적인 보유 종목들은 위와 같습니다. 엔비디아가 10%의 비중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그 뒤를 브로드컴과 인텔, 퀄컴 등이 이어갑니다. 또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AMD 등의 기업들도 보이고, 램리서치/AMAT 같은 반도체 장비 기업들도 작지만 의미 있는 비중을 가지고 있죠.

전반적으로 미국의 대표적 반도체 설계 기업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XX가 지난 몇 년간 보여온 퍼포먼스는 가히 대단합니다. 이게 ETF가 맞나? 싶을 정도로 꾸준하게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SOXX1년 수익률은 52%, 3244%, 그리고 5년 수익률은 무려 369%에 달합니다. 5년 동안 SOXX에 투자를 했다면 내 운용자산을 몇 배나 불릴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OXX의 인기는 그동안 대단했으며, 앞으로도 큰 인기를 끌 거 같습니다.
▶ 2. SMH - 반도체 장비 위주의 포트폴리오

그다음으로 알아볼 ETFSMH ETF입니다. 정식 명칭은 VacEck Vectors Semiconductor ETF이며, 이 또한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반도체 ETF중 하나입니다.

2000년 상장되어 SOXX보다도 더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6.94B (8.3조 원)에 달하는 운용자산을 형성하고 있죠. 평균 일 거래량도 870M 수준으로 상당히 높으며, 심지어 운용 수수료는 0.35%SOXX보다도 더 낮습니다.

SOXX가 반도체 설계 기업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가졌다면 SMH는 반도체 장비 & 제조 기업들의 비중이 좀 더 높은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하는 종목의 수는 26개로 SOXX보다도 더 낮으며, 그 중 상위 15개 기업의 비중이 85%에나 달합니다. 사실상 상위 10~15개 기업의 주가 흐름이 SMH의 실적을 만든다고 볼 수도 있는 광경이죠.

SMH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이 75%, 대만이 14.5%이며, 네덜란드의 비중도 9%로 의미 있는 편입니다. 그만큼 해외 반도체 기업들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상세한 보유 종목 현황을 봐야 하겠죠? 우선 역시나 엔비디아가 14.5%의 비중으로 포트폴리오 1위의 영광을 가져갔으며, TSMC의 비중이 14.2%로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3위인 ASML을 포함하여 AMAT과 램리서치의 비중도 높은 편이죠. 그만큼 반도체 설계 기업뿐만 아니라 장비주, 파운드리 기업에도 높은 비중을 쏟는 SMH의 모습입니다.

그 외의 종목들은 비중의 차이만 있을 뿐, SOXX와 큰 차이점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SMH의 수익률도 SOXX처럼 높은 편입니다. 1년 수익률이 52%이며, 3253%, 5년 수익률은 358%에 이릅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SOXX와 그다지 큰 차이점을 가지지 않는 수익률이기에 사실 어떤 ETF를 투자해도 결과는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3. XSD - 더욱 다양한 기업을 커버하는 ETF
마지막은 XSD라는 티커를 가지고 있는 SPDR S&P Semiconductor ETF입니다. S&P 500에 속한 반도체 부품 제조기업들과 그 외의 연관 기업들을 추종하는 상품이죠. 스테이츠 스트릿에서 2006년부터 운용해오고 있는 ETF로 오늘 알아보는 3개의 ETF 중에서는 가장 작고 역사가 짧은 ETF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운용 자산은 1.5B(대략 1.8)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고, 일평균 거래량도 18M 정도에 불과합니다. 다만 운용수수료는 0.35%SMH와 동일하죠.

XSD는 현재 41개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위 10, 15개 기업의 비중이 앞선 2ETF보다 상당히 낮다는 것을 감안할 때 보유종목 전체에 비슷한 퍼센티지를 주며 골고루 투자하는 성향의 ETF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덕분에 상위 15개 기업의 비중은 47%에 불과한 편입니다.

XSD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 97.5%로 사실상 미국에 올인하는 ETF라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반도체 설계 기업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라지캡 우량주에 올인하는 앞선 2개의 ETF와 달리 XSD는 스몰캡, 그리고 중형주에도 의미 있는 비중을 두는 편입니다.

이 녀석의 포트폴리오는 SOXX, SMH와는 사뭇 다릅니다. 우선 전자장치 인터페이스 개발 기업인 시냅틱스가 3.5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SiC 금속 반도체 경쟁력을 갖춘 울프스피드가 2위에 올라있습니다. 그리고 그 뒤를 드디어 AMD, 엔비디아 같은 대형 반도체 기업들이 이어가죠. 전반적으로 우리가 잘 모르는 중소형 반도체 기업들도 많이 포함되어있고 반도체와 큰 연관성을 가지지 못한 기업들도 일부 포함되어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XSD의 수익률도 만만치 않게 높습니다. 1년 수익률은 무려 57%에 이르고, 3265%, 5년 수익률도 348%에 이릅니다. 어떤 ETF에 투자했었어도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 더욱 밝은 미래가 기대되는 반도체 ETF들
지금까지 미국의 대표 반도체 ETF 3대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서로 운용수수료나 투자 성향, 포트폴리오도 조금씩 달랐지만 그래도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왔다는 사실에서는 차이점이 없었습니다.

반도체 기업들은 앞으로도 꾸준히 잘 나갈 기업들입니다. 그렇기에 오늘 알아본 ETF들의 미래도 여전히 밝다는 생각이 듭니다 😊
바쁘니까 요약이다!
✔ AI부터 자율주행클라우드 서비스우주항공더 나아가 모든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에 이르기까지 반도체는 필수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 ETF 3대장
👉 1. SOXX: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큼, 32개의 기업에 투자하며 대부분 미국 기업. 반도체 설계 및 기술과 관련된 기업이 92%를 차지함. 1년 수익률은 52%, 3년 244%, 그리고 5년은 369%
👉 2. SMH: 반도체 장비 & 제조 기업들의 비중이 높음. 1년 수익률은 52%, 3년 253%, 5년 수익률은 358%
👉 3. XSD: 반도체 설계 기업 위주. 스몰캡, 중형주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 1년 수익률 57%, 3년은 265%, 5년 348%
✔ 서로 운용수수료나 투자 성향, 포트폴리오는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높은 수익률을 기록, 앞으로의 반도체 기업들과 ETF 미래도 밝을 것으로 기대됨.
🇺🇸한강뷰
미국주식분야 네이버 공식 인플루언서이자 [미국주식으로 한강뷰 가기] 책 저자 한강뷰입니다. 미국주식에 대한 기초부터 기업과 ETF 분석, 더 나아가 시황정리까지 미국주식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쉽게 알려드립니다.
Q&A 
돈키에게 물어봐!
여러분들의 질문에
각 분야의 필진들이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레터의 내용이 너무 어려우신가요?
공부하시다가 궁금한 점이 생기셨다구요?

한국주식 ㅣ 미국주식 ㅣ 부동산 ㅣ 암호화폐

각 분야의 필진에게 직접 물어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아래 버튼을 눌러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About 
DONKEY LETTER
➕ 이름 또는 닉네임 수정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누르셔서 작성해주세요!
➕ 돈키레터 공유하기 및 지난 돈키레터 보기😍
➕ 수신거부를 원하시는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제휴 및 광고 문의  
donkeyletter@gmail.com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517 아셈타워 3008호
저작권 안내
Copyright ⓒ 2021 hyoracle, All rights reserved
돈키레터에게 말해봐!
돈키스트 여러분들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자 만들었습니다! 
좋은점아쉬운점 또는 제안하시거나 궁금하신 점  모두! 남겨주시면 함께 만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이런 점이 좋아요!
이런 점이 보완되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