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트렌드와 알아야 하는 경제 용어
📌 TRENDS
이번 주 트렌드
  • 콘텐트리중앙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드라마인 "모범가족"이 최근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파탄 직전의 가족을 구하기 위해 마약 운반책이 되는 내용인 이 드라마는 월드 랭킹 10위권에 안착했습니다.
같은 시각 "이상한변호사우영우"는 "샌드맨", "네버 해브 아이 에버" 등에 밀려 5위에 위치한 상황입니다.

모범가족의 제작사는 셀트리온 홀딩스의 자회사인 셀트리온 엔터테인먼트, 프로덕션H입니다.
프로덕션 H는 2021년 6월 인수되면서 JTBC스튜디오가 93.8%의 지분을 보유 중인 상황입니다.
JTBC스튜디오의 모회사는 종합미디어법인인 콘텐트리중앙입니다.


모범가족은 10부작으로 구성 된 짧은 드라마 특성 상 흥행을 하더라도 이를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 1위를 차지하며 한 때 체스열풍을 불게했던 "퀸즈겜빗" 또한 7부작이었기 때문에 꾸준한 흥행이 아닌 반짝효과까지만 불러일으켰기 때문입니다.

드라마의 길이도 문제지만 평가도 영 좋지 못한 모습입니다.
모범가족은 시즌2를 암시할 것과 같은 결말로 끝을 맺었지만, 이러한 결말이 아쉽다는 평가와 과한 폭력성, 답답한 구성 등의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상업자본 유입으로 인한 과한 내용 개입이 또다른 문제점으로 보입니다.
이상한변호사우영우는 변호사들이 낸 3권의 책들을 에피소드 원작으로 삼았고 퀸즈겜빗도 1983년 미국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드라마인 반면, 모범가족은 이렇다 할 원작이 없습니다. 오히려 미국 드라마 "오자크"를 베낀 것 아니냐는 평이 존재할 뿐입니다.
이는 처음부터 흥행을 목적으로 자본이 유입된 후 제작되었으며, 그렇다보니 작품의 독창성과 신선함보다 이미 흥행에 성공했던 다른 작품을 참고한 '안전지향적인 작품'이 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모범가족의 김진우 감독은 해당 유사성 논란에 대해 "오자크를 본 적이 없다"라고 답했습니다. 얼마나 유사한지는 구독자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 Invesco MSCI Sustainable Future ETF

환경위기는 예전부터 꾸준히 언급되는 단어입니다.
최근 각종 질병의 유행과 장마철 폭우 등 '지구가 바뀌었다'는 인식이 이 단어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일기 예보가 자주 틀린다는 인식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같은 지역 내에서 부분적으로 비가 내리는 현상은 기상청 입장에서는 날씨를 맞추었지만 일기예보를 본 사람 중 일부에게는 맞추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비가 온다고 미리 예보된 비율(강수맞힘률, POD)의 1년(2021년 7월~ 2022년 6월)평균은 50% 수준이며 강수 패턴의 변화와 기상 이변으로 오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한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이어져 온 환경문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은 에너지 안보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투자를 시행하는 법안으로, 12일 상원에 이어 하원에서도 가결되었습니다.

이에 의해 재생에너지 사용 세금공제 혜택, 전기차 보급 촉진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에너지 부문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장 규모가 큰 미국의 친환경 ETF는 Invesco MSCI Sustainable Future ETF(ERTH)입니다.


더 많은 친환경 ETF 찾아보기: 바로가기
🔑 KEYWORDS
이번 주 경제용어
  • 미코노미

"新소비주체 Z세대 나를 위해 미코노미 한다...” 

미코노미는 나 자신을 뜻하는 Me와 경제를 뜻하는 Economy의 합성어로 나를 위한 소비 행위를 뜻합니다.

캐시플로우에서 생각하는 미코노미의 핵심은 소비가 아닌 '나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고생했으니 혹은 좋거나 안좋은 일이 있어서 선물을 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선물한다는 것은 특별하고 가치있는 무언가를 주는 행위를 뜻합니다.
단순히 돈을 쓰는 것에 그치는 것은 나를 위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코노미라는 말이 자주 보이기 때문에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 보기는 어려워요. 소비의 총량은 정해져 있고 그 방향은 조금 더 특별한 쪽으로 모일 것이라 해석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 해석은 캐시플로우에서 전해드렸던 요즘 핫한 박재범 소주, 반짝효과일까?에서 첫번째 트렌드에 등장하는 내용, 소비자들이 일반적인 술을 찾기보다 '나의 입맛에 맞는 술'을 찾는 소비 행태의 변화와 연결해서 생각해볼 수 있어요.


  • 디깅 소비

"MZ세대 '디깅소비' 열풍..."

디깅소비는 지면을 파고 들어가는 Digging과 소비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선호하는 영역을 깊게 파고들며 관련된 제품을 소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골프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가 각종 골프 용품부터 카카오 골프 굿즈까지 소비하는 행위, 커피에 관심 많은 소비자가 커피만 사마시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라인더, 각종 원두, 카카오 분말 등을 사고 '커피 맛집'을 찾아다니는 행위 등이 디깅소비에 해당됩니다.

디깅소비와 관련된 하나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 취향 기반 중고거래는 하루 평균 4만 3,000 건
  • 한정판 스니커즈 2021년 상반기 거래액은 376억 원

이 단어가 들린다는 것은 : 요즘 상황은 소비를 통해 취미에 관련된 용품들을 수집하고 그 용품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본인의 아이덴티티를 만드는 것에 큰 관심을 보이는 상황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각종 취미 생활에 소비를 하고 싶은 상황은 알겠지만 요즘은 무지출이 유행이 될 정도로 여건이 녹록치 않습니다.

다만 이후 소비 심리가 살아나고 다시 디깅이 시작된다면, 그 돈은 다양한 취향을 맞출 수 있는 기업 또는 시장에 흘러들어갈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겠습니다.

오늘 이야기 어떠셨나요?
소중한 한 말씀 귀담아 듣겠습니다

🙂 [좋아요!]                🤨 [별로예요]

이 이야기가 마음에 드셨다면

다른 이야기도 궁금하시다면

편하게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캐시플로우
cashflow@aware.llc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3길 18, 6층 0507-1304-0859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