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는 아이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화녹음' 기능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아이폰 사용자라면 다들 알겠지만, 기본적으로 아이폰에는 통화 녹음 기능이 없어요. 그러나 '애플 인텔리전스AI'를 통해 앞으로는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해요.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저는 정말 신기하고 유용하다고 생각했어요. 업무상 전화 통화가 많은 사람들에게 통화 녹음은 필수불가결한 기능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아이폰에서는 기본적으로 통화 녹음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앱을 사용하거나 녹음기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어요.
애플 인텔리전스AI 통화녹음의 개념
애플은 아이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통화녹음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 콜 레코딩'을 도입할 예정인데요. 이 기능은 기존의 통화녹음 앱과는 달리 AI 기술을 활용하여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해요.
통화가 시작되면 아이폰의 AI 엔진이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통화 내용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요. 애플의 메시지 앱이나 메모장 앱에서 통화 내용을 볼 수 있으며, 이메일이나 클라우드 서비스로도 전송할 수 있고, 키워드나 날짜, 시간 등으로 검색해서 찾아볼 수도 있어 편리할 것 같네요.
AI를 통한 통화 녹음 개인정보 침해 논란
통화 녹음 기능은 매우 유용하지만,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된 논란이 있어요.
-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사인 간 통화 내용을 기업이 녹음하고 AI를 통해 문자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개인정보 유출 및 침해 가능성을 불러일으킵니다.
- 법적 문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음성 통화 데이터가 당사자들의 동의 없이 기업의 서버에 저장되는 경우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SK텔레콤의 AI 비서 앱 에이닷은 통화를 녹음하고 AI를 통해 녹취록과 요약본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기존에 통화 녹음 기능이 없는 아이폰 사용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는데요, 이 과정에서 사인 간 통화를 기업이 녹음하고 이를 문자로 변환해 제공하는 것이 개인정보 유출 및 침해 가능성으로 논란이 불거졌었어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음성 통화 데이터가 당사자들의 동의 없이 기업의 서버에 저장되는 경우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며, 이용 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동의를 받았는지 조사 중이라고 해요. 이와 같은 우려는 SK텔레콤의 에이닷뿐만 아니라 네이버의 클로바노트, 줌의 AI 컴패니언 등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기업들에서도 동일하게 제기되고 있는데요.
SK텔레콤은 아이폰에서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망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카카오톡 보이스톡과 유사한 방식이며, 통화 녹음 파일은 아이폰 에이닷 앱에 저장되며, 서버에는 저장되지 않고, 텍스트로 변환된 후 AI를 통해 요약된 뒤 즉시 삭제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고 하네요.
네이버의 클로바노트도 이용자가 업로드한 녹음 파일과 텍스트로 변환된 데이터가 네이버 서버에 저장되며, 이용자 동의에 따라 AI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히며 비식별화 처리가 되어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인다고 설명했으나, 여전히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인데요.
이와 같은 논란은 외국에서도 이어지고 있으며, 줌의 AI 컴패니언 서비스도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불러일으켰어요. 다양한 AI 서비스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확산되면서 개인정보 저장과 유출에 대한 우려는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보이네요.
결론적으로, AI를 활용한 통화 녹음 기능은 매우 유용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어요.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이 제시되어야만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앞으로 관련 법규와 기술적 해결책이 어떻게 발전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관련기사>
○ 애플, 아이폰 통화 중 '녹음' 전면 허용 (2024.06.11.)
○ 개인정보위, 에이닷 등 인공지능(AI) 응용서비스 사전 실태점검 결과 (2024. 6. 13.)
○ 대세로 떠오르는 ‘생성형 AI’, 개인정보는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