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 받을 때 종합소득세? 이 영상 하나로 완전 정복!! 😎
📧 최근 개인연금, 퇴직연금 가입자들은 어떤 트렌드를 보일까? 🧐
📧 국민연금, 당겨 받을까, 제때 받을까, 늦춰 받을까? 🤔
📧 92세 나이에 번역가로 활동할 수 있는 그녀의 비결은? 🤩
📧 내 아이 공부 스트레스, 부모가  할 7가지 포인트는? 😥
5월은 놓치면 안 되는 중요한 이벤트가 있죠!
바로 종합소득세 신고 입니다.
직장인도 종합소득세 신고 해야 할까요?
소득 없이 국민연금 받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할까요?
그 외에 개인연금, 퇴직연금 받을 때는 어떨까요? 

➡️ 내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지, 🤔 
➡️ 과세 소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 신고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

연금과 관련된 종합소득세 신고의 모든 것, 총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영상 보러가려면 클릭🔻
사람들은 요즘 연금 가입과 운용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최근 개인연금, 퇴직연금 통계를 들여다 보니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주목해볼 만한 연금 트렌드 5가지, 부자아빠와 므두셀라가 포인트만 콕! 찝어서 알려드립니다. 
🔻영상 보러가려면 클릭🔻
#국민연금 #조기노령연금 #연기연금

국민연금, 몇 살부터 받는 게 유리할까

글: 김동엽 상무(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당겨 받을까, 제때 받을까, 아니면 늦춰 받을까?”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시기는 출생연도에 따라 다른데요.


✅ 1957년~1960년 사이 출생: 62세

✅ 1961년~1964년 사이 출생: 63세

✅ 1965년~1968년 사이 출생: 64세

✅ 1969년 이후 출생: 65세부터


하지만 반드시 이때부터 연금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때를 기준으로 노령연금을 앞으로 5년 당겨 받을 수도 있고, 뒤로 5년 늦춰 받을 수도 있죠.


당겨 받는 것을 ‘조기노령연금’이라고 하고, 늦춰 받는 것을 ‘연기연금’이라고 합니다. 1969년생인 사람이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면 60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고, 연기연금을 신청하면 70세까지 수급 시기를 늦출 수 있죠.


그렇다면 노령연금을 당겨 받아야 유리할까요, 늦춰 받아야 유리할까요, 아니면 그냥 정상적으로 수령하는 게 유리할까요?

#100세시대 #신체건강 #정신건강

92세 홍여사는 어떻게

슈퍼에이저(Super-Ager)가 되었을까?

글: 김동선 작가((주)조인케어 대표)

젊었을 때에는 모이면 자식들 얘기로 꽃을 피웠는데, 나이들면서는 부모님 이야기가 그 자리를 차지한다. 부모님이 낙상을 하시는 바람에 요양병원을 알아보느라 정신없었던 이야기, 새벽에 호출을 받고 응급실로 달려간 이야기, 치매가 있으신 부모님을 모시는 문제로 형제들이 옥신각신한 이야기까지. 이때 이박사의 얼굴에는 흐뭇한 미소가 흐른다. 


“...자네 모친은 어떠신가? 지금 90세도 넘으셨지? 혼자서 생활하셔도 괜찮은가?”


집안 사정을 잘 아는 친구가 물어온다. 


“아, 우리 어머니가 올해 만으로 92세이시지. 얼마 전에 책을 한 권 번역하셨다네. 번역하느라 고생하셔서 요즘 허리가 안 좋으시다고 하네.” 


입이 벌어진 동창들 사이에서 그는 ‘우리 아이가 반에서 일등 했어’라는 표정이다. 


이 일을 전해 들은 나는 그의 어머니를 취재해 보기로 작정했다. 나이가 들면 자꾸 단어가 혀끝에서만 맴돌고,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이 보통인데, 90대에 번역을 했다니... 말로만 듣던 슈퍼에이저(Super-Ager, 평균적인 노인들에 비해 수 십 년 정도 뇌의 노화가 느린 사람)를 만나보기로 했다.


92세 홍여사를 만나보니 그녀의 총명함의 비결은...

#가정의달 #가족이니까 #공감이우선

내 아이의 공부상처,

알고 계신가요?

글: 박재원 소장(행복한공부연구소 소장)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김현수 교수는 2013년 저서 <공부상처>에서 '공부상처'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요. 이 공부상처를 이해해야 부모가 공부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에 공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공부상처는 총 7가지가 있습니다.


1️⃣ '관계의 상처': '공부만 빼면 정말 사이가 좋을 텐데!'라고 생각하진 않나요? 

2️⃣ '돌봄의 상처': '쏟아 부은 돈이 얼만데 하는 짓이 왜 저 모양이야!'라고 다그친 적이 있으신가요?

3️⃣ '과잉의 상처': 아이가 ‘월화수목금금금’ 공부하고 있진 않은가요?

4️⃣ '역할의 상처': 딴 생각하는 아이에게 "너 지금 죽으라고 공부해도 모자랄 판에 무슨 그런 쓸 데 없는 생각을 하는 거야!"라고 한 적이 있으신가요? 


그리고 3가지가 더 있습니다. 

투자와 연금 관련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여러분의 노후에 정말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전해드립니다.
investpension-info@miraeasset.com
서울 종로구 종로 33 그랑서울 Tower 1 13층
02)3774-2241

추후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수신거부Unsubscribe눌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