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9 #80호
[2023년 SNS-View의 마지막 이야기]
"챗GPT 지나간 자리에 STEM 인재 온다"
올 한해 이슈들의 출발점엔 챗GPT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단호)
<네이처>지는 매해 '올해의 인물 10'을 선정하는데, 올해는 역사상 처음으로 인간이 아닌 챗GPT를 (보너스로) 선정했거든요.😮 과학기술에 전혀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도 누구나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의 등장에는 관심을 가졌고, 유수의 기업들은 발 빠르게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쏟아내(참고: 국내 AI 도입 및 활용현황) 우리는 이미 큰 어려움 없이 생활 속에서 AI 서비스를 잘 이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챗GPT는 초등학생부터 일반 성인들까지 인공지능을 '공부'하게 만들기도 했고(참고), 얼마 전엔 고급 수학과 물리학에도 능한 차세대 AI까지 등장했습니다(관련 뉴스)

어느덧 생활 속에 자리잡은 다양한 생성형 AI들은 '특정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AI를 잘 활용할 줄 아는 것'을 중요한 미래 시민의 필수 역량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심화된 과학기술 패권 경쟁에, 사람들의 관심은 이제 국가의 이공계 인력 정책에 모이고 있습니다. 얼마전 발표된 우리나라 이공계 인재의 유출입 조사를 철저히! 하겠다는 계획선진 국가들의 과학기술 인력(일명, STEM 인재) 정책들과도 맥락을 같이 합니다.
📌챗GPT 등 생성형 AI가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 2023년!
인공지능이 부족한 노동 생산성을 유연히 대신하게될 미래를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융복합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STEAM 융합교육을 받은!) STEM 인재'들이 그 자리를 잘 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2023년이 주는 숙제가 아닐까요?😎
올 한해도 SNS-View와 함께해주신 구독자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SNS-View는 잠시 휴식기를 가진 뒤 2024년에 더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즐거운 연말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한 해 함께해주신 구독자님의 선택
2023년 당신의 SNS-VIEW 원픽 TOP5는?✋
구독자님들께서 맘속에 저장해주신
2023년의 SNS-VIEW 원픽👀 모음ZIP을 공개합니다

 
✨이벤트를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은 내년 뉴스레터에 잘 반영하겠습니다
(따뜻한 응원들도 감사합니다!) 만족도 조사 이벤트 당첨자는
12/22(금)에 개별 안내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사업의 실무자들이 전하는 현장 보고서
🏃‍♂️ KOFAC FOCUS  
[유휴시설 재생 문화공간 사례 및 과학문화 연계 방안] 과거 제조, 의료, 자원 등 산업시설을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3년 이상 운영된 부천, 전주, 부산, 제주 소재 문화공간들은 기존 폐산업시설의 구조를 살려 공간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초점을 두고 있기에, 산업기술의 과학기술사적 의의 및 과학원리 관련 프로그램들은 부재한 이 공간들을 과학문화와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요? (전문보기) 

[예비교원의 디지털 기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미래교육센터 역할 재점검 및 개선방안] 2022년까지 학교 현장의 원격 교육 확산과 안착을 중점 과제로 설정하였던 미래교육센터의 비전은 코로나19의 종식으로 인한 일상 회복으로 2023년 대폭 수정·개선된 바 있습니다.

👉 이에, 미래교육센터 담당자 집중 인터뷰(IDI, In-depth Interview)와 문헌 조사를 통해, 예비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방안에 대한 미래교육센터의 역할을 재점검해봅니다!(전문보기) 

인공지능 통제 관련 연속 보고서
📚 ISSUE PAPER
: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는
인간에게 실존적 위협을 가하게 될 것인가?
: 인공지능 통제와 윤리 표준의 현주소,
그리고 디지털 환경의 新질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 sns@kofac.re.kr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4층~5층)  02-555-0701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