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들에게만 보내는 시크릿 리포트😋
아이템스카우트 월간 분석 리포트 No.2
2022년 3월 : 내 가족, 친구, 동생이 된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성장!
 코로나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실제로 2021년 12월 31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638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5년 새 2015년 457만 가구 대비 181만 가구가 늘어난 수치다. 이 중 반려견은 521만 가구에서 602만마리, 반려묘는 182만 가구에서 258만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즉, 펫팸족이 늘어나면서 펫과 관련된 상품과 검색량이 코로나 전과 비교하면 많이 늘었다. 🧐
 지난 번 골프 산업 리포트에 이어 이번 달에는 반려동물 시장의 규모가 어느 정도로 성장을 했으며,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내 반려동물 산업의 데이터 중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없는지 지금부터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
반려동물 시장은 이제 시작이다?!
반려동물의 시장은 이제 치열한 경쟁의 시작?!
 반려동물의 시장이 왜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했을까요?🤐
 골프, 유아용품 등 기존에 형성되어서 자리를 잡은 시장과는 달리 반려동물의 시장은 여전히 아이디어 상품들로 매출이 나오고 있는 시장입니다. 즉, 시장이 아직 미완성 단계라서 아이디어 상품들로도 시장이 만들어질 수 있는 성장성이 높은 시장입니다.😍
 실제로 다양한 카테고리를 분석해봤을 때 반려동물들에 해당하는 네이버 쇼핑의 카테고리에서 반려견 사료 브랜드(로얄캐닌 18.2%)를 제외하고는 비등비등한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즉, 아직까지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한 브랜드가 없다는 말은 조금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제품이 나온다면 금방 시장을 압도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심지어 반려동물의 제품들을 수천가지가 되는데, 여기에서 압도적인 브랜드가 없다는 말은 지금 브랜드를 준비하고 출시해도 된다는 말입니다.😍
1. 상품 대비 검색수의 성장이 더딘 점은 변수
 아이템스카우트 내 반려동물 카테고리를 검색해본 결과 생각보다 반려동물에 대한 제품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에 비해서 검색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은 성장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이걸 통해서 2가지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 '검색 수의 한계치가 왔다.', 둘 '키워드들이 많아지면서 키워드들이 분산됐지만, 타 산업군처럼 다시 몇 개의 키워드만 살아남을 것이다'. 이렇게 분석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상품수에 비해 검색수가 적게 성장한 것은 그만큼 키워드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그에 따른 마케팅 경쟁도 치열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션, 뷰티 시장처럼 어느 정도 초기에 마케팅 경쟁이 심해지고 나면 상품수는 줄어들고, 마케팅 등으로 검색량이 늘어나면서 경쟁이 지금보다 적어질 확률이 높다는 예측도 해볼 수 있습니다. 😍
2. 매출이 늘어나고 있는 반려동물 시장!
 반려동물의 카테고리의 6개월 간의 매출을 보면 골프 카테고리 분석 때와 비교해봐도 전혀 반려동물 시장이 골프에 뒤지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성장세를 본다면 올해 연말이 될 때는 골프의 시장보다 반려동물의 시장의 매출이 더 늘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

 실제로 네이버뿐만 아니라 타 이커머스를 봐도 반려동물의 성장세는 상당히 뜨겁습니다. 오히려 패션, 뷰티 시장이 성장했던 성장세보다 더 뜨겁다는 점에서 주목해봐야 합니다. 
 마켓컬리는 반려동물 관련 상품의 판매량이 3년 만에 5배 증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마켓컬리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펫 상품 판매를 시작해 반려동물 상품 판매량이 3년간 매월 10%씩 성장했다. 올해 월 평균 판매량은 2018년 11월 대비 21배로 뛰었다. 구매 고객 수도 지난해보다 월 평균 2.5배 증가했다. 반려동물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의 1회 평균 주문액은 반려동물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고객보다 38% 높았다.
 SSG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9월 프리미엄 반려동물 전문관 '몰리스 쓱'을 오픈한 뒤 12월까지 반려동물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신장했다.
 CU의 상반기 반려동물 상품 매출은 전년 대비 48.7% 올랐다. 상반기 반려동물의 사료와 간식 매출이 53.8% 뛰었으며, 배변봉투, 애견샴푸 등 활동성 용품 매출은 전년 대비 20.6% 증가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15년 1조9000억원 수준에서 작년 3조4000억원, 2027년에는 6조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다양한 이커머스 채널 등을 통해서도 반려동물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을 하고 있는 만큼, 참신하고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낸다면 마켓위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제품 개발 등에 공수를 들여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1년간의 성장율을 보면서 내가 잘할 수 있는 걸 찾아보자!
 반려동물의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면 1년 동안 성장한 카테고리가 정말로 많아도 너무 많았습니다. 대부분의 키워드들이 200% 이상의 성장을 보였고, 상위권에 속하는 카테고리는 위의 5개가 대표적이었습니다. 🙇‍♀️

 강아지 배변용품 중에서도 배변패드의 6개월 간의 매출은 559억원이었는데 1년 사이에 배변패드가 성장한 성장율은 작년 대비 574% 성장했습니다. 즉, 작년에 비해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급증해 배변패드의 시장이 폭발적인 매출을 기록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반면 강아지 장난감/훈련 중에서 공/원반이 모든 반려동물 카테고리 중에서 1년 동안 제일 많은 성장을 이뤘는데, 6개월 간의 매출은 116억원으로 매출적으로는 아직 성장 가능성이 더 높아 보였습니다. 만약 강아지 관련 장난감을 기획하고 있다면, 공/원반 관련된 제품을 출시한다면 2022년은 웃을 수 있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여전히 반려동물 시장의 경우에는 매년 성장을 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양한 브랜드들이 새로운 아이디어 제품들을 출시를 하면서 매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다.'라는 명언이 있는 것처럼, 지금도 엄청 빠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아이디어 상품, 예쁜 디자인이 있다면 제품을 만들어서 출시해도 충분히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으실 거라고 믿습니다👍
 배변용품의 1년 간의 성장율과 매출이 어느 정도 올라온 만큼 배변용품의 브랜드 검색량을 비교해봤을 때 정직한패드의 시장점유율이 17.8%로 2위와 2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장난감 브랜드의 검색량을 보면 1위가 4.4%로 아직 마켓위너가 없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

 이처럼 매출이 올라가고 있는 시장들 중에서도 여전히 치열한 박빙의 상황인 곳들이 반려동물 시장에서는 많았다는 점입니다. 반려동물 시장의 경우에도 올해가 지나고 내년 상반기 안에는 다른 시장들처럼 마켓위너가 정해지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마켓위너가 나오기 전 내년 상반기까지 시기가 남은 만큼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꼭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도전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

 3월 달에는 반려동물 시장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아이템스카우트는 매달 산업별로 다양한 정보들을 리포트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님도 위의 자료를 보면서 어떤 제품들을 소싱해야할 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아이템스카우트'를 들어와서 더 디테일한 자료를 기반으로 소싱을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님, 반려동물 관련된 분석은 잘 보셨을까요?
반려동물 시장에 대한 성장은 올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위의 자료를 토대로 미리 반려동물 제품들을 소싱해본다면,
올해 즐거운 일들로 가득하지 않을까요?😄
주식회사 문리버
marketing@itemscout.io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2, 17층 (프론트원)
070-8833-300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