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창작자의 권리는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나
누군가에게는 가볍게 즐기는 한 번의 유행이겠지만, 창작자들에게 지브리 프사 열풍은 생존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현재로선 AI 이미지 제작 분야에서 ‘인간 창작자’들이 법적으로 권리를 보호 받을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좁아요.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게요.
① ‘화풍’이나 ‘스타일’은 법적 보호 대상이 아니라고요?
현재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 법원은 화풍이나 그림의 스타일을 아이디어의 영역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화풍과 스타일을 저작권으로 인정하면 창작의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죠. 이는 예술이 여러 창작자와 작품간 스타일의 영향 속에서 발전하는 것이란 시각에서 비롯됐습니다. 그래서 저작권법은 오리지널리티를 갖춘 개별 작품을 강력하게 보호하되, 콘셉트∙스타일∙기법의 모방은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아요.
그러나 챗GPT의 작업은 과거 예술가들이 서로의 영향을 주고 받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완성해 나갔던 것과 다르다는 반론도 존재합니다. ‘인간’ 창작자들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기존 스타일을 재해석하고 변형해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 냅니다. 반면, 챗GPT와 같은 AI는 인간 창작자들의 작품을 데이터로 학습해 단순 모방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합니다. 창작에 따르는 고민과 노력은 사라진 셈입니다.
“AI 역시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조합을 생성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마저 인간 창작자들의 데이터를 원천으로 삼아 훈련한 뒤 통계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도출한 것일 뿐, 인간 창작자가 노력하는 방식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AI는 어디까지나 훈련∙학습을 통해 그럴듯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지, 그것을 ‘고유한 창작’의 영역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죠.
② AI 학습에서 데이터를 공정하게 이용하지 않았다면? 저작권 ‘무단 침해’일 수도
AI의 저작권 침해 문제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또다른 항목은 데이터 사용입니다. 이번 지브리 프사 열풍을 예로 들어볼게요. 만약 오픈 AI가 챗GPT를 훈련하는 과정에서 지브리 작품을 대가 없이 무단으로 활용했다면, 이는 저작권 침해로 볼 소지가 있습니다.
다만, 저작권을 가진 작품으로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게 법 위반인지 여부는 아직 각국 법원이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입니다. 원작자인 지브리 스튜디오가 오픈AI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다면, 지브리는 오픈 AI가 자사의 저작물을 별도의 계약 없이 챗GTP 학습에 이용했고, 그것이 저작권 침해 수준에 이른다는 점을 입증해야만 하죠. 반대로 오픈AI는 ‘지브리 작품으로 챗GPT를 훈련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하고요. 양쪽 모두 직접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쉽지 않은 환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