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인을 위한 KDI 뉴스레터 '왓츠업'을 만나보세요. 지난 뉴스레터에서 왓플님께만 공지했듯이, 오늘 KDI 경제전망이 발표되었습니다. 여러분께 신속하게 소식을 전하고자 '특별호'로 찾아왔어요. (특별하게 오렌지🍊컬러로 준비했어요😉) 내년도 우리 경제에 대해 꼼꼼히 읽고, 경제전망 모의고사 이벤트도 도전하세요! |
|
|
👩💻 오늘의 What's Up 요약
◾ 2025년 대한민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KDI 2024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합니다.
◾ 이제 물가는 안정됐다고 하는데... 앞으로의 정책은 어느 방향으로 가야할까요?
◾ 두번째로 준비한 '경제전망 모의고사', 경제장학생에 도전하세요!
|
|
|
경제성장률: 2024년 2.2%, 2025년 2.0% 전망 |
|
|
2025년 우리 경제는 내수 부진이 점차 완화되겠으나, 수출 증가세 둔화로 2024년(2.2%)보다 낮은 2.0%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하와 수출 개선의 점진적 효과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개선되겠지만, 건설투자는 누적된 건설수주 감소, 수출은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민간소비: 금리 인하와 수출 개선에 힘입어 올해 1.3%에서 내년 1.8%로 증가 ◾설비투자: 금리인하와 반도체 경기가 호조를 보이며 올해 1.6%에서 내년 2.1%로 상승 ◾건설투자: 누적된 수주 감소로 인해 올해 -1.8%에 이어 내년에도 0.7% 감소
◾수출: 세계 통상 여건 불확실성에 따라 올해 7.0% 증가에서 내년 2.1% 증가로 조정
◾경상수지: 교역조건 개선으로 올해 875억 달러에서 930억 달러로 흑자폭 확대 ◾소비자물가 상승률: 국제유가 하락과 낮은 수요 압력으로 올해 2.3%에서 1.6%로 하락
◾취업자 수 증가폭: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올해 18만 명에서 14만 명으로 축소
|
|
|
✅ 재정정책
2025년 예산안은 경기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장기적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려는 목표로 현 상황에서 적절한 정책 기조로 판단되며, 앞으로도 정부 지출 증가세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통화정책
물가상승세의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융안정을 위해 거시건전성정책 강화 등 금융당국과의 공조를 통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금융정책
현재 우리 금융시장의 단기적 시스템리스크 우려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나, 중장기적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부실한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한 유동성 공급을 지양하고, 대출상환 능력에 대한 평가를 합리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현안분석 <최근 물가 변동 요인 분석과 시사점> 황선주 모형총괄
최근 몇 년간 큰 폭으로 상승했던 물가상승세가 눈에 띄게 안정되면서, 향후 물가 추이와 거시정책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물가 변동에 대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그리고 정책 외 요인의 동태적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KDI 분석 결과, 기준금리 1%p 하락, 정부지출의 GDP 대비 1%p의 상승은 각각 물가상승률을 최대 0.2%p씩 상승시켰는데요. 통화정책(약 2년)은 재정정책(약 1년)보다 물가상승률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
🎁
KDI 경제전망 이벤트 OPEN!
지금 경제장학생에 도전하세요! |
|
|
<KDI 경제전망 2024 하반기> 보고서, 잘 읽으셨나요?
경제전망 모의고사 문제 풀고, 경제장학생👨🎓에 도전하세요!
✔️ 시험기간: 11월 12일(화) ~ 11월 24일(일)까지
✔️ 당첨인원: 정답자(5천 원), 경제장학생(3만 원), 총 50명 당첨
✔️ 장학생 당첨 팁: 서술형 문제(4번)를 정성껏 작성하면, 당첨 확률 UP!
|
|
|
KDI 한국개발연구원
COPYRIGHT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Tel: 044-550-411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