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vs 롯데. 유통업계의 양대산맥이자 영원한 라이벌인 신세계와 롯데가 올해는 NFT 시장에서 맞붙었습니다.
Vol. 4
 푸빌라 vs 벨리곰 : 유통 대기업들의 멤버십 NFT 전쟁 
(이미지 출처 : Puuvilla Society, Bellygom World)
 신세계 vs 롯데. 지난해 신세계(SSG)의 프로야구 진출에 이어 유통업계의 양대산맥이자 영원한 라이벌인 신세계와 롯데가 올해는 NFT 시장에서 맞붙었습니다. 두 기업 모두 자체 캐릭터를 활용한 멤버십 NFT를 발행하였는데요, 신세계는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친구들'를 활용한 '푸빌라 소사이어티(이하 푸빌라)'를, 롯데는 롯데홈쇼핑의 자체 캐릭터 '벨리곰'을 활용한 '벨리곰 월드(이하 벨리곰)'를 런칭하였습니다. 푸빌라와 벨리곰은 이미 두터운 팬층을 확보하고 있던 캐릭터들인데다가 대기업의 NFT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출시 이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요, 두 프로젝트 모두 세일과 동시에 완판되었을 뿐만 아니라 2차 시장에서도 오픈씨 클레이튼 NFT 주간 거래량 1위와 5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아직도 그 인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푸빌라와 벨리곰은 신세계와 롯데라는 라이벌 관계 외에도 다양한 부분에서 비교되며 NFT 시장에 새로운 경쟁구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요, 늪스레터에서도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두 멤버십 NFT 프로젝트를 전격 비교해 보았습니다.
(9월 8일 03시 기준, 민팅가와 최고가 거래의 한화 가격은 거래 당시 KLAY 가격 기준)
 먼저 출시는 푸빌라가 6월 11일, 벨리곰이 8월 18일로 푸빌라가 두 달 정도 먼저 나왔습니다. 민팅가는 푸빌라가 300 KLAY (약 13만 원), 벨리곰은 620 KLAY (약 23만 원)로 벨리곰이 푸빌라보다 10만 원 더 비싼 가격에 판매되었습니다만, 현재 바닥가는 580 KLAY (약 17만 5천 원)와 587 KLAY (약 18만 원)로 거의 비슷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가장 비싸게 거래된 NFT는 푸빌라가 119,000 KLAY (약 4천만 원), 벨리곰이 100,000 KLAY (약 3천만 원)로 푸빌라가 약 천만 원 정도 더 비싸게 거래되었습니다. 저작권 관련하여서는 푸빌라와 벨리곰 모두 기존의 IP를 활용한 프로젝트이다 보니 소유권만 허용하고 있으나, 벨리곰은 로드맵 상에서의 다음 단계인 Road2에서 NFT 사업권을 활용하게 해줄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SNS의 인기도는 Web2 채널이라고 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의 인기는 벨리곰이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Web3 채널이라고 할 수 있는 트위터와 디스코드의 인기는 푸빌라가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는 기존 IP로서의 인기도에 따라서 벨리곰이 많은 반면에, 트위터와 디스코드는 푸빌라 NFT가 먼저 출시된 효과를 본 것으로 보입니다. 서로 손잡은 NFT 프로젝트도 흥미로웠는데요, 푸빌라는 '메타콩즈'와, 벨리곰은 '선미야클럽'과 협업하여 NFT를 발행하였습니다.

 두 프로젝트는 멤버십 혜택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요, 푸빌라가 신세계 백화점 위주의 '무료 주차권', '멤버스바 커피 쿠폰' 등 기존 VIP 멤버십과 유사한 프리미엄 혜택을 제공하는 반면, 벨리곰은 롯데 계열사를 적극 활용하여 '롯데 시네마 영화 관람권', '롯데 계열 호텔 할인권' 등 실생활과 연계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로드맵의 마지막 단계에서 푸빌라와 벨리곰 모두 메타버스로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요, 미래에는 메타버스에서도 신세계와 롯데의 라이벌 전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푸빌라와 벨리곰은 메시와 호날두처럼 서로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초기인 NFT 시장을 함께 키워나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두 기업이 NFT 시장에 진입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벨리곰을 기획한 롯데홈쇼핑 고봉진 메타버스 셀장은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불안정한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NFT는 실효적 혜택을 제공하는 멤버십 NFT임을 확인"하였다며 멤버십 NFT에 대한 추진 이유를 밝혔습니다(기사). 푸빌라와 벨리곰의 성공으로 앞으로 다른 대기업들에서도 멤버십 NFT를 발행하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될 것 같습니다. 푸빌라와 벨리곰 외에도 다른 대기업들이 발행한 NFT가 궁금하시다면 Find My NFT 사이트 방문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이번 주 NFT 시장 상황 
 이번 주 전체 NFT 거래량은 지난주보다 12% 감소한 1억 394만 달러(약 1,441억 원)를 기록하였습니다. 지난주 전주 대비 거래량이 40% 증가했던 솔라나는 이번 주에도 75% 증가하며 이더리움과의 격차를 4,500만 달러까지 좁혔습니다. 반면 이더리움은 전주 대비 거래량이 31% 감소하며 전체 NFT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7%까지 급락하였습니다. 이더리움 블루칩 NFT들의 거래량이 대부분 급감한 가운데 솔라나는 신규 프로젝트인 'y00ts'의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결과로 보입니다.
(기간 : 2022.08.31~2022.09.07 / 출처 : CryptoSlam)
 이번 주 프로젝트별 거래량 순위는 부동의 1위를 지키던 BAYC의 거래량이 60% 가까이 급감하며 Sorare에게 왕좌를 내준 가운데, 신규 프로젝트가 주간 거래량 3위에 바로 등극하여 이목을 끌었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지난주 늪스레터에서 잠깐 소개 드렸던 'y00ts'인데요, 솔라나 NFT의 대장인 'DeGods'의 세컨 프로젝트로서 민팅 전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맨체스터 유니이티드의 레전드 '웨인 루니'와 NBA 레전드 '앨런 아이버슨', 미국의 유명 래퍼 '릴 베이비' 등 유명인을 화이트리스트에 포함하면서 더욱 인기를 끌었는데요, 게다가 제작사인 'Dust Labs'가 FTX 벤쳐스, 솔라나 벤쳐스, 매직에덴 등으로부터 700만 달러(약 97억 원)의 시드 투자를 받았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화룡점정을 찍었습니다. 그 결과 'y00ts'는 민팅 2시간 만에 오픈씨 24시간 거래량 1위에 올랐으며, 가격도 민팅가 약 38 SOL(375 $DUST)에서 4배가량 오른 150 SOL(약 650만 원)에 바닥가가 형성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DeGods'에 이어 'y00ts'까지, 솔라나 NFT의 기세가 계속 이어질까요, 아니면 이더리움 NFT의 반격이 시작될까요. 그 결과는 다음 주 늪스레터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간 : 2022.08.31~2022.09.07 / 출처 : CryptoSlam)
👌 바쁜 당신을 위해, 3줄 요약 NFT 뉴스 
📰Weekly News
• LG전자, 미국 시장에서 NFT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 'LG Art Lab' 출시 (링크)
1. 예술 분야 전문가가 엄선한 NFT 예술 작품을 감상부터 거래까지 가능
2. 2020년 이후 출시된 LG 스마트 TV(webOS 5.0 이상 탑재 모델)를 비롯해 PC, 스마트폰 등에서 이용 가능
3. 블록체인 플랫폼 헤데라와 LG전자가 개발한 독자 암호 화폐 지갑인 '월립토(Wallypto)' 기
• 영국 락밴드 Muse, NFT 앨범으로 영국 차트 1위 달성 (링크)
1. 폴리곤 기반의 NFT 플랫폼 'Serenade'에서 그들의 9번째 앨범 'Will Of The People'를 한정판으로 발매
2. 영국이 NFT 앨범 판매를 공식 음원 차트에 집계되는 것을 승인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나온 기록
3. NFT는 현재 오픈씨에서 바닥가 0.18 ETH (약 38만 원)에 거래되고 있어 아티스트는 2차 거래 수수료까지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네이버-라인 넥스트, 팬덤 NFT 서비스 '나우드롭스' 티저 공개 (링크)
1. 나우드롭스는 라인 넥스트의 NFT 플랫폼 '도시(DOSI)'에서 선보이는 팬덤 기반 NFT 서비스
2. 아티스트의 멤버별·카메라별 퍼포먼스 영상, 백스테이지 비하인드 영상 등 미공개 콘텐츠를 독점 제공
3. 첫 아티스트는 JYP엔터테인먼트의 신인 걸그룹 'NMIXX'로, 추첨을 통해 'NMIXX'의 NFT를 에어드랍할 예정 (에어드랍 신청하러 가기)
• 월드비전, 국내 NGO 중 처음으로 디지털 자산 후원 사이트 개설 (링크)
1. 디지털 자산(현재는 이더리움만 지원)을 후원금으로 받고, NFT로 후원 증서를 발행
2. 후원 희망자가 실명 입력 후 본인의 전자지갑 속 암호화폐를 월드비전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는 방식
3. 후원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손흥민 NFT와 제리백 스트랩을 증정 (후원하러 가기)
🍎Brand New
• 마마무, 메타비트와 손잡고 크립토닷컴NFT에서 ‘마마무 NFT 스페셜 컬렉션’ 발매 (링크)
1. 미스터리 팩 형태 8종으로 다양한 특전을 포함하고 있는 3,500개의 NFT로 발매
2. 각각의 NFT는 지난 8년간 발매된 마마무 앨범 8개와 함께 맴버들의 솔로 앨범과 콘텐츠에 대한 실질적 특전 제공
3. 9월 19일 22시 판매 예정 (판매 페이지)
(이미지 출처 : MetaBeat)
• 자라섬재즈페스티벌, NFT PASS 발매 (링크)
1. '페스티벌 입장', 'NFT 추가 에어드랍', '스페셜 럭키드로우', '스페셜 손목 밴드' 등의 혜택 제공
2. 10월 1일~3일까지의 페스티벌 기간 중 일자별로 원화 6만 원 또는 6만 원 상당의 이더리움으로 구매 가능
3. 9월 5일부터 수량 소진 시까지 코빗 거래소에서 구매 가능 (판매 페이지)
(이미지 출처 : 자라섬재즈페스티벌)
• 이탈리아 SerieA, 비디오 클립 NFT 발매 (링크)
1. 독일의 축구 매거진 'Onefootball'에서 만든 플로우 기반의 축구 NFT 마켓플레이스  'Aera'에서 발매
2. 'NBA Top Shot'과 'NFL All Day'와 유사하게 'SerieA'의 상징적인 순간들을 담은 비디오 NFT 
3. NFT 팩은 현재 브론즈($9)/실버($49)/골드($249)로 나뉘어 판매 중 (판매 페이지)
(이미지 출처 : Aera)
• FIFA, 알고랜드 기반 NFT 플랫폼 'FIFA+ Collect' 출시 (링크)
1. 'FIFA+ Collect'는 팬들이 FIFA 월드컵의 순간을 소유하고 수집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2. 이달 말 출시 예정으로 다양한 초기 컬렉션과 곧 출시될 독점 및 한정판 컬렉션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할 예정
3. 알고랜드는 지난 5월에 FIFA의 공식 블록체인 파트너로 선정된 바 있음
🤝Partnership
• Ticketmaster, NFT 티켓 판매를 위해 대퍼랩스의 플로우를 선택 (링크)
1. Ticketmaster는 지난 6개월 동안 대퍼랩스와 NFT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
2. 대퍼랩스에 따르면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6개월 동안 5백만 개 이상의 플로우 NFT가 발행
3. 대퍼랩스의 파트너십 수석 부사장인 Mickey Maher는 모든 티켓이 NFT로 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확신하고 있지는 않다고 답변
💵Investment
• DeGods의 제작자가 설립한 'Dust Labs', 700만 달러(약 97억 원) 시드 투자 유치 (링크)
1. 'Dust Labs'는 DeGods 프로젝트에서 분사한 NFT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2. DeGods의 유틸리티 토큰인 '$DUST' 발행을 위해 시드 라운드 자금 조달
3. FTX Ventures, Solana Ventures, Magic Eden 등이 투자자로 참여
🔥 요즘 뭐가 핫한데?
 한 주 간의 블루칩 NFT의 SNS 동향과 최신 NFT 소식을 빠르게 전해드립니다.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을 방문해 주세요!
오늘의 늪스레터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응원과 격려가 큰 힘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