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키워드의 역할과 키워드 도출법을 알아보아요! 브랜드 키워드의 힘: 브랜딩 성공의 숨은 열쇠 |
|
|
안녕하세요. 디블러입니다! 오늘은 브랜딩의 핵심이지만 종종 간과되는 요소인 '브랜드 키워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키워드는 단순한 수식어가 아닌, 브랜드의 DNA이자 소비자와의 감정적 연결고리입니다. |
|
|
여러분, 좋아하는 브랜드를 떠올려보세요. 무엇이 가장 먼저 생각나나요?
대부분은 그 브랜드가 선사한 '감정'을 기억합니다. 애플하면 '혁신', 볼보하면 '안전', 디즈니하면 '마법'과 같은 감정적 연상이 즉시 일어나죠.
10년간 브랜드 컨설팅을 하며 깨달은 한 가지 진실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기능보다 브랜드가 불러일으키는 감정을 더 오래, 더 강하게 기억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 감정을 함축적으로 담아내는 것이 바로 '브랜드 키워드'입니다. |
|
|
키워드는 브랜드의 나침반
브랜드 키워드는 마케팅 용어가 아닙니다.
-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이 결정이 우리 브랜드 키워드와 일치하는가?"라는 질문은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이 됩니다.
- 일관성을 만듭니다: 로고부터 고객 서비스까지, 모든 접점에서 동일한 감정을 전달합니다.
- 차별화를 창출합니다: 혼잡한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합니다.
|
|
|
효과적인 브랜드 키워드의 3가지 유형
브랜드 키워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기능적 키워드
제품이나 서비스의 실용적 가치를 표현합니다.
2. 정서적 키워드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합니다.
3. 상징적 키워드
브랜드가 대표하는 가치나 라이프스타일을 암시합니다.
브랜드의 캐치프레이즈 ( 대표가 되는 문장) 을 추출할때 이 세가지 키워드를 모두 추출하여 균형있게 조합해보면 브랜드와 결이 잘 맞는 문장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기능적 키워드만으로는 감정적 연결이 부족하고, 정서적 키워드만으로는 실질적 가치 전달이 어렵기 때문이죠.
|
|
|
키워드 도출, 과학만큼 예술적인 과정
효과적인 브랜드 키워드를 찾는 과정은 분석적이면서도 직관적입니다.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부 분석: 브랜드의 진정한 강점과 가치는 무엇인가?
- 외부 분석: 경쟁사들은 어떤 키워드 영역을 선점했는가?
- 갭 분석: 아직 선점되지 않은 유의미한 키워드 영역은?
- 진정성 검증: 우리가 실제로 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가?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입니다. 의미없이 멋을 부리는 단어가 아닌 진짜 내 브랜드의 핵심가치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어야 하죠. 최근 한 패스트푸드 체인이 '건강한'이라는 키워드를 선택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그들의 제품 라인업과 너무 괴리가 컸죠. 결국 더 진정성 있는 '즐거운 순간'이라는 키워드로 방향을 전환했던 사례도 있었습니다.
|
|
|
디블러의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브랜드 키워드가 어떻게 전략적 차별화와 일관된 브랜드 경험을 창출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
|
아슈니버스: '아웃슈가 세계관'
건강식품 브랜드 '아슈니버스'의 핵심 가치는 저당 식습관에 대한 새로운 내러티브 구축이었습니다. 아슈니버스가 추구한 키워드는 '아웃 슈가 세계관' 이었습니다.
- 시각적 아이덴티티: 우주와 같은 무중력 상태의 패턴, 빅뱅처럼 퍼져나가는 그래픽 요소를 통해 표현
- 제품 포트폴리오: 야채가루, 그래놀라, 쉐이크 등 저당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는 제품군 구성
- 콘텐츠 전략: 저당 식습관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브랜드만의 우주적 세계관으로 재해석
이 프로젝트의 핵심 성공 요인은 '저당'이라는 기능적 가치를 '우주'라는 상징적 메타포와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영감을 주는 브랜드 세계관을 구축한 점이었습니다. 일반적인 건강식품 브랜드의 직설적 접근이 아닌, 상상력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
|
|
쇼팜: '여성의 당당함'
여성 패션 브랜드 '쇼팜'은 '당당함'이라는 정서적 키워드를 브랜드의 핵심에 두었습니다. 이 키워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되었습니다.
- 모델 캐스팅 전략: 전형적인 마른 체형의 모델이 아닌, 다양한 체형과 개성을 가진 일상 속 현실적인 여성들을 기용
-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섹시하고 도발적이면서도 꾸밈없이 자신감 넘치는 그래픽 모티브 사용
- 제품 철학: 몸매를 가리는 것이 아닌, 자신의 신체를 자신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추구
쇼팜의 사례는 '당당함'이라는 키워드가 단순한 마케팅 슬로건을 넘어, 모델 선정부터 시각적 아이덴티티, 제품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브랜드 경험 전반에 일관되게 적용되었을 때의 강력한 차별화 효과를 보여줍니다.
|
|
|
고갓: '힙한 선비'
광안리의 고기 전문점 '고갓'은 '힙한 선비'라는 독특한 조합의 키워드로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구축했습니다.
- 서비스 경험: 전립투에 고기를 굽는 전통적 방식을 현대적 다이닝 경험으로 재해석
- 공간 디자인: 일반적인 고기집의 투박함을 탈피하여 파인다이닝 수준의 세련된 인테리어 구현
- 브랜드 아이덴티티: 선글라스를 낀 선비 이미지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시각적으로 표현
'힙한 선비'라는 키워드는 얼핏 모순적으로 보이는 두 가치(전통적 고즈넉함과 현대적 힙함)를 결합함으로써, 경쟁이 치열한 고기집 시장에서 고갓만의 독보적인 브랜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는 대비되는 키워드의 전략적 결합이 강력한 차별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
|
브랜드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기 어렵다면 '형용사 키워드 이미지맵' 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크게는 내 브랜드가 정적이고 조용한지, 반대로 역동적이고 활발한지를 판단하여 좌우로 이동합니다.
가볍고 부드러운 무드라면 위쪽으로, 딱딱하고 무거운 무드라면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내 브랜드가 어디쯤에 위치하는지 확인해봅니다. 내가 위치한 무드 속에 대표 키워드와 서브키워드를 좀 더 쉽게 추출 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이미지맵은 실제 디자인작업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맵이니 꼭 한번 체크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
|
브랜드 키워드는 단순한 수식어가 아닙니다. 소비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만드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브랜드가 되고 싶으세요?"라는 질문에 한 단어로 답할 수 없다면, 지금이 브랜드 키워드를 재정립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키워드가 정해졌다면, 이제 키워드를 브랜드의 모든 측면에 일관되게 적용해 나가야 할 단계입니다.
소비자의 마음속에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는 여정은 명확한 키워드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여러분의 브랜드는 어떤 키워드로 기억되고 싶으신가요? |
|
|
'위클리 디블러'에 원하는 기능이 있으신가요?
피드백 남기기 ↑ |
|
|
de.blur 디블러
010.4566.1387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204-13 4f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