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큐레이션
만족만을 위한 취향은 너무 뻔하니까
사진 출처: @kodakstyle_kr
취향이 세분화되는 시대입니다. 차별화된 브랜드가 늘며 소비 기준이 명확해진 덕분이죠. 유명 방송사의 로고가 부각된 '라이선스 패션'의 인기는 개성 표현에 목마른 젊은층의 취향이 반영된 시대의 흐름입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로고 대여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부산의 로컬 편집숍 ‘발란사’는 빈티지 마니아들을 공략합니다. 일관된 톤앤매너 하에 여러 제품을 취급하며 패피에게 주목받는 공간으로 도약했죠. 국내 최초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을 표방한 ‘프리즘’은 새로운 판매 방식으로 감각을 일깨우네요.

 

또한 어린이들의 취향을 저격했던 '레고랜드'의 아쉬운 행보도 준비했습니다.

라이선스 패션
로고 대여 아닌 리빌딩
사진 출처: 코닥어패럴
기자는 출퇴근길마다 패션의 세계란 무궁무진하다는 말을 실감합니다. 승객들의 옷에 코닥(카메라), 예일(대학교), CNN(뉴스)’ 등 생뚱맞은 로고가 부쩍 늘었거든요. 국내 기업이 해외 상표권을 활용해 제작한 라이선스 패션입니다.


화제성으로만 승부할 것 같진 않은데요. 라이선스 패션 트렌드의 이면을 깊게 들여다봤죠.

발란사
부산국밥 인기 넘어설 편집숍
사진 출처: balansa
트렌디한 부산 여행객들의 계획표에는 발란사가 자리합니다. 2008년 서면전포상가에서 빈티지한 취향을 공유하던 이곳은 한 백화점의 러브콜을 시작으로 ‘시몬스, 이마트, 태극당’ 등 국내 유명 기업과 컬래버레이션을 전개했습니다.

구체적인 전략 없이도 매장이 지속된 원동력으로 일관성과 진정성을 강조하는데요. 매력적인 공간이 있기에 근거 없는 자신감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근데 무슨 뜻일까요? 발란사.
프리즘
라방이 흡수한 홈쇼핑
사진 출처: PRIZM
쇼핑 앱이지만 매거진을 연상시킵니다. 메인 페이지에는 숏폼이 잇따라 재생되네요. 국내 최초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 프리즘에 대한 후기입니다.


소셜미디어와 이커머스를 결합한 모델로 숏폼과 라이브 방송을 통해서만 판매합니다. 지난 3월 론칭 후 35만 명 회원을 확보, 투자 유치액만 400억 원에 달하는데요. 쿠팡 창립 멤버 출신이자 티몬 이사회 의장을 거친 유한익 대표의 비즈니스 감각도 브랜드 성장에 기여했죠. 비주얼만큼 남다른 프리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레고랜드
겨울왕국 된 레고랜드
사진 출처: LEGOLand Korea Resort

지난 5월 강원도 춘천에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가 개장했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레고랜드이자 국내 첫 글로벌 프랜차이즈 테마파크라는 점에서 기대감이 부풀었죠.

 

아쉽게도 잡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운영 초반 연 200만 명이 찾을 거란 예상과 달리 지난해 10월 말 기준 방문자 수는 70만 명에 불과합니다. 내년 1월부터 동절기 휴장에 돌입하는 탓에 연간 이용권 구매자들의 불만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급격히 추워진 날씨처럼 냉랭한 레고랜드에 따뜻한 봄이 올 수 있을까요?

이번 주 브리핑
와인펍+베이커리=GS25
사진 출처: GS리테일
지난달 11GS25가 성수동 연무장 카페거리에 플래그십 스토어 도어투성수를 오픈했습니다. 편의점인 줄 모르고 지나칠 것 같은 외관이 돋보입니다.

낮과 밤이 다른 성수의 모습을 표현하겠다고 합니다. 약 50평 내부로 시식 공간은 30여 개. 낮에는 편의점과 더불어 원두커피와 점포에서 당일 생산한 디저트를 판매하는 카페로 운영됩니다. 밤이 되면 와인과 맥주가 즐비한 펍으로 변신! 맥주별 맛과 도수 및 요금이 표시된 디스펜서에서 원하는 주류를 따라 마실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 부럽지 않은 와인 진열대와 시간대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는 특수 조명은 분위기 메이커를 자처하고요.

차별화된 제품 구색에도 방점을 찍었습니다. 약 3000종 상품이 판매되는 일반 매장과 달리 ‘GS25의 PB, 원소주와 버터맥주’ 등 단독 운영 상품 중심의 150여 종으로 구성됐다고 합니다. 국내 편의점에서 판매하지 않던 수입 상품도 가득하네요.

‘유통업은 소비자의 그림자’란 말이 있습니다. 고객 니즈와 소비 행동의 변화에 따라 기민하게 매장 모습이 변화한다는 뜻이죠. 대형마트에 가까워진 GS25 도어투성수처럼요.
펜톤의 2023 컬러는?
사진 출처: PANTONE
    연말마다 디자인 업계의 관심은 색채 연구소 ‘팬톤’에게 쏠립니다. 팬톤이 전망하는 내년 올해의 컬러가 각종 산업군에 적용되기 때문이죠.


    2023년 주인공은 진홍색 계열의 ‘비바 마젠타(Viva Magenta)’. 세계적으로 가장 강하고 밝은 천연 염료 중 하나인 코치닐의 레드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고 합니다. 곤충과 꽃 등이 확대된 메타버스 생태계 ‘마젠타버스’를 통해 천연에서 비롯된 비바 마젠타의 상징성을 표현했죠.


    용기와 포용력 등 상징적인 의미도 내포합니다. 강렬한 색감처럼 삶에 대한 열정과 크리에이터들의 자유로운 표현 정신을 장려한다는 메시지 역시 담고 있다고요.


    2023년엔 어떤 제품들이 비바 마젠타룩을 입을지 기대됩니다.

    리셀러 꼼짝 마! 롤렉스의 경고
    사진 출처: ROLEX
    121(현지 시간) 롤렉스가 리셀러를 긴장시킬 새로운 중고 거래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자사 정품 보증을 거쳐 롤렉스 공식 판매점에서만 중고 판매하겠다는 계획인데요. 해당 시계들은 롤렉스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며 내부 전문가들이 꼼꼼하게 검증을 마친 상품이라고 합니다. 시계 파우치, 3년간 국제 보증 카드, 서비스 책자와 보증서가 함께 제공된다고 하네요.

    롤렉스는 공식 성명을 통해 신품이든 중고든 롤렉스 시계를 판매하고 관리할 권한이 있는 공식 판매점에서만 구입해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신품 구매 후 비싸게 재판매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리셀 문화가 브랜드에게 양날의 검임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제품 인기를 증명함과 동시에 악용될수도 있으니까요. 롤렉스의 솔루션이 리셀러들을 제지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수량 늘리면 이런 일 없잖아요?
    지난 뉴스레터가 궁금하신가요?👇

    동료, 친구에게 바이브랜드 공유하기👇
    ㈜인터비즈
    info@buybrand.kr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 충정로사옥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