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티클은 온라인 서점의 등장 속에서 독립서점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새로운 역할을 찾고, 진화해가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사례 속 독립서점들은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 안에서 연결을 촉진하고,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장으로 새롭게 기능하고 있습니다. 독립서점의 지속가능성뿐 아니라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우리 주변의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들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갖게 될지도 몰라요.
이 아티클은 포르투갈 북동부 지역의 생물다양성 복원을 위해 재야생화 활동을 펼치는 비영리단체 ATN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지역사회와 함께 민간 자연보호 구역을 조성하고, 생물학자들과 협업해 멸종위기종을 보존하는 이 단체의 여정을 따라가다보면, 자연의 본래 모습을 되살리는 일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조직 내 소통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이 아티클은 리더들의 커뮤니케이션 부족이 직원들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연구는 리더의 소통이 부족할 때 직원들은 리더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평가한다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질 뿐만 아니라 양도 리더십에 대한 평가에 있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이 아티클은 우리 조직에서 일어나는 소통에 대해 생각해볼 거리를 줍니다.
이 아티클이 소개하고 있는 책, <느린 차선>의 저자 하셀마이어는 우리가 '지름길을 찾아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사고방식'에 지배되어 왔다고 말합니다. 시스템 변화를 이룬 100개 이상의 사회운동을 조사한 저자는 지속가능한 사회변화를 위해 ‘빠른 해결책’ 대신 ‘느린 차선’ 접근법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다섯 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이 원칙들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우리의 속도를 점검해보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