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2021년과 2022년💎 안녕하세요, 경제지식 네트워크(FEN)의 윈터크루입니다😇 2022년 흑호랑이의 해와 함께 경제지식 네트워크 뉴스레터의 새로운 시즌도 시작됐습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올해는 특히 많은 변화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데요. 벌써 작년이 된 2021년,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부동산 시장은 어떠했을까요? 또, 성큼 다가온 2022년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요? 다양한 입장과 추측이 나오고 있는 만큼, 지금부터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2021년과 2022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오늘의 목차💌 1. 2021년부터 현재까지 부동산 시장은? 2. 서울과 대구 부동산 시장 현황 비교 3. 부동산 거래
침체 그 배경은? 4. 2022년,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은? 현 정부 출범 이후 2021년 아파트 입주 물량이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전청약
등을 통해 분양 물량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지만, 실제로 들어가 살 수 있는 집이 적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정부가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사전청약 물량
등을 늘리고 있지만 공공 사전청약의 경우 입주 시기가 정해져있지 않고, 공공주도라 속도감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 서울 부동산 시장 현황
👉 ‘가구 증가 추이’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가구 수가 매년 약 30만 가구씩 늘었으나 2020년부터 58만 4000가구로 매우 증가했습니다. 💬 대구지역 아파트의 공급 현재 상황
👉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올해 대구시 입주 물량은 1만 6904가구에 달했습니다.
👉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대구의 규제지역
해제에 대한 논란이 커졌습니다. 권영진 대구시장 은 노형욱 국토부 장관에게 대구의 규제지역 지정 해제
건의서를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 부동산 거래 침체
그 배경은? 2012년 이후 연간 부동산 거래량이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발표 기관별로 밝힌 부동산 거래 침체의 원인 분석은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
소속 국토연구원과 민간 연구기관인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가격 상승 원인 분석이 다르다! 👉 다주택자는
양도세 중과로 거래 회피, 매수자는 집값 상승으로 거래 회피 ⇒ 관망세 심화 *관망세란? 향후 주가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하여 투자자들이 매매를 망설이는 상태 👉 경제 활성화가
아닌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인한 집값 상승세 올해는 특히 3월 대통령 선거가 있는 만큼 부동산 시장에 대해 큰
변수가 생기면서 서로 다른 두 입장이 대립하고 있습니다. 엇갈리는 전망 “집값 상승 vs. 집값
하락” 1) 집값 상승 전망
👉 단,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집값 상승 폭 자체는 2021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집값 하락 전망
👉 한국은행은 “현재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크다고 판단하여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꺼지면 집값이 기하급수적으로 하락하고 경제성장률이 -3%까지 떨어질 수 있다” 라며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2022년 부동산 시장에 대해 국가 기관과 민간 기관, 그리고 전문가들의 다양한 예측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저희가 준비한 이번 뉴스레터는 여기까지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시장의 거래 침체와 2022년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올해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앞으로의
전망도 궁금해지는데요.
여러분들은 작년과 올해 부동산 시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참고자료💬 서미숙, “작년 서울 아파트 역대급 ‘거래절벽’…집값 급락한 2012년
수준”, 연합뉴스, 2022년 01월 02일 이미지, “집값 하락 전조? 작년
서울 아파트 거래량 9년만에 최저”, 조선일보, 2022년 01월 03일
차학봉, “100억대 아파트가 부른 착시? 용산∙강남, 대출 규제에도 집값 뛰는 이유”, 조선일보, 2022년 01월 02일
이상준, “대구, 5년
연속 2만가구 아파트가 쏟아진다”, 매일신문, 2022년 01월 03일
윤주혜, “금리냐 공급이냐…올해
주택시장 결정할 주요 변수는?”, 아주경제, 2022년 01월 03일
김덕준, “국토연구원 ‘집값
상승, 저금리가 가장 큰 영향 줬다’”, 부산일보, 2021년 12월 24일
조성신, "’작년 9~11월
서울 아파트 거래 금융위기 수준 뚝’…12월 역대급 급감 전망”, 매일경제, 2022년 01월 03일
이미지, “집값 폭등의 이유가 나왔다”, 조선일보, 2021년 12월
2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