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0호 도로교통 저널 뉴스레터 (인터뷰)
한국도로학회장 박철우 강원대 교수
대한민국 도로산업은 노후화와 탄소중립, AI·자율주행 기술 등 급격한 변화의 교차점에 서 있다. 본지는 제25대 한국도로학회 회장 박철우 강원대 교수를 “도로분야 스마트기술 활성화 포럼”에서 만나 도로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비전을 들었다. |
|
|
(도로와 인문학)
문화예술 속 교량의 미학
제11편 매단다리 (문지영_작가)
인류 최초의 다리는 통나무나 징검다리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덩굴을 이용한 ‘매단다리’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산악 지역의 원시인들은 식물의 넝쿨을 엮어 하천이나 협곡에 걸어 이동했으며, 이는 현수교의 시초로 여겨진다. 기록상 가장 오래된 현수교는 400년경 인더스강 상류에 설치된 케이블형 다리다.
|
|
|
(인터뷰)
대영스틸산업㈜ 주영완 대표이사
대영스틸산업은 교량을 부재의 조합이 아닌 전 주기 서비스로 바라본다. 구조 안정성, 시공성, 경관, 유지관리성을 통합해 발주처 비용을 절감하며, 복합파셜거더와 ATA 합성형 라멘교 등 주력 공법을 표준화해왔다. 성장하는 기업으로 진두지휘하고 있는 주영완 대표이사를 만나보자. |
|
|
(정책인사이트)
'26년도 예산과 선제적 SOC 투자 확대
㈜유창이앤씨 이상호 부회장
국내 경기 회복을 통한 경제 성장, 국민 복지 향상, 국가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도 ‘선제적’ SOC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 사후약방문식 SOC 투자로는 당면한 문제 해결도 어렵다. 정부의 내년도 SOC 투자를 위한 예산안이 연말 국회 심의과정에서 좀 더 전향적으로 검토되기를 기대해 본다. |
|
|
(도로에세이) ‘한강의 기적’과 함께
무너져내린 성수대교
|
(랜선도로여행) 가을 정취를 품은
순천만의 초대_순천 여행
허준성_작가
|
|
|
(특집) 지하도로 민간투자사업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개선
서창범_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
(정책&기술) 도로 유지관리
스마트기술의 공사비 산정 및 사례 분석
양구승_㈜다산이엔지 부사장
|
|
|
(도로지식) 선진 터널공사 관리시스템
(T-CMS)
김영근_(주)건화 부사장 |
(알뜰정보) 도로포장의 지속가능성
어떻게 만들어갈까? (2편)
이호정_한국도로협회 차장 |
|
|
(역사의 길) 6·25전쟁의 전환점
인천상륙작전의 현장을 가다 |
(자동차이야기) 라떼는…
넘어진 차를 손으로 세웠어 |
|
|
(사찰로 이어지는 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의상대사 |
(그날의 도로) 국내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이야기
|
|
|
(도로인사이드) 지자체 명품 자전거길
옹진 덕적도 자전거길 |
(도로인사이드) 3D 프린팅 옹벽
개방형 방음터널_동아이엔지㈜
|
|
|
(포럼 개최) 건설기준 제도 개선 포럼
10월 30일(목), 10시 |
(포럼 개최) 구조물 유지관리 포럼
11월 3일(월) 13시 30분 |
|
|
🎁 도로교통 180호는 어땠나요?
(성실히 응답해주신 분들께는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
|
|
한국도로협회에서는 도로분야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일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에는 수신거부를 클릭하거나, 이메일 주소로 수신 거부의사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본 뉴스레터 내용 일체의 무단사용, 재배포, 상업적인 목적의 활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한국도로협회 All rights reserved. |
|
|
|
off@kroad.or.kr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서일로 26, 8층 (02-3490-102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