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G가 시리즈 C를 리드한 Hayden의 시드 라운드는 어땠을까?
오늘의 주간 인사이트 에디션
⬜ 섹터 분석         ⬜ 벤처 투자
✅ 피치덱 소개      ⬜ 투자자 열전
피치덱 톺아보기
국내외 스타트업과 벤처펀드의 피치덱을 분석합니다.
Hayden AI - 시드 라운드 (2020년 09월)
도시의 교통 시스템을 혁신하는 스타트업 - Hayden AI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Hayden AI가 7월 10일 사모펀드 TPG의 임펙트 펀드인 TPG Rise Fund 주도로 $90 million 규모 시리즈 C 라운드를 완료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53 million 규모 시리즈 B 라운드를 마무리한 이후 9개월 만에 이뤄진 대규모 자금 조달입니다.


최근 1년 사이 대규모 시리즈 B와 시리즈 C 펀딩을 연달아 성공시키며 회사의 성장 또한 가팔라지는 모습이지만 Hayden AI의 초기는 여느 스타트업처럼 고난의 연속이었습니다. 교통 기술 분야의 베테랑인 크리스 칼슨(Chris Carson)이 2019년에 설립한 Hayden AI는 처음부터 도시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시작된 기업입니다.

하지만 설립 당시에 뭉칫돈이 쏟아져 들어오던 자율주행 분야도 아니었으며, 당시에는 회사가 내세웠던 디지털 트윈이나 인공지능과 같은 단어는 투자자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였습니다. 게다가 회사의 주요 고객은 정부 기관과 지방 자치 단체입니다. 한마디로 벤처 투자 트렌드와는 한 걸음 떨어져 있던 스타트업인 것입니다. 물론 이런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고 오롯이 자신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집중했기에 Hayden AI가 데스밸리를 넘어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오를 수 있었을 것입니다.
Hayden AI의 자동 이중 주차 단속 시스템
Hayden AI의 시드 라운드는 투자 전 (Pre-money) 기준 $7 million 기업가치로 총 $5 million을 조달하는 조건이었습니다. 투자 후 기준 기업가치가 $12 million이니 시드 단계에서만 40%가 넘는 지분 희석을 감행한 것입니다. 당시는 팬데믹이 시작되며 벤처 투자 환경이 롤러코스터를 타던 시기였습니다. 모빌리티 전문 펀드인 Autotech Ventures가 리드 투자자로 나섰음에도 불구, 라운드를 완료하는데 반 년 가까운 시간을 쏟아야만 했습니다.

  • 2020년 09월: 시드 라운드 $5 million
  • 2021년 03월: 시드 브릿지 라운드 $4.5 million
  • 2021년 08월: 시리즈 A 라운드 $20 million
  • 2023년 01월: 시리즈 B1 라운드 $53 million
  • 2023년 12월: 시리즈 B2 라운드
  • 2023년 07월: 시리즈 C 라운드 $90 million


Hayden AI의 시드 라운드 규모와 기업 가치에 대한 결정은 회사의 현재 모습을 만든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회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초기에 상당한 운전 자본 및 자본 지출이 필요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주 고객이 시 정부였기 때문에 일반 기업보다 3-5배 정도 긴 영업 기간을 각오해야 했죠. 대규모 지분 희석을 감수하더라도 충분한 초기 자금 확보를 최우선으로 두지 않았다면, 회사는 빠르게 문을 닫았을지도 모릅니다.


오늘 분석할 피치덱은 Hayden AI가 시드라운드 당시 사용한 자료입니다. 어려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데모 관련 자료를 최대한 많이 포함시키면서도 간결하고 명확하게 사업 계획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엿보이는 자료입니다. 시드 이후 사업의 많은 부분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사업 초기 가졌던 문제의식과 해결 방향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점도 놀라운 부분입니다. 초기 스타트업에게 요구되는 '사고의 명확함 (Clarity of Thought)'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Hayden AI시드 피치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ection 1. 우리가 풀고자 하는 문제 (Problem)
Hayden AI는 도시의 교통 및 도로 안전이라는 명확한 문제 지점을 가지고 시작한 스타트업입니다.

  • 도시 교통 흐름 개선: AI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자동 교통단속: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교통법규 위반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단속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음

  • 도로 안전 향상: 운전자에게 안전한 도로 이용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줄이고 전반적인 도로 안전을 개선하고자 목표함

회사는 문제를 설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려는 스타트업일수록 문제는 더욱 간결하고 명확해야 한다는 공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모습입니다.
Section 2. 해결책 (Solution)
회사가 개발하는 솔루션을 글로 설명하기보다는 데모 화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모빌리티 또는 비전 AI 관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접근 방식 채택함


  • 도시 환경 디지털화: 전체 도시 환경을 지도화하고 현실 세계를 디지털화한 복제 가상공간을 구축한 통합 플랫폼

  • 교통 흐름 개선: AI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최적화하는 시스템

  • 자동 교통단속: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교통법규 위반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단속하는 시스템

  • 안전 도로 정보 제공: 운전자에게 안전한 도로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공공 정보 활용: 도시 문제와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 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기술을 어디까지 설명할 것인가란 점에서 Hayden AI는 내용을 설명하기보다는 데모를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은 선택하였습니다. 다수의 소액 투자자까지 찾아다녀야 했던 시드 라운드의 특성을 고려, 일반적 상식을 갖춘 투자자라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눈높이에 맞춘 것입니다.
    Section 3. 성과와 전망 (Traction & Projection)
    지금까지 달성한 것, 앞으로 어떻게 사업이 확장될지에 대한 모습, 그리고 돈을 어떻게 번다라는 것을 단 3페이지로 설명함

    • 주요 도시의 교통국 대상 초기 사업화 프로젝트를 진행, 100억 원 규모의 LOI 단계 계약 확보

    • 버스 노선 당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용료를 과금하는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

    초기 스타트업일수록 창업자가 생각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합니다. 물론 사업 과정을 거치며 바뀔 수는 있지만 회사가 제시하는 숫자와 모델은 창업자가 시장과 고객을 바라보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Section 4: 팀 구성, 펀드레이징
    팀 구성 및 펀딩 금액을 간결하게 설명

    • 시드라운드 금액 $5 million에 대한 사용처와 해당 금액을 통한 런웨이를 간결하게 제시함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펀딩 금액 사용에 대해 사람을 뽑고 R&D를 강화하고 영업 인력을 보강할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중요한 것은 돈을 어디에 쓸 것인지가 아니라 무엇을 달성할 계획인지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러한 미묘한 차이가 결국 창업자가 얼마나 구체적으로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현해나갈지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Section 5: Appendix
    Appendix를 통해 데모 버전을 부연 설명하는 전략 활용함

      회사는 총 18페이지 피치덱에서 절반에 가까운 분량을 현재 제품의 데모를 보여주는 장표에 할애하였습니다. 투자자들이 어려워하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일수록 설명을 줄이고 솔루션을 직접 보여줘야 한다는 원칙에 충실한 결과입니다.
      Editor's Note

      실리콘밸리에서 투자 유치에 도전하는 국내의 기술 기반 초기 스타트업들에게 피치덱 작성 조언을 할 때, 가장 자주 참고 사례로 제시했던 것이 바로 Hayden AI의 시드 라운드 피치덱입니다.

      •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이상, 생소할 수 있는 개념과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내용을 중언부언 설명하는 것이 아닌, 직접 제품을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 시드 단계 스타트업이 제시하는 5개년 매출 성장 계획 및 IPO 목표만큼 공허한 내용도 없습니다. 국내에서는 필요한 장표일지 몰라도 실리콘밸리에서는 의미없을 뿐 아니라 자칫 창업자의 현실 감각이 떨어진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까지 줄 수 있습니다. 

      • Hayden AI는 시장과 경쟁사 포지셔닝 내용을 과감히 생략하였습니다. 시드 피치덱이라면 중요도가 낮은 내용은 과감히 생략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Hayden AI는 창업 초기부터 모빌리티 전문 투자사인 Autotech Ventures를 주요 투자자로 유치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축이라는 비전을 이해해 주는 투자자를 만났기에, 회사는 초기 5년간의 어려운 시기를 견뎌낼 수 있었죠. Autotech Ventures는 이번 시리즈 C 투자 라운드에서도 추가 투자를 단행하며 Hayden AI에 대한 지속적인 신뢰를 보여주었습니다.


      오늘은 현재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는, 이제 막 시리즈 C 라운드를 마친 스타트업의 초기 피치덱을 살펴보았습니다. 벤처투자자 입장에서 '내가 그때로 돌아간다면 투자할 수 있었을까?'라는 회고는 언제나 다각도의 교훈을 제공해 줍니다. 구독자분들도 가끔은 여유를 가지고 '피치덱 회고' 세션을 가져보시길 제안 드립니다.

      그럼 다음 PitchEDGE에서도 새로운 스타트업의 피치덱과 함께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InsightEDGE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InsightEDGE는 Technology + Business + Investing의 접점에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다룹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앞으로 만나고 싶은 컨텐츠를 알려주세요!

      본 콘텐츠는 CapitalEDGE 뉴스레터의 유료 독자를 위한 콘텐츠로 무단 재배포, 복사, 변경을 금지합니다


      DISCLAIMER

      This article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as professional financial advice.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based on publicly available sources and is not intended to make stock price or management predictions. This media outlet makes no representations as to the accuracy, completeness, suitability, or validity of any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article and will not be held legally responsible for any errors, omissions, or delays in this information or for any losses, injuries, or damages arising from its display or use.


      CapitalEDGE Labs
      news@thecapitaledge.com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60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