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된 커뮤니티가 모든 걸 바꾼다 저는 세상이 빠르다는 걸 바로 텍스트, 단어를 통해서 느낍니다. 사실 커뮤니티에 대해 설명하면서도 메타버스, NFT 단어들이 나오면 '무서워서' 피하기만 했었던 것 같아요.
메타버스, NFT에 대해 알아보고 과연 커뮤니티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려 해요. 언젠가 우리가 메타버스 안에서 만날 수도 있으니까요:) (오늘은 좀 늦은 저녁 열시에 찾아왔어요. 즐거운 주말 보내고, 다음주에는 오전 열시에 만나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 조심하고요:) |
|
|
Contents
1. NFT, 메타버스가 뭐길래
2. NFT와 메타버스가 커뮤니티에 미칠 영향
|
|
|
먼저, NFT가 뭐길래
'대체 불가능 토큰' 이라는 뜻을 가진 NFT(Non-Fungible Token). 디지털 자산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세계 유일의 진품임을 인증하고 소유권을 부여하는 디지털 증표에요. |
|
|
블록체인의 플랫폼에서 '크립토펑크'라는 NFT를 처음 발행한 라바랩스(Lava Labs)는 픽셀 형태의 아트 이미지를 활용해 1만개의 디지털 이미지를 만들었어요. 사람들은 이 때 각기 다른 1만개의 토큰을 소유하여 나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게 됩니다. |
|
|
바로 위의 이미지가 바로 NFT에서 살 수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 됩니다. 라바랩스(Lava Labs)는 앱디자인 및 비주얼 아트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창작 대표인데요. 그는 약 5년 전인 2017년,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1만개의 크립토펑크 NFT를 발행합니다.
당시에는 무료로 약 9천개의 NFT를 뿌렸다고 하는데 (헉, 나도 알고 있었더라면!) 지금은 100만 달러(약 12억원) 이상에 판매된 크립토펑크도 많다고 해요. 가장 저렴한게 약 30만달러(3억 5천만원)이라고 하니! |
|
|
그렇다면 모든 NFT는 가치가 있을까?
모든 NFT가 크립토펑크처럼 고가에 거래되고 있지는 않아요. 고가가 될 수 있는 건 바로 '희소성' 때문인데요.
우리의 욕망은 무한한데 이를 충족시켜줄 자원이 유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욕망과 현실적으로 충족해 줄 수 있는 수단 간의 부조화가 바로 '희소성의 원칙'인데요.
희소한 재화를 내가 소유하고 있다는 인증이 바로 NFT 광풍을 일으킨 심리입니다. 저는 이걸 보면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떠올랐어요. 그 이유는 조금 더 뒤에서 설명해볼께요. |
|
|
사람들이 무언가를 수집하는 이유 TOP3
하나. 희소성의 원칙 (무엇을 수집하든 결국 나만 가질 수 있지)
둘. 나만 뒤처지는 것 같은 강박감 (자존감이 낮은 우리 사회 반증)
셋. 투자와 투기 (차곡차곡 저축해서 돈을 모을 수 없는 현재 상황) |
|
|
결국 모든 광풍은 사회 문제와 연관이 되어 있다는 사실. 모든 현상의 광풍은 사실 사람들의 결핍과 욕구에 따라 형성된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그렇게 새로운 비즈니스가 탄생하고 사람들이 열광하게 되니까요. |
|
|
메타버스는 또 뭐길래
코로나 시대가 오면서 부쩍 온라인으로 만나는 게 편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코로나 19로 비대면이 편해진 지금, Z세대에게 메타버스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해요.
메타버스는 가상과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가리킵니다.
|
|
|
sm엔터네인먼트, '에스파' (트위터 'aespa_official') |
|
|
메타버스의 무기 '세계관 구축'
메타버스에서 제일 중요한 건 무엇일까요. 세계관 구축이라고 합니다. SM엔터테인먼트에서 20년도에 신개념 걸그룹이 데뷔했습니다. 지금은 'Next Level'이라는 노래로 잘 알려진 에스파는 당시 현실의 아이돌 멤버와 가상 세계 아바타가 공존한다는 컨셉을 가지고 데뷔했죠. |
|
|
사진 클릭하면, 한 편으로 끝내는 에스파
세계관 정리 (Doyouram) 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
|
아이(ae)는 사람이 SNS, 커뮤니티 등 온라인 활동으로 제공받은 데이터로 만들어진 아바타로 나와 연결된 존재인거죠. 블랙맘바, 넥스트레벨 이 모든 노래들이 에스파의 세계관을 설명하는 노래인데요. |
|
|
댓글을 보면 사람들은 에스파의 세계관을 즐기고 있더라고요. |
|
|
미국의 비영리 기술연구단체인 ASF는 메타버스의 종류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했습니다.(2007) 하나, 아바타와 온라인 프로필을 통해 이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상세계' 방식입니다. 싸이월드 미니미가 대표적이죠.
두 번째로 이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인터페이스를 더한 '증강현실'도 있습니다. 포켓몬고가 여기에 해당하고요. 세 번째로 이용자의 주변환경과 관련해 추가 정보를 더한 '거울세계' 방식입니다. 마지막은 '라이프로깅'으로 이용자의 모든 활똥을 센서가 정보로 기록하는 서비스도 있다고 합니다. |
|
|
사실 어느 산업보다 먼저 메타버스와 NFT를 선점한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K팝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 엔터테인먼트사들 입니다.
대형 기획사들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NFT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하이브입니다. 하이브는 방탄소년단을 필두로 아티스트의 IP와 NFT를 결합한 팬덤 기반의 신규 사업을 확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미술시장에서도 NFT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희소성의 법칙을 중시하는 시장에서 'NFT'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
|
|
메타버스의 영억은 이보다 조금 넓은 것 같아요. 최근 회사, 네트워킹 파티 같은 곳에서도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곳들이 많이 늘어났어요. 비대면이 일상화됨에 따라, 비대면으로 조금 더 활발하게 네트워킹 하는 방법을 온라인으로 찾은거죠. |
|
|
NFT와 메타버스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웹 공간이에요. 그래서 웹 3.0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참여와 협력을 통한 아이디어나 나의 관심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개념이 만들어지는거죠.
탈중앙홛된 커뮤니티를 통해 어떠한 인물, 기업, 비즈니스가 아니라 커뮤니티가 통치하게 됩니다. 생태계를 커뮤니티 중심으로 만들게 되면 창작자들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고 나의 재능을 판매해 수익을 창출이 가능하고요. |
|
|
결국 미래는 창작자들이 많이 모이는 커뮤니티 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
|
** 나에게 잘 맞을 법한 NFT 거래소를 찾아보는 게 중요해요!** |
나만의 또 다른 세계, 메타버스 속으로
** 새로운 세계로 빠져 볼 준비가 되셨나요~~~?** |
|
|
ㄹㄷㄹㅌ는 구독자 여러분들의 소중한 후기를 기다립니다.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모두모두 환영이어요💜
|
|
|
코앤텍스트 인천 동구 금곡동 10-11 7층
co_n_text@naver.com
|
|
|
|
Copyright ⓒ 2022 co_n_text, All right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