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위도우의 동시개봉 실적의 의미
안녕하세요. 김경달입니다. 코로나 델타변이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그나마 영화 블랙위도우가 인기를 얻으며 극장을 찾는 사람도 제법 있다고 합니다. 디즈니는 이 영화를 디즈니플러스를 통해서도 동시 개봉했는데요. 제레미님이 극장 수익과 스트리밍 수익을 분석하며 앞으로 극장과 OTT서비스의 입지가 역전될 가능성에 대해 전망하는 글을 정리해 주셨습니다. 같이 한번 생각해볼 만한 주제 같습니다. 목요일 밤 씨로켓 살롱에서 제레미님이 상반기 미디어 이슈도 간추려서 발제해 주실 예정인데요. 이 부분도 같이 의견 나눠보면 좋을 듯 싶습니다. ^^

마블 스튜디오의 페이즈 4의 시작을 알리는 블록버스터 ‘블랙 위도우’가 전 세계 동시 개봉된 지 2주 정도가 지났다. 필자는 방역수칙을 꼼꼼하게 지키고 있는 극장에서 관람하였는데 벌써 200만 명을 기록하였다.
팬데믹 이후 최고의 극장 관객수 기록
‘블랙위도우’의 주연인 스칼릿 조핸슨은 이 영화를 끝으로 마블 유니버스에서 더 이상 볼 수 없다. 이 영화는 '캡틴 아메리카 : 시빌 워'와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 사이의 시간대로 거슬러 올라가 알려지지 않았던 ‘블랙 위도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블랙 위도우’ 캐릭터 만으로 이 정도의 스토리와 액션을 볼 수 있다니!
아울러 새로운 블랙위도우의 등장을 예고함으로써 페이즈 4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기대를 불러 일으킨다. 극장을 찾아갈 충분한 이유를 주고 있다.

영화 블랙 위도우 총정리 리뷰
아직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 상황이 유지되고 있다. 아래 표에서 보듯이 팬데믹 이후 박스오피스 최고의 관객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상황을 회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물론 블랙위도우가 좋은 영화라도 인피니티의 관객 수를 능가하기 어렵다는 전제를 해야 할 필요는 있다)

출처 : IMDB
디즈니 플러스 동시 개봉의 대단한 실적
블랙위도우는 극장 개봉과 동시에 디즈니플러스의 프리미어 액세스(premier access) 서비스를 통해서도 공개되었다. 편안하게 집 안에서 가족들과 시청하기 위해 30불의 별도 지불이 필요하다. 지난주 이례적으로 디즈니는 극장과 디즈니플러스의 실적을 종합하여 공개하였다. 

블랙위도우는 개봉 첫 주 미국 박스 오피스 8천만 달러, 해외 박스오피스 7,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별도로 디즈니플러스의 스트리밍 판매로 6,000만 달러를 벌었다. 합산 총계는 2억 1,800만 달러이다. 

극장과 동시에 디즈니플러스에 영화를 개봉한 것은 뮬란, 크루엘라 등 팬데믹 이후 여러 실험이 있었다. 이전에는 한 번도 구체적 숫자를 밝힌 바 없는 디즈니가 ‘블랙 위도우’의 실적을 공개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수치를 수익 관점에서 계산해보면 극장과 60% 수익 배분을 기준으로 디즈니는 9,800만 달러를 벌었다. 디즈니플러스의 프리미엄 VOD 판매는 결제 수수료를 크게 잡아 20%(앱스토어 수수료 등 제외)로 계산했을 경우 4,800만 달러를 번 셈이다. 총수익에서 스트리밍이 50%를 차지한다는 의미이다. 이 크기가 극장과 스트리밍의 미래를 예측하는 가늠자가 된다.

이 수치를 수익 관점에서 계산해보면 극장과 60% 수익 배분을 기준으로 디즈니는 9,800만 달러를 벌었다. 디즈니플러스의 프리미엄 VOD 판매는 결제 수수료를 크게 잡아 20%(앱스토어 수수료 등 제외)로 계산했을 경우 4,800만 달러를 번 셈이다. 어림잡아 스트리밍 수익이 극장 수익의 절반 수준에 이른다. 이는 스트리밍의 수익 비중이 상당히 커졌음을 보여준다. 이 크기가 극장과 스트리밍의 미래를 예측하는 가늠자가 된다.
극장과 스트리밍의 공존
디즈니플러스에서 6천만 불이 판매되었다는 것은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D2C(Direct to Consumer) 전략이 통하고 있음을 증명한 사례이다. 동시에 극장과 스트리밍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도 보여주었다. 

팬데믹 이후 OTT는 극장을 대신하여 영화 소비의 중요한 창구 역할을 수행해왔다. 디즈니 플러스의 프리미어 액세스(Premier Access)는 30불의 별도 과금을 하더라도 가족들과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옵션이다. 블랙위도우는 10월 경 디즈니플러스에 무료로 전환된다. 신작 영화의 OTT 공급 기준도 매우 빨라졌다. 영화가 구독형 SVOD에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는 의미이다. 

구독 모델은 매월 반복적 수익을 창출하여 박스오피스의 일회성 수익과 비교하면 가치가 다르다. 디즈니플러스에서 블랙위도우를 시청한 구독자는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마블 영화들을 무료로 반복 시청도 가능하다. 블랙위도우의 쿠키에 등장하는 인물들(스포일러가 되어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다)은 내년에 TV시리즈로 제작될 마블 오리지널 ‘호크아이’로 연결된다. 이는 자연스럽게 디즈니플러스의 구독 유지로 연계된다. 프리미어 액세스에서 구작 영화 시청 그리고 새로운 오리지널의 기대로 이어지는 순환 고리는 자신들이 보유한 IP 가치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극장 산업의 위기를 초래
극장 산업의 관점으로 보면 공존의 신호가 마냥 반가울 수는 없다. 프리미어 액세스로 판매되는 30불의 가격은 2장의 극장 티켓 가격이다. 큰 화면의 극장으로 가는 사람들과 팬데믹의 안정성으로부터 가족 시청을 선택한 고객들은 OTT를 선택했다. 관객들에게는 편리한 옵션이다. 30불을 지불하고 싶지 않다면 10월까지 기다리면 무료로 블랙위도우를 즐길 수도 있다. 이러한 시청 방법들은 팬데믹 이후에 극장 방문 횟수를 줄이는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영화 스튜디오들이 유연한 공급 전략을 병행할수록 극장은 가족 단위 관객을 잃게 된다.

공존의 무게추는 팬데믹 상황과 스트리밍 구독자의 증가 추이에 따라 완만 또는 급격하게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결국 구독자 ‘규모’는 극장 유통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에 따라 OTT 구독자가 전년 대비 다소 정체 국면에 빠졌다. Kantar Entertainment on Demand 데이터에 의하면 2021년 4월부터 6월까지 미국의 OTT 신규 가입 신청 가구 수는 전년 동기 12.9%에서 3.9%로 감소했다고 한다. 마블 신작 영화는 둔화되고 있는 구독자 숫자를 반등시킬 기회를 주고 있다.
스트리밍과 극장의 위치 변화는 몇 년 안에 올까?
영화를 시청하기 위한 N수의 확대를 위해 스튜디오들은 극장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선순위의 조정으로 극장의 위치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필자: 제레미 김종원 facebook.com/kim.jeremy.18)    
파워블로거로서 '제레미의 TV 2.0 이야기'를 연재했던 논객이자 미디어 현장에서 티빙과 옥수수 등 국내 토종 OTT를 두루 경험한 미디어 전문가이다. 
제레미의 미디어 비껴보기 블로그(링크)   

프랑스의 디지털 컨설턴트 Fred Cavazza가 작업한 소셜미디어 245개 서비스의 리스트와 인포그래픽입니다.(FredCavazza.net) 245개 서비스의 url도 모두 수집해 포함돼 있습니다. 아울러 Top 10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월간사용자를 도표로 정리한 내용과 주요 소셜서비스 이용자의 연령대별 분포 현황을 담은 그래픽도 있습니다. 아래 링크 통해 한번 학인해 보시죠!
[씨로켓 살롱] 상반기 결산, 미디어 이슈 집담회! + 아마존 노동문제

구입하기 yes24  / 교보문고 알라딘 / 인터파크
씨로켓 인사이트 
insight@neocap.co.kr 

 Copyright © NEOCA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