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늦은 뉴스레터 11호를 발행합니다.

이번 달 재단과 함께하는 사람들에는 리영희에게 장서표를 만들어 준 남궁산 선생님의 글을 싣습니다. 뉴스레터는 장서표가 걸려있는 서재와 함께 리영희가 20여년 동안 노년의 세월을 보낸 산본 집의 구석구석들을 더불어 소개합니다. 
한국 법원이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것은 “일본 식민통치 기간에 겪었던 고통에 대해 여전히 일본정부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는 한국인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고통을 주었고, 그것이 그들에게 어떻게 고통을 끼쳤는지 기억하거나 그것에 대해 들을 준비가 되있는가?”(팔레스타인 소설가 아다니아 시블리, ‘내가 만난 베트남’ '피해자는 왜 가해자가 되었나'  <한겨레21> 1203호 ) 라는 질문에 이제 비로소 성찰하기 시작했음을 말합니다.
이번호 아카이브에는 김효순 이사장님의 글 ‘베트남 민간인 학살 배상판결과 리영희’를 싣습니다. “‘한국인에게 손가락질 한 번 해본 일이 없는 베트남인들’을 죽이기 위해서 연 몇십만 명의 군대를 파병한 (<대화>p344)” 당시 한국의 정치상황과 지적 풍토에서 기자 리영희가 어떻게 글을 쓰고 지면 편집을 했는지를, 그가 어떻게 베트남전쟁 시기를 살아냈는지를 보여주는 글을 써주셨습니다. 
오래 묵은 자료와 사진을 찾아서 귀한 글을 써주신 남궁산, 김효순 선생님 감사합니다
뉴스레터는 장서표 이야기에 앞서 리영희가 살던 산본 집의 지금도 그대로인 구석구석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파트 문 옆에 걸려 있는 문패
리영희는 손석희와의 인터뷰에서 아파트에 문패가 걸려 있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답한다.
“난 언제나 개인의 권위, 인격, 독립적 사유, 판단, 가치, 이런 걸 중요시하기 때문에 집단으로서의... 난 사실 국가보다 개인의, 인간의 중요성을 더 앞세워요. 그렇게 거창하게 나가지 않더라도 내가 7년 동안을 6.25에 군인으로서 군번으로 살아왔단 말이에요. 나는 없고, 나의 가치는 없고 오로지 번호. 그 다음에는 형무소에, 이 군부독재 정권하에서 여러 차례 형무소를 드나들면서 그때마다 소위 수번이라고 그러죠. 이 번호로 가슴에다 번호를 적어가지고 그걸로 불리었고 그 번호가 하여간 나를 대신했어. 그것이 내가 견딜 수 없는 정신적인 상처를 입은 거예요. 그래서 그것에 대한 보상을 위해서 했다면, 뭐 되지도 않는 일이지만, 하여간 싫으니까 번호보다 내 이름 문패를 걸어놓은 거예요.”
자유로운 개인의 자유로운 연대를 꿈꾸었던 리영희의 바람이 아파트 문패에서 읽힌다.


외출할 때 지팡이, 모자, 장갑 등을 챙기던 현관 공간
부인 윤영자씨에 의하면 리영희는 모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지팡이도 이철수 판화가를 비롯해 여러 사람에게서 선물받은 다양한 것들이 세워져 있다. 리영희는 화려하거나 치장을 하진 않았지만 자기 스타일을 의관에서도 갖으려 했던 사람이다. 사진에 보이는 장갑용 선반, 모자걸이용 봉도 직접 만든 것.


서재 문에 걸려 있는 장서표

부인 윤영자씨는 장례를 치르고 며칠 후 리영희 방을 더듬다가 기가 막혀서 헛웃음을 터뜨린다. 지금은 나무판때기만 옆을 막고 있고 위로는 술병이 보이지만 원래는 위에도 책으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 이 위장 술병은 간경화로 복수가 차오르는 리영희에게 윤영자가 금주령을 내리자 방에서 몰래 먹기 위했던 것. 종류 불문 애주가였던 리영희는 생의 마지막으로 갈수록 아주 조금씩의 막걸리나 맥주에 스스로를 순응시키는 듯 했다. 리영희가 얼마나 애주가인지를 아는 사람들은 그 모습에서 자신의 운명에 대한 복종과 화해의 작심을 보았다. 저 술은 선물 받으면 너무 좋아하면서 아껴 마셨던 조니워커 블루. 윤영자씨는 “그렇게 숨겨놓고 마실 거면 많이라도 마시지. 얼마 안 없어졌더라”고 했다.  

침대에 누워서 책을 보기 위해 만든 램프
형광등을 책장 선반에 나무판을 덧대어 연장해서 고정시켰고 누운 채 켜고 끌 수 있게 스위치를 머리맡에 만들어 두었다. 형광등이 어두웠는지 손자들의 것일 법한 ‘동방신기’ 글자가 보이는 안쪽에 은박지로 처리된 박스를 길게 연장해 갓을 만들었다.


리영희 책상에 그대로 있는 문구류
정갈하게 깎여 있는 연필과 강아지 모양의 연필깎이가 보인다. 부채는 리영희 작고 이후 부인 윤영자씨가 유홍준 교수 등과 함께 교토여행을 했을 때, 윤영자가 술값을 턱 내놓으면서 이 돈은 리영희가 내는 겁니다 하자, 유홍준은 이 자리에 한 사람이 더 있습니다 하면서 사케로 리영희를 불러냈고 그 사이 화가 김정헌이 밖으로 나가더니 부채를 사갖고 와서 그림을 그려 선물한 것이라고 한다. 장일순 선생이 파서 선물한 도장, 책 보면대가 더 누워야 할 필요가 있었던지 뒷받침을 연장해서 만든 책받침대.


리영희는 공간을 그냥 이용만 하지 않았다. 그들의 쓸모를 더 높여주기 위해 다듬고 수정하는 식으로 함께 살았다

재단과 함께 하는 사람들
장서표 이야기 - 마음에 새긴 리영희 선생님
남궁산 / 판화가
선생님은 불편한 몸으로 지팡이를 짚고 계셨지만, 잣나무 묘목을 손수 골라 심으셨습니다. 저는 선생님 곁에서 호미를 챙기고 흙을 파는 등 도움을 드리고자 했으나 미소를 지으며 사양하시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리영희 아카이브

베트남 민간인 학살 배상판결과 리영희

 김효순 / 리영희재단 이사장

뒤늦게 외신부장들의 차례가 왔다. 67년 여름이었던것으로 기억한다. 나는 여러 날 생각한 끝에 신문사와 국방부의 연락관에게 말했다. “나는 민간 신문기자이니 민간복을 입고 민간항공기로, 종군기자가 아닌 외신부장의 자격으로라면 가겠다. 어차피 국방부가 제공하는 군 수송기나 현지 시찰의 체재비 등 일체가 국민의 세금인 국고에서 나올 것이라면 그 비용을 나에게 달라. 그러면 나는 신문 기자의 윤리강령과 개인적 양심에 따라서 시찰하고 기사를 쓸 것이다. 결코 파월 국군에 해로운 기사는 안 쓰겠지만 그렇다고 사실이 아닌 국군 파월 찬양이나 미화의 글을 쓸 수는 없다.” 그 뒤에도 또 한 차례 전국 신문의 다른 부의 부장단의 행차 뒤에 외신부장단의 ‘국비시찰’ 여행이 제공되었으나 그때도 마찬가지로 이야기를 끝냈다.


발행인: 김효순(리영희재단 이사장) 


리영희 재단 카카오채널 추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