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
N e w s l e t t e r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인구구조 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연구하는 기관으로
민간기업과 학계등 다양한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한미연 소식
2023년 제1차 인구 2.1 세미나 개최
지난 4월5일 제1차 미래인구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인구증가를 위한 제언’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는 인구증가를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의 필요성과 인구정책 전담기구 구성, 전략과 계획 수립 등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 일시 : 2023년 4월 5일(수) 07:00
  • 장소 :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오크룸
이슈 돋보기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이민확대’ 정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민확대 정책이 하나의 선택지라면, 올바른 정책 방향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민확대 정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해소하고 우리나라 인구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올바른 이민정책 도입 방안을 강구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뉴스 브리핑
숫자로 보는 인구
45.0
2022년 우리나라 중위연령

중위연령이란 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중앙에 있게 되는 사람의 해당 나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은 4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의 연령을 총인구수로 나누어 구하는 평균연령과 달리 연령대의 편차나 쏠림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질적인 중간값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평균연령이 중위연령보다 높으면 인구구조가 고령인구에 치우쳐 있고, 반대로 낮으면 젊은 인구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80년에는 21.8세에 불과했던 중위연령이 매년 증가하여 30년 사이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중위연령은 인구구조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로 중위연령의 상승은 곧 고령화를 의미한다.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2060년에는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이 60세를 넘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도서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


미래 활로는 인구혁신으로, ‘타이밍은 5년뿐’

이 책은 인구통계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의 거시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인구절벽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경제, 일자리, 도시 정책, 사회실험, 주거 생활, 교육, 복지,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기업이 인구문제 해결에 나서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 저자: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
  • 출판사: 블랙리쉬
  • 발행일: 2022년 2월 15일 
주요행사

대한민국이 계속되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소멸되는 최초의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한 David Coleman 명예교수(옥스퍼드대 인구학과) 초청 행사를 5월 17일과 18일 양일간 진행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인구감소 문제를 조명하고 향후 과제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이번 행사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미연 후원안내
(사)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kppif2022@gmail.com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7길 36 도심공항타워 9층, 070.7118.2281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