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께 블록체인, 가상자산, NFT 업계의 주요 이슈를 정리해드립니다.
◼︎ 주요 토픽
  ▪︎ 메이플스토리 꺼내든 넥슨의 블록체인 전략, 거래소보다 메타버스로
  ▪︎ 몸값 올라가는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들
  ▪︎ 미국 가상자산 규제 기관, SEC에서 CFTC로 바뀌나?
 ◼︎ 메이플스토리 꺼내든 넥슨의 블록체인 전략, 거래소보다 메타버스로

  게임 업계에 다시 한번 블록체인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게임사죠, 넥슨이 이번주 개최한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NDC)에서 블록체인 진출 선언을 했습니다. 그것도 핵심 게임인 메이플스토리를 통해서요.

  여기서 잠깐 메이플스토리를 정리해볼께요. 메이플스토리는 2003년 첫 출시된 MMORPG 장르의 게임으로 올해 서비스 19년을 맞는 대표적인 장수 게임 중 하나입니다. 수명만 보면 어깨를 겨룰 수 있는 게임이 리니지 정도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메이플스토리는 오랜 기간 동안 수명만 이어왔다고 보기가 어렵구요, 2020년까지도 꾸준히, 아니 오히려 제2의 전성기를 누렸다고 할 수 있을만큼 오랜 기간 동안 계속해서 많은 게이머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포브스 코리아가 작년에 선정한 파워 경제 유튜버인 중년게이머 김실장에서도 심심치 않게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아직도 쌩쌩한 현역인데다가 대표작이기까지 한 게임을 꺼내든 넥슨의 의도는 무엇일까요? 바로 블록체인에 그만큼 진.심.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겠죠. 일단 100%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엔씨소프트에서도 대표 게임인 리니지에 블록체인을 적용하겠다는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쏟아지는 블록체인 게임 향연에도 조용히 와신상담하던 넥슨이 판세를 일거에 뒤엎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넥슨이 꺼내든 블록체인판 메이플스토리도 다른 블록체인 게임들과 뭔가 다릅니다. 우후죽순처럼 쏟아지는 게임 플랫폼, 그리고 플랫폼 코인이란 말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구요. ICO나 NFT 프리세일과 같은 말도 전혀 없습니다. 대신 그 자리를 가상세계, 그리고 자유로운 창작이라는 개념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의, 사용자에 의한 게임과 서비스, 생태계라는 설명과 함께요.

  이는 네이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라인 링크의 초기 시절을 떠올리게 합니다. 링크도 라인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상 개념으로 코인을 제공한다는 토큰 이코노미에 따라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시작했었습니다. 링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폐쇄성이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이념과 맞냐는 비판도 많았지만 현재도 이같은 노선은 계속해서 지켜지고 있습니다. 넥슨도 거래소를 통한 코인과 NFT의 매매보다는 이를 수단으로 삼아 이른바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의 게이머 만족을 높이고 그에 따른 게임 이용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략을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넥슨은 이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 얘기 또한 하나도 꺼내지 않았고 오로지 NFT를 매개체로 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치라는 것은 거래 상대방 또는 시장의 합의에 의해 설정됩니다. 합의라는 것은 다수의 동의에 기반한 것이니 자유와는 일부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넥슨이 그려내는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가 이같은 자유와 동의의 시스템을 어떻게 구현해낼 것인지 매우 궁금합니다. 다른 게임들이 모범 사례로 꼽을만큼 훌륭한 그림을 그려주길 기대합니다.
 ◼︎ 몸값 올라가는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들

  테라 프로젝트의 몰락, 가상자산 약세장의 시작, 디파이의 성숙 등 다양한 이유로 최근 블록체인의 온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들의 몸값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위메이드, GS퓨처스가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블록포어의 초기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블록포어는 이번 투자로 330만달러(한화 약 43억원)를 조달했습니다.

  블록포어는 디파이 특화 정보 취합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 폴리곤, 팬텀, 아발란체 등 여러 체인들의 디파이 앱들의 정보를 대시보드 형태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취합, 재구성함으로써 투자자들이 디파이 관련 가상자산의 가격과 유동성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최근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대시보드 앱들이 빈번하게 등장하는데요. 그만큼 가상자산, 디파이 업계의 정보 비대칭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이같은 멀티체인 정보 취합 서비스는 블록포어 뿐 아니라 디뱅크 등 여러 곳에서 일찌감치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입니다. 관건은 얼마나 여러 체인을 지원하느냐, 얼마나 깊이있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느냐겠죠. 블록포어는 유동성과 총보유자산(TVL) 순위 뿐 아니라 러그풀과 같은 해킹 피해 정보도 추가 가공해 제공하는 것이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이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 서비스가 등장해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분야의 가시성을 높여주길 기대합니다. 
 ◼︎ 미국 가상자산 규제기관, SEC에서 CFTC로 바뀌나?

  미국 내 가상자산 규제 기관이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로 바뀔수도 있어 보입니다.미국 상원 의원에서 관련 내용이 담긴 법안이 발의됐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가상자산의 규제와 이와 관련한 소송은 SEC가 담당해왔습니다. 아직까지도 진행되는 리플과의 소송도 그렇고 이번 루나 가격 폭락과 관련해서도 SEC에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를 대상으로 소환장을 발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EC에서는 기관의 특성상 가상자산에 대해 증권성 여부를 주요 이슈로 상정하고 그에 따른 규제와 소송을 진행해왔습니다. 게리 갠슬러 SEC 위원장도 이에 대한 얘기를 여러번 언급했구요. 주로 증권성 여부에 따른 규제와 절차를 준수해주길 요청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주관 기관이 CFTC가 된다면 얘기는 또 달라집니다. CFTC의 주 관심사는 증권성 여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CFTC에서는 가상자산을 증권이 아닌 상품으로 보구요, 미국 내 상품거래법에 따라 거래소와 파생상품의 규제와 특히 불공정거래행위 등을 주요 이슈로 상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CFTC가 주관 기관이 된다면 정보의 비대칭과 그에 따른 거래상의 불공정 행위 등이 주요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구요. 각 가상자산 거래소별로 운영되는 마진 또는 선물 등에도 면밀한 관찰이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도 꽤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동안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규제는 제도권 편입 내지는 증권성 여부 등이 가장 큰 틀로 간주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CFTC의 규제가 진행되면 국내에서도 그동안 금기어로 여겨진 가상자산의 선물 거래가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특금법 개정안만이 유일한 준수 사항이었던 가상자산 거래소에 또다른 주문이 더해질 수도 있겠습니다. 루나의 가격 폭락과 테라의 몰락이라는 큰 변고를 치른 가상자산 시장에 업계와 투자자 모두를 아우르는 적절한 규제가 논의되길 희망합니다.
매일경제의 블록체인, NFT, 가상자산 전문 자회사인
엠블록입니다.
가상자산에 관심있는 님의 친구들에게 엠블록 뉴스레터를 소개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에 대한 문의는 newsletter@m-block.io
가능합니다. 
엠블록 뉴스레터에서는 가능한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뉴스레터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판단과 그에 따른 결과는  모두 구독자 개인에게 귀속됨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엠블록컴퍼니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매경미디어센터빌딩 8층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