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주 에듀코카(EDUKOCCA)
📌 우리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가상을 현실로, Virtual Studio의 모먼트>
📌 11월 콘텐츠플러스+로 만나보기, 모두를 위한 즐거움 - 배리어프리
📌 게임사가 궁금하다면...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 - 게임人, 게임 in>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기술>

최애그룹, 너무 제 눈앞에 있는거 아니에요🌞

- 최애그룹 완전체 무대에 신이 난 김에듀


케이팝 애호가 김에듀의 최애 그룹 한 멤버가 최근 크게 다쳤다. 컴백 무대에서 완전체 모습을 보지 못하게 되어 아쉬워 하던 김에듀. 하지만 컴백 무대에서 볼륨메트릭 기술로 구현된 완전체의 모습을 보고 크게 감동한다. 그러다 볼륨메트릭과 같은 버추얼 프로덕션이 무엇인지 궁금해지는데...🧐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버추얼 스튜디오는 무엇일까’라고 질문을 받는다면, 흔히들 일기예보 스튜디오와 같이 초록색 또는 파란색으로 가득 찬 크로마키 스튜디오를 떠올림.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은 이처럼 과거부터 사용한 용어로 시각화 등 여러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음.

 

라이브 액션 버추얼 프로덕션은 목적과 기술의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

  1. 시각화(Visualization)
  2. 퍼포먼스 캡처(Performance capture)
  3. 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Hybrid Green Screen Live)
  4. 풀 라이브 LED 월(Full Live LED Wall)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시각화(Visualization)

시각화(Visualization) 관련 최근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부분은 프리비즈(Pre-Visualization). 프리비즈는 시나리오의 특정 신을 사전 시각화한 영상으로 예전에는 프리비즈를 선택적으로 사용했다면 지금은 필수로 활용하고 있음.

프리비즈는 연출적인 레이아웃과 컷을 판단하기 위해 활용하며 목적에 따라 피츠비즈, 테크비즈, 스턴트비즈, 버추얼 스카우팅, 포스트비즈 등으로 나누어 활용.

  • 피츠비즈 | 투자 펀딩을 위해 작품의 톤앤매너를 담은 시각화 영상
  • 테크비즈 | 세트제작 카메라 레이아웃 등 기술적인 부분 점검, 촬영 설계 및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 스턴트비즈 | 스턴트 액션을 시뮬레이션 영상
  • 버추얼 스카우팅 | 로케이션 및 세트를 가상 환경에서 시각화하는 작업으로 가상 공간에서 세트를 구축하고 측정 및 상호작용을 확인 
  • 포스트비즈 | 촬영된 장면에 VFX 요소를 가합성하며 일차적인 완성을 확인해보는 영상

 

포스트비즈는 최근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촬영이 완료된 결과물을 검토할 때, 제작진 사이에 의견이 달라 재촬영을 하게 되면 시간과 예산, 인력 측면에서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포스트비즈는 이를 극복하는 기술로 후반 작업 시 정착화되어 많이 시행되는 중. 이렇듯 시각화 기술은 기존 제작하던 방식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으로 작품을 만들기 위해 활용되고 있음.

데이터로 구현하는 움직임, 퍼포먼스 캡처(Performance capture)


퍼포먼스 캡처(Performance capture)는 사람의 움직임을 디지털 신호로 보내 그래픽으로 옮기는 기술. 모션 캡처(Motion Capture), 페이셜 캡처(Facial Capture), 풀 바디 애니메이션(Full body Animation),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 카메라 트래킹(Camera Tracking) 등이 여기에 속함.

 

모션 캡처와 페이셜 캡처는 실제로 사람의 움직임과 표정을 가상의 데이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기술. 방식에 따라 광학식, 자기식, 관성식(자이로) 등으로 나뉨.


포토그래메트리는 사진 측량 기술로 가상 또는 현재에 존재하는 멈춰있는 구조체(건물, 인간 등) 등을 현실과 가깝게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로 확장.

* 디지털 트윈 : 현실 공간의 구조나 가동 상황 등을 가상공간에 구축해 리얼한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하지만 포토그래메트리는 ‘사진’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한계를 지님. 이런 한계를 극복하며 움직이는 부분까지 데이터로 만들어 구현하는 기술이 볼륨메트릭(Volumetric) 비디오 기술. 배경 및 인물, 사물 등을 다각도에서 촬영해 입체영상으로 만드는 기술로 움직임을 캡처해 영상으로 구현하며 포토그래메트리의 한계를 극복.

상상은 현실이 된다,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시각화 기술과 퍼포먼스 캡처,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카메라 트래킹 기술이 발전해서 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Hybrid Green Screen Live)로 발전. 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는 그린 스크린 영화 촬영기법과 CG 요소를 합성하는 카메라 트래킹 활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서 크게 두 개로 나뉨.

 

첫 번째는 리얼타임 하이브리드 버추얼 프로덕션(Real-time Hybrid Virtual Production)으로 고품질의 CGI 기술이 카메라의 움직임에도 대응하며 실시간으로 합성되어 결과물 바로 얻을 수 있는 기술. 보통 후반 작업 없이 바로 결과물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두 번째는 포스트 프로듀스드 하이브리드 버추얼 프로덕션(Post-produced hybrid virtual production)으로 후반 작업을 염두하고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하는 방식. 촬영 이후 편집, 합성, 보정과 같은 후반 작업은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소요됨. 포스트 프로듀스드 하이브리드 버추얼 프로덕션은 크로마키 상태, 배경 레이아웃, 타이밍 등 후반 작업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현장 스텝과 소통할 수 있게 돕는 기술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임.

 

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에서 좀 더 발전된 것은 풀 라이브 LED 월(Full Live LED Wall). LED 월 기술은 LED 화면에 실시간으로 배경을 구현하는 기술로 과거에 영화가 시작되면서 발전된 매트페인팅(Matte Painting)* 기술에서 프론트(Front)/레어(Rear) 프로젝션 기술*이 LED 월로 발전하며 대체되고 있음. 이처럼 한정된 LED 화면에서 카메라가 움직이는 대로 대응되는 그림이 바로 LED에 나타나는 인카메라 VFX(In camera VFX) 기술이 최종적으로 이야기하는 버추얼 프로덕션 제작기술. 

* 매트페인팅(Matte Painting) : 매트 페인팅은 실사 촬영이 어려운 영화 속의 특정 공간을 묘사하는 그림

* 프론트 프로젝션(Front Projection) : 스크린 앞에서 영사기로 사진 혹은 움직이는 화면을 영사하고, 그 화면을 배경으로 배우들이 연기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기술

* 레어 프로젝션(Rear Projection) : 정지된 또는 움직이는 배경을 미리 촬영한 후 반투명 영사막 뒤에서 영사하고 연기자는 이 장면을 배경으로 그 앞에서 연기를 하여 합성 화면을 만드는 촬영기법

📝 요약하자면..!

  1. 버추얼 프로덕션은 가상 제작 기술로 구조적 특징에 따라 1)시각화(Visualization) 2) 퍼포먼스 캡처(Performance capture) 3)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Hybrid Green Screen Live) 4) 풀 라이브 LED 월(Full Live LED Wall) 4가지로 나눌 수 있음.

 

  1. 시각화, 퍼포먼스 캡처, 하이브리드 그린 스크린 라이브, 풀 라이브 LED 월과 같은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은 기존 제작 방식보다 체계적으로 작품을 만들기 위해 활용되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음. 


* 본문은 <가상을 현실로, Virtual Studio의 모먼트> 내용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이길보라, #김지우(aka 굴러라 구르님), #배리어프리
콘텐츠 플러스+와 함께 배리어프리🔍에 대해 알아보세요.
[콘텐츠플러스 "모두를 위한 즐거움" 강연 포스터]  상세한 내용은 신청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기업 현직자가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 - 게임人, 게임 in>

10월 에듀코카(EDUKOCCA)에서는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 바로수강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게임회사 인사/재무부터 기획, 밸런스 디자인, 프로그래밍, 소싱, 서비스 운영에 이르는 각 전문 분야까지~! 게임회사 현직자들을 바로수강 콘텐츠로 만나보세요. 🙋‍♀️🙋‍♂️
재무, 투자 - 송대현
경영학과 졸업 후 재무담당자로 게임회사에 입사.대표이사로 게임개발 PM까지 섭렵한 25년 차의 1세대 게임인. 현재 게임 전문 개발사에서 재무, 투자, 개발관리 담당 중.
게임 기획 - 하상석
인디 게임 개발사를 15년 간 운영 중. 대표이면서 동시에 메인 기획 및 디렉터 역할을 겸하고 있는 올라운드 플레이어. 약 50여개 게임의 기획을 맡아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
👩‍🏫 에듀코카 추천 강의!
ESG 경영의 이해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거버넌스 Governance, ESG 경영의 기초 개념부터
ESG 경영 도입을 위한 핵심 시스템까지!🌐
ESG 성과 창출을 위해 기억해야할 모든 것💡
#ESG #환경 #사회 #거버넌스
얁대리✍🏻  면과장👩‍🎨  냥주임🕵‍♀
한국콘텐츠진흥원 에듀코카(EDUKOCCA)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6310-0770
수신거부 Unsubscribe
Copyrightⓒ 에듀코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