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신학자 #89 생각하는 일을 멈추지 마세요
#90 하나님의 함께하심이 가장 큰 복입니다
#91 로완 윌리엄스의 글쓰기
#92 장 칼뱅의 편지 |
|
|
독자님, 안녕하세요.
전원희입니다.
성서학 또는 해석학을 공부하신 분들이 자주 언급하시는 말이 있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to us)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를 위해(for us) 주어졌다.” 다시 말해, 성경은 현재 우리와 시간이나 문화 등 간극이 크지만, 성경은 여전히 오늘도 우리를 위해 의미를 주고 유효하다는 설명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위해 주어진 성경을 유의미하게 읽기 위해 성경과 끊임없이 대화해야 합니다. 성경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을 듣기도 해야 하고, 우리의 상황에 비추어 성경을 보기도 해야 하지요.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미가 무엇일까?’ ‘그 의미가 오늘날 나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총 6번에 걸쳐 히브리어 수업이라는 주제로 구약에 나타난 이야기를 다루었습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제 글을 본 독자님의 느낌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이달의 신학자를 통해 독자님과 소통할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했으면 좋겠습니다. 샬롬!
|
|
|
생각해 보면, 하나님은 사람들을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주신다거나 시련을 겪지 않게 해주시지 않습니다. 그처럼 하는 것은 하나님의 방식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분께서는 그 시련 가운데에서 그분만의 특별한 은총의 증거를 보여주셔서, 그 시련들 자체가 그 사람들에게 즐거운 축제의 기회가 되게 하십니다.
-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
|
요셉은 하나님께 큰 복을 받은 사람이라고 우리는 평가합니다. 아마도 대부분은 그가 올라간 자리 그리고 그가 누렸던 삶 때문에 그렇게 평가할 것입니다. 물론 업적이 사람의 삶이나 인생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겠지만, 과연 성경은 어떻게 이야기할까요? 요셉이 그런 삶을 살 수 있었던 이면에는 당연히 하나님의 은혜가 있었겠지만 성경은 그 이야기를 어떻게 표현할까요? 요셉 이야기의 상당히 많은 본문에 반복되는 문장이 있습니다.
|
|
|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하시므로wayhi YHWH ‘et-yosep 그가 형통한 자가 되어 그의 주인 애굽 사람의 집에 있으니 그의 주인이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하심을 보며 또 여호와께서 그의 범사에 형통하게 하심을 보았더라(창 39:2-3)
|
|
|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하시고wayhi YHWH ‘et-yosep 그에게 인자를 더하사 간수장에게 은혜를 받게 하시매 (창 39:21)
|
|
|
간수장은 그의 손에 맡긴 것을 무엇이든지 살펴보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심이라YHWH ‘itto 여호와께서 그를 범사에 형통하게 하셨더라(창 39:23)
|
|
|
이처럼 ‘여호와께서 함께하신다wayhi YHWH ‘et-yosep’라는 것이 요셉이 받은 가장 큰 복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각 본문을 히브리어로 살펴보겠습니다.
|
|
|
바이히wayhi
창세기 39장 2절의 첫 번째 단어는 동사 ‘바이히wayhi’입니다. 히브리어 동사는 조금 복잡합니다. 왜냐하면 동사 안에 주어, 시제, 의미, 목적어가 모두 붙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문법 분석을 정확하게 한 뒤 번역해야 합니다. 본문에서 이 단어의 문법 분석은 칼 동사 / 바브 미완료 연속법(Wayyiqtol) / 3인칭 / 남성 / 단수 입니다. 히브리어 동사에서 바브 연속법이 사용되면 시제를 반대로 적용합니다. 그래서 바브 미완료 연속법이라면 완료로 번역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 단어의 어근은 ‘하야hayah’입니다. 의미는 ‘-있었다’, ‘-되었다’ 등이 있습니다. 이 문법 번역을 따라 첫 단어를 해석하면 ‘그가 있었다’, ‘그가 되었다’가 됩니다.
|
|
|
야웨YHWH
두 번째 단어는 흔히 ‘신성 사문자’로 부릅니다. 바로 하나님의 이름인 ‘야웨YHWH’입니다. 그리고 이 야웨는 바로 앞 동사의 주어가 됩니다. 다음 단어 ‘에트’et’는 같은 형태로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을/를’, 또 다른 하나는 ‘-와 함께’ 입니다. 히브리어 단어들은 의미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맥락에서 가장 적절한 의미를 선택해야 합니다. 본문에서는 ‘-와 함께’가 더 어울립니다.
|
|
|
요셉yosep
마지막 단어는 ‘요셉yosep’ 입니다. 이 단어들의 의미를 조합하여 번역하면 ‘야웨는 요셉과 함께 있었다’라는 의미입니다. 그것이 요셉이 형통한 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입니다.
|
|
|
두 번째 구절인 창세기 39장 21절은 앞선 절과 형태가 같습니다. 세 번째 절인 창세기 39장 23절은 앞선 절과 조금 다릅니다. 첫 단어는 앞에서 본 신성 사문자 ‘야웨YHWH’ 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단어 ‘잇토’itto’는 ‘-함께’라는 의미인 전치사 ‘에트’et’과 3인칭 남성 단수 대명사 접미사 ‘오o’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그래서 의미는 ‘그와 함께’가 됩니다.
하지만 이상합니다. 두 단어 의미를 합쳐도 ‘야웨, 그와 함께’ 이렇게밖에 의미가 나오지 않아 문장이 완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어 문법에선 이런 문장을 ‘명사 문장’이라고 부릅니다. 동사가 없기 때문이죠. 이럴 때 하나의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앞에서 언급했었던 ‘하야hayah’ 동사가 있다고 생각하고 번역하는 겁니다. 물론 시제는 앞선 동사의 시제를 맞춰야 합니다. 히브리어 문법에서는 명사 문장일 때, 하야 동사를 임의로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합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은 ‘야웨께서 그와 함께 있었다’라는 번역이 가능합니다.
위의 본문들에서 확인했듯이 하나님은 요셉과 함께하셨습니다. 그런데 뭔가 특별함이 보입니다. 왜냐하면 요셉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순간마다 “야웨께서 함께하신다”는 말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오직 해설자를 통해서만 이 말이 등장하는데, 해설자는 요셉이 홀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독자들에게 분명하게 전하고 싶어 했던 것 같습니다.
|
|
|
이런 복이 요셉에게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요셉의 선조였던 아브라함, 이삭, 야곱도 경험했던 복입니다. 먼저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보겠습니다. 아브라함이 사라와 함께 그랄에서 머물 때, 그랄 왕 아비멜렉은 아브라함의 아내인지 모르고 사라를 데려갔습니다. 사실은 아브라함이 자신의 목숨을 보호하기 위해 사라를 누이라고 속였기 때문이죠. 그 밤에 하나님께서는 아비멜렉의 꿈에 나타나셔서 사라를 보호하십니다. 이 일로 놀란 아비멜렉은 사라를 아브라함에게 돌려보냅니다. 그리고 중요한 사실 하나를 알게 됩니다.
|
|
|
그 때에 아비멜렉과 그 군대 장관 비골이 아브라함에게 말하여 이르되 네가 무슨 일을 하든지 하나님이 너와 함께 계시도다’elohim ‘immeka (창 21:22)
|
|
|
아비멜렉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함께하신다는 사실을 분명이 알게 되었습니다. 아비멜렉의 말을 히브리어로 살펴보겠습니다.
|
|
|
엘로힘’elohim
첫 단어는 ‘엘로힘’elohim’이고, 하나님입니다. 너무 잘 알려져 있는 단어입니다.
|
|
|
임메카’immeka
두 번째 단어는 ‘임메카’immeka’입니다. 이 단어는 두 개의 단어가 합쳐져 있습니다. 하나는 ‘-와 함께’라는 뜻의 ‘임im’이고, 또 다른 하나는 2인칭 남성 단수 대명사 접미사인 ‘카ka’입니다. 전치사 뒤에 대명사 접미사가 붙어 있기 때문에 ‘너와 함께’라고 번역합니다. 두 단어의 의미를 합치면 ‘하나님, 너와 함께’가 됩니다. 이번에도 문장이 완성되지 않는 명사 문장입니다. 앞서 본 것처럼 이럴 때는 ‘하야hayah’ 동사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너와 함께 있다’로 번역합니다. 요셉에게 사용되었던 전치사와 다르지만 의미는 같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도 함께하셨음이 분명합니다.
|
|
|
이삭 이야기에서도 같은 내용이 등장합니다. 이삭이 기근으로 그랄에 머물며 농사를 하였는데, 하나님의 은혜로 큰 복을 이루어 거부가 되었습니다. 이에 그 지역의 왕 아비멜렉은 그로 하여금 떠나게 합니다. 그래서 이삭은 그랄 골짜기에 거류하며 우물을 팠는데, 그랄 목자들과 다툼이 일어나 그 우물을 포기합니다. 그래서 다른 곳을 팠는데 그곳에서도 다툼이 일어나 포기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 우물을 팠을 때는 다툼이 일어나지 않았고, 이것은 여호와의 은혜라고 고백합니다. 그 후에 브엘세바로 올라간 이삭에게 하나님이 나타나셔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
|
|
그 밤에 여호와께서 그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나는 네 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니 두려워하지 말라 내 종 아브라함을 위하여 내가 너와 함게 있어’itteka ‘anoki 네게 복을 주어 네 자손이 번성하게 하리라 하신지라(창 26:24; 또한 창 26:28)
|
|
|
하나님이 이삭과 함께 있을 것이라는 약속의 두 단어를 살펴보겠습니다.
|
|
|
잍테카itteka
첫 단어 ‘잍테카itteka’에는 두 단어가 있습니다. 하나는 ‘-와 함께’인 ‘에트’et’, 또 다른 하나는 2인칭 남성 단수 대명사 접미사 ‘카ka’ 입니다. 그래서 ‘너와 함께’라는 뜻이 됩니다.
|
|
|
아노키anoki
두 번째 단어인 ‘아노키anoki’는 1인칭 단수형인 인칭대명사입니다. 뜻은 ‘나’입니다. 그래서 두 단의 의미를 합치면 ‘너와 함께, 내가/나는’이 됩니다. 이 문장도 동사가 없는 명사 문장입니다. 그래서 ‘하야hayah’ 동사를 넣고 번역하면 ‘나는/내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삭에게도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있었습니다.
|
|
|
아노키anoki
두 번째 단어인 ‘아노키anoki’는 1인칭 단수형인 인칭대명사입니다. 뜻은 ‘나’입니다. 그래서 두 단의 의미를 합치면 ‘너와 함께, 내가/나는’이 됩니다. 이 문장도 동사가 없는 명사 문장입니다. 그래서 ‘하야hayah’ 동사를 넣고 번역하면 ‘나는/내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삭에게도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있었습니다.
|
|
|
마지막은 야곱입니다. 야곱은 형과의 갈등을 피해 외삼촌 라반이 있는 밧단아람으로 향합니다. 좋지 않은 일로 가족과 고향을 떠나니 그에겐 얼마나 큰 두려움이 있었을까요? 잠시 피곤을 잊기 위해 여정 중에 돌을 베고 잠을 청합니다. 그런데 그의 꿈에 하나님이 나타나십니다. 환상과 함께 들려온 하나님의 음성을 그는 똑똑히 들었습니다.
|
|
|
내가 너와 함께 있어anoki immak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너를 지키며 너를 이끌어 이 땅으로 돌아오게 할지라 내가 네게 허락한 것을 다 이루기까지 너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신지라(창 28:15; 또한 창 31:3, 42; 35:3)
|
|
|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하신 말씀은 자신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들었던 말과 똑같았습니다.
|
|
|
아노키anoki
두 단어로 이루어진 말씀을 보면, 첫 단어는 ‘나’라는 뜻의 1인칭 단수 인칭대명사 ‘아노키anoki’입니다.
|
|
|
임마크immak
두 번째 단어 ‘임마크immak’에는 두 단어가 있습니다. ‘-와 함께’라는 뜻의 ‘임’im’, 2인칭 여성 단수 대명사 접미사 ‘크k’ 입니다. 야곱은 남성인데 어떻게 2인칭 여성형이 사용되었을까요? 히브리어는 문법상 종종 반대되는 성을 사용하기에 문맥에서 판단해야 합니다. 문맥에서는 야곱을 지칭하는 것이 명확하기 때문에 해석의 변화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나는/내가 너와 함께’라는 문장이고, 이 문장 역시 명사 문장이기 때문에 ‘하야hayah’ 동사를 추가하면 ‘나는/내가 너와 함께 있을 것이다’로 번역 가능합니다.
|
|
|
그렇다면 요셉처럼 누가 봐도 부러워할 만한 자리에 올라야 하나님의 복을 받았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브라함은 비록 속임수를 썼지만 그만큼 생명의 위협을 당할 수도 있는 곳에서, 이삭은 억울하게도 우물을 계속 빼앗기다가 멈춘 자리에서, 야곱은 집과 고향과 가족을 떠나 극심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상태에서, 요셉은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경험했습니다. 하나님은 가장 필요한 순간 가장 필요한 것으로 그들을 채우셨습니다. 이 복이야말로 족장 이야기 전체에 흐르는 복이자, 우리가 가장 바라보아야 할 복입니다.
|
|
|
독자님과 소통하며 함께 <이달의 신학자>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오늘의 뉴스레터를 어떻게 읽으셨는지 독자님의 생각과 전원희 선생님에게 하고 싶은 말을 보내 주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