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활동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파일럿 연구> 약식 결과보고회
 지난 2월 24일, <돌봄활동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파일럿 연구> 약식 결과보고회가 진행되었습니다. 보고회에는 온 회원 및 외부 단체 활동가를 포함하여 40여명이 함께 참여하여 의미 있는 논의를 나누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가족 및 시설 중심 돌봄을 넘어 '청소년이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게 살아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온에서는 단순히 '집을 얻는 것'을 넘어서 '탈시설/탈가족' 이후의 삶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자 했습니다. 안정적으로 보이는 주거지를 마련한 이후에도 여전히 불안정한 삶이 지속되는 청소년의 삶을 마주하며, 돌봄에 대한 보다 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절감했습니다.  

 시설(성)이 사라진 자리에 남는 것은 무엇일까요? 본 연구는 '돌봄 관계'에 주목합니다.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인간)의 취약성(상처 입을 가능성)은 연결될 사람과 장소가 없을 때 위기로, 고통으로, 피해로 실현"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서로 의지하되 한 사람, 한 사람의 고유성을 침범하지 않는 무수한 돌봄 관계/들, 그리고 이러한 관계의 숲이 무성해질 수 있도록 사회(국가)의 체질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방향임을 제시합니다.  

 올해, 온에서는 인권교육센터 들, 서울시립 십대여성일지원센터 나무,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열림터,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활동가들과 함께 2013년-2015년 인권교육센터 들 빈곤청소년 팀에서 지역아동센터 대상으로 진행한 '성교육'을 개정·증보해 돌봄 교육 과정을 새롭게 구성하여 시도할 예정입니다. 

 시간과 몸 밖에 자원이 없는 빈곤 청소년에게 섹슈얼리티는 주요한 키워드일 수밖에 없습니다. 관계와 생존이 별개일 수 없는 현실에서 친밀한 관계에서 오는 폭력은 늘 청소년과 활동가를 곤란하게 만듭니다. 섹슈얼리티는 청소년의 삶 전체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관계 형성과 섹슈얼리티 문제를 고민하며, 폭력과 거절 연습 등을 포함한 교육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돌봄'이 단순한 보호가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고 회복하는 과정으로 기능할 수 있길 바랍니다. 


앞으로 진행될 돌봄활동가 교육 개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집 밖에서 북적북적_구립 문정 1동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의 이야기>

📚집 밖에서 북적북적 코너에서는, <청소년 주거권 수다회, 3년의 기록_집 밖에서 집을 찾다>, <청소년 주거권 수다회, 희곡_내 숨이 내 발등에 닿을 때> 책을 읽은 독자들이 남겨준 후기를 연재합니다. 도란도란 모여 청소년들이 수다를 나누었던 말들에 이어, 끄적끄적 기록한 독자들의 후기들이 연결되어 갑니다. 청소년의 이야기를 듣고 난 후 각자의 마음에 남겨진 것은 무엇인가요? 모두의 주거권으로 연결되는 투쟁의 길을 함께 이어가봅시다!


두번째 북적북적 후기는 구립 문정1동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분들의 이야기 입니다. 글의 전문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청소년이기에 보장 받지 못하는 청소년 주거권, 청소년 인권들에 대해 더욱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속한 학교나 구립 문정1동 지역아동센터에서 청소년의 당연한 권리를 위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말할 수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_최혜인

<청소년 주거/자립지원 정책 총정리>

청소년이 받을 수 있는 주거지원은 뭐가 있을까? 주거지원 정보는 어디에서, 어떻게 찾아볼 수 있을까? 저희처럼 막막하셨던 분들 계신가요?🙈


온에서는 청소년의 주거 및 자립을 지원하는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2024년, '청소년 정책 리서치팀'을 조직하여 흩어진 정보를 모으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


주거 및 자립지원제도가 관할부처마다 다르기도 하고, 지역별로 지원 내용의 차이가 있기도 하고, 연령 등 기준에 따라 지원내용이 상이하기도 하고요... 청소년지원현장에서 청소년과 활동가가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청소년 주거 및 자립 지원 제도가 필요한 분들과도 함께 나누고 싶어 온에서 만든 자료를 공유합니다 😊


🏳️‍🌈 참고해주세요!

- 최신 정보가 계속 변경되고 있으므로 본 자료는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빠지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어요. 참고용으로만 확인해주세요. 

- 지원내용과 제도는 계속 변하기도 하고 새롭게 생기고 있어요. 온도 계속해서 자료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자료를 보시면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지 온으로 연락 주세요.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2-3월 활동소식 >
  • 250202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창립 2주년
  • 250204 주택세임자 집담회 토론
  • 250205 관악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주거분과 회의
  • 250205 청소년성소수자지원센터 띵동 이사회
  • 250206 서울시립 십대여성일시지원센터 나무 운영위원회
  • 250211 돋움위원회
  • 250212 '주거 119(온 복덕방)' 협력 위한 기관 미팅_부천일시청소년쉼터(고정형,별사탕)
  • 250213 가정 밖 청소년 보호를 위한 청소년 쉼터 입소 절차 개선을 위한 내부 간담회
  • 250213 주거권네트워크 회의
  • 250214 연대와 돌봄의 법 보고서 발표회
  • 250217 '주거 119(온 복덕방)' 협력 위한 기관 미팅_관악늘푸른교육센터
  • 250219 '주거 119(온 복덕방)' 협력 위한 기관 미팅_서울시립신림남자단기쉼터
  • 250219 청시행 운영위원회의
  • 250220 '주거 119(온 복덕방)' 협력 위한 기관 미팅_서울시립일시청소년쉼터 작은별 (이동형,동남)
  • 250224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전체모임
  • 250224 '돌봄활동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파일럿 연구' 약식 결과 보고회
  • 250225 국회의원 임미애 의원실 미팅(가정 밖 청소년 보호를 위한 청소년 쉼터 입소 절차 개선 관련) 
  • 250227 학생 제지·분리 법제화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규탄 기자회견
  • 250227 SK 행복나눔재단 인터뷰 (Table Talk_청소년을 위한 콘크리트 유토피아)
  • 250308 3.8 여성대회 참여
  • 250309 사회개혁특위 대토론회 참여
  • 250311 다시함께상담센터 운영위원회
  • 250313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20주년 기록모임 
  • 250314 청소년 1주기 추모식 참여
  • 250317 윤석열 즉각 퇴진 긴급시국선언 기자회견
  • 250319 관악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주거분과 회의
  • 250320 청시행 운영위원회의
  • 250325 '주거 119' 청소년 집 다시보기 프로젝트_(전)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지수 미팅
  • 250325 '주거 119(온 복덕방)' 협력 위한 기관 미팅_관악청소년자립지원관(이용형, 들꽃)
  • 250326 온 길라잡이_천주교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
  • 250326 국가인권위원회 홍보협력과 인터뷰
  • 250327 국가인권위원회 간담회(가정 밖 청소년 주거권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권고 관련)
  • 250327 돌봄 교육 개발팀 회의
  • 250331 (가)모두를 위한 탈시설사회 촉구 기자회견 제안 회의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정기후원자로 함께 해주세요>
정기후원 
강선주 강정은 고은채 공현주 곽빛나 구지혜 국현 권성용 권수민 권영실 김가현 김나희 김남연 김민영 김민재 김보림 김선혜 김시연 김윤배 김윤지 김은주 김정민(최어진) 김정하 김지나 김지수 김태희 김현정 김현주 김혜민 나영 남원석 닻별 대용 류수민 마한얼 무밍 민지희 박민영 박민진(한낱) 박소영 박아름 박연주 박예진 박옥심 박유리 박정화 박중원 박찬욱 배경내 백송시원 변미혜 서종균 성보란 성유진 소라미 송지은 신지혜 양지혜 유민상 유여원 유원선 유호정 유훈희 윤미희 윤형주 이나경 이나리 이도경 이동현 이선미 이수진 이윤경 이은미 이정규 이정주 이제호 이주언 이한재 이현진 이현진 이호연 임소연 장한성 전소희 전혜원 정민석 정유정 정제형 정찬송 조만성 조선희 조영선 조은희 최영순 최지희 최홍복 추주희 탁선형 한상원 한선경 황대택 황인성 황인형 황준협 황혜신 후리 (총 106명)

일시후원(25.02~25.03)
AINSWORTH 권순대 김민재 김성수 김해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김효숙 동동 비모 성동훈 신세 안희제 오경옥 우리동네노동권찾기 원 자옥 조재윤 지구 진냥 최경화 홍시 황성철      

청주넷 온을 후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시후원 : 우리 1006 - 301 - 559027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 온
yhousingrights@gmail.com
02-863-8346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