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학기술인을 위한 커리어뉴스
2023.12.19 W브릿지 트렌드레터 No.45
본 메일은 엣지 및 크롬에서 최적화되어있습니다.
🎙️여성친화적 조직과 문화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이야기를 확인해보세요!
🚩촉매 연구로 탄소중립을 이끄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를 만나보세요.
📢여성과학기술인 3대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20년간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성과를 살펴보세요.
자세한 사항은 트렌드레터 본문에서 확인해주세요.
💡 DIWITH! 현장 리포트, KRIBB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디위드] 여성이 대우 받는 여성친화적 조직과 문화, KRIBB

바이오는 현재 미래 기술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삶과 산업의 방식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꾸는 혁신기술로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대응하는 우리나라 대표 바이오 분야 기관입니다. 조직문화 개선을 통한 조직 활성화를 필수로 보고, 여성 과학기술인들에 주목합니다. 여성 인재들이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여성친화적 조직문화 및 근무환경 개선에 나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것이 곧 성과로 이어지리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 She Did It! 이시대의 여성과학기술인
촉매 연구로 탄소중립을 이끌다, KAIST 생명과학공학과 이현주 교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많은 소재와 약 등은 모두 일종의 화학제품이다. 이전처럼 석유에서 이런 화학제품을 만들게 되면 땅속에 있던 탄소가 땅 위로 올라와서 결국에는 이산화탄소가 되어 대기 중에 쌓여 기후변화의 원인이 된다. 원래 땅 위에 있던 바이오매스나 이산화탄소로 화학제품을 만들게 되면 소위 말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촉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연료전지나 수전해의 핵심적 소재로도 사용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재생 가능한 자원을 활용해 대체 제품을 생산하는 '탄소 중립'을 이끌어 가는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과학기술 커리어 트렌드 1분 체크
인공지능이 가져온 초개인화된 식문화
인공지능이 의료, 교육 등 분야에서 더 나아가 식품산업에서까지도 활용되고 있다. 식품산업 속 AI는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초개인화 된 형태의 식음료 정보를 이용자가 받아 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활용하게 하며 다양한 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인공지능과 식품산업의 시너지를 알아보자.
휴머노이드, 가능성에서 현실로
103년 전, 로봇이라는 단어가 세상에 등장했다. 그리고 로봇은 현재 우리 세상에 없어서는 안될 단어가 되었다. 다양한 로봇의 형태 중에서도 왜 휴머노이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지, 휴머노이드를 활용해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어떤 일들을 해낼 수 있는지 알아보자.
🔥 곧 신청 마감! 이 달의 행사/이벤트 일정
📰 놓치면 아쉬운 채용 정보
🔍 여성과학기술인 주요 정책이슈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성과 20년 도표

공과대학 여학생 비율제고를 위한 유입 확대 정책, 사회진출 장벽 해소를 위한 적극 고용개선 정책, 육아기 남녀 과학기술인의 연구-가정 양립 지원 정책,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 복귀 및 경력 누수 방지 정책. 모두 여성과학기술인을 위한 정책입니다.

도표를 통해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이 가져온 20년간의 성과를 돌아봅니다.

👩‍🔬 이공계 여성이라면 W브릿지에서 모두 무료!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02)6411-1000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2관 6층


여성과학기술인의 창의적 역량 및 잠재가치가 발현되는 사회,
복권기금 및 과학기술진흥기금과 함께 만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