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아버지와 산책을 하면서 하나 둘 씩 피는 꽃을 보며 어떤 꽃은 언제 피는지 이야기를 했어요. 그러면서 꽃에 관련된 음악, 추억, 시, 잘 모르는 과학 생태계 종 체계를 공부해야하는데... 하던 생각도 떠오르더라구요. 바쁜 와중에도 꼭 꽃을 보기 위해 우리는 봄이면 이쁘게 옷을 입고 친구, 가족, 연인들과 나들이를 나가고 사진 찍기에 정신이 없죠. 여러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봄 꽃은 무엇인가요?

Index
1. 🌸 봄 꽃 이야기
2.🌷 오늘의 단어: 꽃-flower-花-華
3.🫢 단계별 문장 "‘봄이 되면 외로워"
4. 🗺️ 다양하게 표현해보기
1. 🌸 봄 꽃 이야기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꽃들부터 보자면, 2월 말에서 3월 초에 제일 먼저 피는 애들이 있죠. 매화는 추위 속에서도 고결하게 핀다고 해서 "인내"라는 꽃말을 갖고 있고, 산수유는 노란 꽃으로 봄을 외치며 "희망"을 전해주죠. 바람꽃이나 할미꽃은 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해 놨다가 살짝씩 피어나는데, 할미꽃은 "기다림"이란 뜻도 있어서 옛날 할머니들이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담았다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이들은 추위에 강해서 봄의 전령처럼 제일 먼저 펴요!
        
3월 중순쯤 되면 날이 풀리면서 개나리, 목련, 진달래 같은 꽃들이 본격적으로 나오죠. 개나리는 "기대"라는 꽃말처럼 노랗게 물들며 봄을 환영하고, 목련은 "고귀함"을 상징하며 하얗게 피어나요. 진달래는 산에서 잘 자라는데 "사랑의 기쁨"이란 뜻이 있어서인지 예부터 시인들이 많이 노래했죠. 그러다 4월이 되면 벚꽃이 대스타로 등장하면서 "삶의 덧없음"을 속삭이고, 튤립은 "사랑의 고백"으로 화려하게 봄 절정을 장식합니다. 이 시기 꽃들은 따뜻한 햇빛과 토양 덕에 에너지를 뿜어내는 느낌이 있습니다.
        
늦봄으로 넘어가면 4월 말부터 수국이나 백합이 슬슬 얼굴을 내밀죠. 수국은 물을 좋아해서 "변덕"이란 꽃말과 함께 습한 날씨에 잘 어울리고, 백합은 "순수"함으로 마지막 봄을 빛냅니다. 장미도 이 무렵 피기 시작하는데, "가시 있는 아름다움"이란 뜻이 중국에서 전해졌고, 우리나라에선 사랑과 열정을 상징하며 여름까지 이어지죠. 꽃마다 피는 때와 이야기가 다 달라서, 봄하면 떠오르는 꽃이 각자 다를 것 같아요.


2. 🌷 오늘의 단어: 꽃-flower-花-華

(1) Flower

"Flower의 어원은 인도유럽어 bhel- (번성하다, 꽃피다)에서 시작됐어요. 라틴어 'flos'를 거쳐, 1200년대에 'flour'로 영어에 처음 나타났고, 1300년대 후반에 'flower'로 굳어졌죠!

- 이 라틴어 'flos'는 유럽 곳곳에 퍼져서 이탈리아어 'fiore', 스페인어 'flor', 프랑스어 'fleur'가 됐어요—다 '꽃'이란 뜻이에요.
- 재밌는 건, 'flos'가 '최고의 부분'을 뜻해서 중세엔 곡식의 제일 고운 부분, 그러니까 'flour' (밀가루)도 같은 뿌리라는 거예요!
- 이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들은요?
  - 🌱 성장과 생명: bloom (꽃피다), blossom (꽃/꽃피다), blade (잎/칼날)
  - ❤️ 피와 축복: blood (피), bleed (피흘리다), bless (축복하다)
  - 🌸 꽃과 그 결과: floral (꽃의), florist (꽃장수), flour (밀가루)

(2) 花-華

한국어 '꽃'의 어원은 '곳' (장소, 특정 부분)에서 소리가 변해서 생겼다는 가설이에요. '곳'이 식물의 '끝부분'인 '꽃'으로 바뀌었죠. 1459년 월인석보에서 '꽃이 피어'로 처음 나와요! 한자에선 '꽃'을 花로 쓰죠. 원래는 華에서 후세에 바뀌었다고 해요—같은 '꽃'이란 뜻이죠!
- 재밌는 건, 花는 '풀(艹)'과 '사람이 자세를 바꾸는 모습(化)'이 합쳐졌어요. 풀이 자라며 원래 모양에서 색과 형태가 바뀐 게 꽃이란 거죠! 한편 華는 '벼(禾)'와 '많음(十)'으로, 곡식이 익어 화려하게 빛나는 모습을 뜻했는데, 나중에 풀(艸)이 더해져 무성한 식물을 강조했어요.
 - 단어들!
  - 🌼 꽃과 변화: 花분 (꽃 그릇), 개花 (꽃피다), 花투 (꽃놀이-전통놀이)
  - 🎇 화려함과 번영: 華려 (화려하다), 華사 (화려하고 사치스러움), 중華 (중국이 세계 문명의 중심)
  - 🎉 시간과 축하: 華교(해외 정주하는 중국 사람), 화갑(61세)—華가 61(획-十×6+一)을 뜻(환갑)


3. 🫢 단계별 문장 (아래 드래그하여 정보를 보기 전 내 문장을 한 번 생각해보세요)

1단계: 봄 외로워. Spring, lonely.
2단계: 봄, 나 외롭다고 느껴 Spring, I feel lonely.
3단계: 봄이 오면, 나는 외롭다고 느껴. When spring comes, I feel lonely.
4단계: 봄이 오면, 이유는 모르겠지만 왠지 외롭다고 느껴져.
When spring comes, I don’t know why, but I feel kinda lonely.
5단계: 봄이 오는 소리를 속삭일 때, 왜인지 모르겠지만, 내 마음이 조용한 외로움에 떠도는 것 같아
As spring whispers its arrival, I can’t tell why, but my soul drifts in quiet loneliness.


4. 🗺️  다양하게 표현해보기
1️⃣ 코미디언/예능인 스타일 (유쾌하고 약간 과장된 톤)
 👉 "Oh man, spring is here! Flowers! Sunshine! But… wait… why do I feel a little down? Weird, right?"
- 해석: 오 맙소사, 봄이 왔어! 꽃이 피고! 햇살이 반짝이고! 근데… 잠깐… 왜 내가 좀 우울하지? 이상하지 않아?

2️⃣포멀한 스타일 (격식 있는, 간단명료 표현)
👉 "As spring arrives, I find myself experiencing an inexplicable sense of solitude."  
- 해석: "봄이 다가오면, 나는 설명할 수 없는 외로움의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3️⃣영국 귀족 스타일 (고풍스럽고 격식 있는 표현, 약간 셰익스피어 느낌
👉"Ah, with the advent of spring, one might expect a sense of renewal, yet I find myself curiously melancholic."
- 해석: "아, 봄의 도래와 함께 사람들은 새로움의 감각을 기대할지도 모르나, 나는 이상하리만치 우수에 젖어 있음을 느낀다."

맺음말 (노래제목과 콜라주를 누르시면 유튜브 링크로 이어집니다.)
🌺봄 고전 대중가요
🌼봄의 현대 K팝
아이유 - 라일락(2021)


🍪 과학지식

생물학적 분류 체계(카를 린네(스웨덴 식물학자)-1735년, [Systema Naturae] 기원)

- 8가지: 역계문강목과속종
 (1) 영어로 기억하기! Dear Kate, Please Come Over For Good Soup
     (친애하는 케이트, 좋은 수프를 먹으러 와 줘)
(2) 한국어로 기억하기!

 역시 계속 문을 강하게 (두드리면), 목소리 과하게 (커지고 서로) 속상해서 종종 (안보게된다)


    -역 (Domain 域)
        - **域**은 "경계"나 "영역"
        - 그리스어 "oikeion" (주택, 거주지)에서 유래
    - 계 (Kingdom, 界)
        - 界는 "경계"나 "구분"
        - 라틴어 "regnum" (왕국, 통치)에서 유래
    - 문 (門, Phylum): 생물 분류의 큰 그룹.
        - 門은 "문"으로, "입구"나 "큰 틀"
        - 그리스어 "phylon" (종족, 부족)에서 유래
    - 강 (綱, Class): 틀을 잡는 단계.
        - 綱은 "밧줄"이나 "큰 윤곽
        - 라틴어 "classis" (집단, 계급)
    - 목 (目, Order): 세부 특징을 보는 단계.
        - 目은 "눈"으로, 세부 특징을 "보는" 단계
        - 라틴어 "ordo" (순서, 질서)
    - 과 (科, Family): 가지처럼 나뉜 그룹.
        - 科는 "가지"나 "분야", 분류가 가지처럼 갈라짐
        - 라틴어 "familia" (가족, 가문),
    - 속 (屬, Genus): 속한 집단.
        - 屬은 "속하다", 같은 특성에 "소속된" 집단
        - 라틴어 "genus" (출생, 기원), 공통 기원을 가진 그룹.
    - 종 (種, Species): 개별 종류.
        - 種은 "씨앗"이나 "종류", 개별 단위
        - 라틴어 "species" (모습, 종류), 구체적 외형



참고자료
https://www.etymonline.com/
[우리한자808(2021)] 이기훈
https://hanja.dict.naver.com/
유튜브-링크 및 채널 각 자료마다 첨가

사뿐언어독학
tigrisview@gmail.com
수신거부 Unsubscribe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