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각 8월 29일, 그레이스케일이 SEC를 상대로 한 GBT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에 대한 소 본 시리즈는 지난 7월 Xangle에서 주최한 <Adoption 2023> 행사에서 논의된 세션 내용을 토대로 사견을 더하여 작성된 시리즈이며,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1부에서는 시장의 변화를 논하며 Web2 기업들이 Web3 환경으로 전환하고 있는 흐름과 그 배경 살펴보고, Web3 도입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2부에서는 서비스의 변화를 짚어보며 이와 동시에 발생한 서비스와 사용자(혹은 고객)의 관계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마지막 3부에서는 Web3 mass adoption을 위해 사용자 경험 설계 측면에서 주요하게 동작하는 몇 가지 키워드를 논의하고자 합니다.
블록체인의 도입은 Play to Earn(P2E)에서부터 시작되어, Move to Earn(M2E), Learn to Earn(L2E)으로 이어지며 게임화(Gamification)가 필요한 모든 곳에서 시도되었습니다. 서비스에서 원하는 사용자의 행동을 수익성을 연결 지어 ‘X to Earn’이라는 모델로 명명하며, 이는 한때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당연한 장치로 활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서비스 개시 직후의 사용자 획득과 유지 (User Acquisition & Engagement)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후발주자가 많은 리스크를 떠안아야 하는 <X to Earn> 모델의 한계가 점차 드러나면서 이는 지속 불가능이라는 큰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아직까지 이를 타파할 수 있는 서비스 (killer service)가 나오지 못한 듯 보입니다. 덧붙여 최근 뉴스를 통해 알려진 여러 부정적 이슈들로 인하여 Web3와 블록체인은 많은 사람들에게 신뢰를 잃었고,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므로 개인적으로는 ‘Web3 환경 내에서 새로운 시도가 과연 가능할지’, ‘과연 사용자들의 오해(misconception)를 이겨내고 대중화 일로에 들어설 수 있을지’ 반신반의하는 감정이 늘 앞섰습니다.
하지만 <Adoption 2023>을 통해 Web2 브랜드가 Web3 환경으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브랜드의 수명 주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전환의 과정에서 고민해야하는 몇가지 이슈를 기업의 관점으로 포착하여 논의하고자 합니다. |
|
|
미국의 가상자산 자산운용사인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Grayscale Investment LLC)가 BTC(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와의 소송에서 승소하며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약 6% 급등하였습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콜롬비아특별지구(D.C.) 연방 항소법원은 SEC가 그레이스케일의 BTC 현물 ETF 출시를 불허한 조치는 부당하다고 판결하였으며, 이에 따라 SEC는 그레이스케일이 제출한 BTC 현물 ETF를 재심사해야만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은 자사의 신탁상품 '그레이스케일비트코인신탁(Greyscale Bitcoin Trust, GBTC)'을 비트코인 현물 ETF로 전환해고자 SEC에 신청하였지만 SEC는 지난 해 6월 이를 기각한 바 있으며, 그레이스케이른 그에 따라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GBTC란 기관 투자자에게 돈을 받아 비트코인을 대신 구입한 후 증권의 형태로 주식을 판매하는 상품으로, 환매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물 ETF와 차이점을 갖습니다.
이번 판결에서 법원은 특히 SEC가 BTC 현물 ETF와 BTC 선물 ETF를 검토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했다고 전해졌습니다. 법원은 그레이스케일이 제출한 비트코인 현물 ETF가 기초 자산과 함께 감시 공유 계약(surveillance-sharing agreement)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이미 승인된 비트코인 선물 ETF와 유사하므로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사기 또는 조작 행위를 적발할 가능성 역시 동일해야 한다"며 이는 SEC가 주장하는 "비트코인 선물 거래는 안전 장치가 있지만, 현물 시장은 그렇지 못하다"는 주장이 비논리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법원은 의견서를 통해 "SEC의 그레이스케일의 BTC 현물 ETF 신청 거부는 비슷한 제품에 대한 서로 다른 판결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으며 임의적이고 변덕스럽다"고 말하며 "따라서 법원은 그레이스케일의 재심 청원을 받아들이고 SEC의 명령을 무효화한다"고 판결하였습니다.
SEC는 향후 45일 이내에 세 명의 판사 모두에게 재심리를 요청할 수 있는 전원합의체 심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45일이 지나면 법원은 추후 일정 등 대한 세부 사항이 포함된 최종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
|
|
USD Coin(USDC)은 미국 달러 가치와 연동된 오픈소스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유에스디코인(USDC)의 발행사 서클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9월 베이스 메인넷 기반의 USDC를 발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베이스 기반 USDC가 공식적인 USDC로써 추후 유동성이 증가함에따라 현재 이더리움 기반의 브릿지 USDbC 유동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클은 현재 출시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스케줄에 맞춰 브릿지 USDbC에서 USDC로 전환하는 방법과 에코시스템 앱에 대한 세부 사항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더리움 기반 브릿지 USDC
-토큰 심볼: USDbC -토큰 컨트랙트 주소: 0xd9aAEc86B65D86f6A7B5B1b0c42FFA531710b6CA
서클이 발행한 네이티브 USDC
-토큰 심볼: USDC -토큰 컨트랙트 주소: 0x833589fCD6eDb6E08f4c7C32D4f71b54bdA02913 |
|
|
이더리움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실행 레이어 사양(Ethereum Execution Layer Specification, EELS)을 공개했습니다.
이더리움 실행 레이어 사양(EELS)이란 가독성 및 명확성에 중점을 둔 이더리움 실행 클라이언트의 핵심 구성 요소로 파이썬으로 구현한 레퍼런스입니다. 개발자 친화적으로 구축된 EELS는 상태 태스트를 채우고 실행할 수 있으며, 메인넷을 따르고 새로운 EIP를 포로토타이핑할 수 있습니다.
EELS는 포크를 포함한 각 포크의 프로토콜의 완전한 스냅샷을 제공하므로 EIP 및 프로덕션 클라이언트보다 쉽게 팔로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그레이스케일, SEC 상대로 승소! 비트코인 현물 ETF 가능성 ⬆️?🌤 |
|
|
현지 시각 8월 29일, 그레이스케일이 SEC를 상대로 한 GBT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에 대한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이에 트위터에서는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앞다투어 해당 소식을 전하며, 향후 파급력에 대해서 분석하고있습니다. 법원은 SEC가 이미 변동성이 더 높은 비트코인 선물 ETF를 승인했기 때문에, SEC에게 그레이스케일의 GBT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전환 거절에 대한 이유가 적절하지 않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표적인 유명 인플루언서 @adamscochran은 해당 판결로 인해 “SEC는 1. 결정을 연기하고 가짜 이유를 제시한다, 2. 승복하고 승인한다, 3. 항소한다, 세 가지 선택지만이 남았다”고 언급했습니다. @adamscochran은 “법원이 SEC가 거절의 근거를 뒷받침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반복해서 지적한만큼, 항소는 법원을 화나게 할 수 있다”고도 분석했습니다.
|
|
|
한국 가상자산 전날 대비 1.71% 상승 지난 주 대비 2.14% 상승 |
NFT/게임 전날 대비 3.38% 상승 지난 주 대비 2.45% 상승 |
|
|
디파이 DeFi 전날 대비 2.29% 상승 지난 주 대비 1.24% 상승 |
가상자산 TOP 30 전날 대비 4.08% 상승 지난 주 대비 5.13% 상승 |
|
|
다양한 온체인 지표들을 볼 수 있는 Xangle Analytics에서 니어 프로토콜과의 협업을 통해 구축한 니어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를 출시했습니다!
이번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는 투명하고 심층적인 인텔리전스를 제공함으로써 니어 프로토콜 생태계의 발전을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습니다. 이제 쟁글 애널리틱스에서 니어 프로토콜 대시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1개의 니어 프로토콜 체인 핵심 지표를 추가하여 쟁글 애널리틱스는 니어 프로토콜 생태계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니어 프로토콜의 생태계의 성장 추이와 펀더멘탈을 직접 확인해 보세요!
|
|
|
실시간 유통량 모니터링 서비스인 쟁글 라이브워치에 위믹스에 이은 두번째 적용 사례로 '썸씽(Somesing, $SSX)'이 온보딩되었습니다. 프로젝트의 유통계획과 온체인 데이터 교차검증을 통해 보다 투명하게 프로젝트의 유통량 관리 현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쟁글 라이브워치에서 다음의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주요 지표 프로젝트 유통량 현황 개요
2️⃣ 전체 유통계획 이행현황 프로젝트 유통계획과 온체인 유통량 비교
3️⃣ 지갑별 보유계획 이행현황 프로젝트 지갑별 보유 계획 및 온체인 보유량 비교
4️⃣ 분배계획 프로젝트의 초기 분배계획 정보 확인
라이브워치에서 프로젝트별 유통량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보세요. |
|
|
Xangle Event TOP 5
어제(8.29)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가진 TOP 5 Xangle 이벤트 입니다. |
|
|
No. 1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쟁글'에서 평일 오전에 매일 보내드립니다. |
|
|
Copyright © CrossAngle All rights reserved.
|
|
|
|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76, 13층 (역삼동, 강남 8258빌딩) 대표자: 이현우, 김준우 | 사업자등록번호 255-88-0107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0-서울강남-02393 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