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골 노리 락은 시각디자인방에서 꾸준히 작품활동을 해요. 

이번에는 뭘 해볼까 고민 끝에 나만의 웹툰을 그리고, 

세월호 10주기 추모작품을 만들기로 했어요. 


지난해 락은 비엔날레도 방문했어요. 

그곳에서 귀한 작품하나를 발견해요. 

시각장애인 청소년이 오직 촉각으로만 그린 ‘코 없는 코끼리’ 작품을요.

‘아, 그림은 마음을 표현해 내는 하나의 매개구나!’


자신만의 정의를 내린 락은 

친구 지니와 함께 마음을 모아 

세월호 추모작품을 그렸어요. 


“첫 번째 방 : 부모의 옷은 점점 늘어나는데, 여전히 교복 하나로 멈춰있는 자녀의 옷

 두 번째 방 : 수학여행 간다고 설레며 동전을 채웠던 돼지저금통

 세 번째 방.. 네 번째 방...”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고 어느새 열 번째 봄이에요. 

자식 잃은 슬픔을 어찌 다 헤아릴 수 있을까요.   

그럼에도 락과 지니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했어요. 


우리는 세월호 참사 후 다른 봄을 살아가고 있어요. 

락과 지니가 세월호를 잊지 않고 그림으로 그린 것처럼 

각자의 방식으로 세월호를 기억하기로 해요. 


삶디도 늘 잊지 않고 함께 행동할게요,🎗️.


[글로컬 네트워킹] 덴마크 실케보그 시민학교와 삶디 청소년팀이 만났어요! 떡볶이도 요리하고, 클레이로 각 나라의 조형물도 만들고, 광주근교도 함께 걸었지요. 낯설지만 재미난 에피소드 한 가득이에요.

[삶디동] ‘어렵게 생각 말고 무작정 친구들과 영상을 찍어봐요!’  노리 눙은 삶디동 활동 후 영상제작학과로 진학했어요. 3편의 창작 영상을 미니극장에서 상영했는데요, 함께 모인 노리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눴을까요?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내가 바라는 내가 되고 싶다면? 그때부터 나를 위해 시간을 내고, 공간을 바꾸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보아요.

3월 마지막 날 랄랄라홀에 모여 배움을 찾아 나선 청주프 노리들처럼요!

[N개의 방과후 프로젝트] 매주 목요일 저녁에 60여 명의 노리들이 삶디 여섯 공방에서 프로젝트를 해요. 함께 모인 첫째 날, 별칭을 물어보고, 어떤 과정에 참여하게 됐는지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어요. 

[음식공방] 학교 텃밭에 토종작물을 심고 기르면 조만간 수확할 날 오겠지요? 3월부터 11월까지 함께 할 6개 동아리가 삶디에 모였어요. 계절별로 텃밭 농사 잘 짓고, 요리하는 날 우리 또 만나요!

[공유부엌] 음식공방 청소년 작업자 이랑은 올해 농사를 짓고, 요리 또는 음식을 주제로 작업하기로 결심했어요. 3월에는 봄나물 요리와 팔삭타르트를 만들었다는데, 이랑의 공유부엌 일기 함께 읽어볼까요?

삶디가 더 궁금한 당신에게 👀
4월 호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호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피드백은 더 좋은 월간삶디를 만듭니다. 💌

월간삶디, 내 피드백을 받아랏.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
hello@samdi.or.kr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60번길 31-37 062-232-1324
‘읽지 않은 메일’은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발생시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