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한 죽기를 원하십니까?
<소셜 코리아>는 (재)공공상생연대기금이 상생과 연대의 담론을 확산하고자 학계, 시민사회, 노동계를 비롯해 각계각층의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웹사이트오마이뉴스, 여러 포털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소셜 코리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클릭!
  💡 Insight  문제 분석부터 현 정책 비판, 대안 제시까지

존엄하게 죽기를 원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것들


🔵 안락사라는 용어와 달리 존엄사는 1975년 미국에서 탄생했다. 존엄사는 항구적 식물인간 상태(PVS)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연명의료가 무의미한 임종환자와는 다르다. 

🔵 임종환자에 대한 의료행위를 중단하는 것은 의사의 임무에 속한다. 그러나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환자 자기결정권의 핵심은 임종기 이전이라도 의료행위를 거부하는 경우 그 뜻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 의사조력 자살은 직접적인 자살할 권리를 인정해야 허용할 수 있지만 현행 형법의 입장에서 쉬운 일은 아니다. 독일, 스위스는 우리나라와 달리 형법에서 자살 관여 행위를 원칙적으로 처벌하지 않기 때문에 허용될 뿐이다.

🔵 연명의료 결정법은 임종환자로 대상 환자를 제한한다. 금전적인 이유로 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 대상이 아닌 PVS 환자는 본인이 사전에 연명의료의 중단을 요청했다고 하더라도 중단할 수 없고, 그 비용도 환자 본인 또는 가족이 부담해야 한다. 임종환자가 아니면 살아야 할 의무를 부과하면서 그 비용도 부담시키는 셈이다.

🔵 연명의료 결정법의 개정방향은 의사조력 자살의 허용이 아니라 임종환자 이외의 환자에게도 연명의료 중단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전제가 있다. 최소한 환자가 의료비 걱정 없이 결정할 수 있는 환경부터 국가가 만들어야 한다. 
이석배 /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View  |  현안을 꿰뚫는 날카로운 시선
전쟁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가자지구를 보라

🔵 이스라엘은 2005년 평화협정에 따라 가자지구에서는 유대인 정착촌을 폐쇄하고 군대도 철수했다. 그 대신 6m가 넘는 높이에 65km 길이의 콘크리트 장벽을 설치했다.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길은 2개의 검문소 외에는 없다.

🔵 가자지구는 이스라엘이 공급하는 전기, 수도, 생필품으로 연명하는데, 이스라엘은 이 통로도 계속해서 축소했다. 잦은 폭격에도 불구하고 복구 작업은 원조 물자 부족과 이스라엘의 방해로 진척이 없다. 거리엔 오물이 넘쳐나고, 유일한 발전소는 수시로 전기 공급이 차단된다. 이런 봉쇄가 무려 16년째 계속되고 있다.

🔵 가자 인구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18세 미만의 아이들은 지난 16년간 한번도 평화로운 세계를 본 적이 없다. 울면서 잠이 들고 깨어나면 또 극도의 긴장과 공포 속에 우는 아이들이 존재하는 한 하마스는 절멸시킬 수가 없다. 바로 이 아이들이 자라서 하마스가 되기 때문이다. 

🔵 어떤 세력도 가자지구의 어린이와 여성들의 고통을 염려하지 않는다. 아우슈비츠에서 죽어간 유대인들의 절망에 연민을 느낀다면 가자지구에 봉쇄된 팔레스타인의 분노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박혜영 / 인하대 영문과 교수
  🔍 돋보기  |  더 가까이 들여다본 세상
3058명
18년째 제자리 의대 입학정원  

  • 우리나라 의대 입학 정원은 2006년부터 요지부동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우리와 인구가 비슷한 영국은 2020년에 8639명을 뽑았다. 두 배가 넘는다.
  • 그러다 보니 의사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한의사를 포함한 우리나라 임상의사 수는 인구 1천 명당 2.6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멕시코가 2.5명으로 가장 적고, 일본이 2.6명, 미국이 2.7명이다. OECD 평균은 3.7명이다. 
  • 반면 물적 자원은 넘친다. MRI와 CT 등 의료장비 수는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많고 병상 수도 OECD 평균의 약 2.9배에 이른다. 
  • 정부는 내년부터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고 하고 야당도 이견이 없다. 의사 단체는 역시나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과연 이번에는 윤 대통령의 뚝심으로 성사시킬 수 있을 것인가.
  🕙 최근 소셜 코리

👩‍💼👨‍💼 소셜 코리아를 만드는 사람들 

운영위원장 윤홍식(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운영위원 권혜원(동덕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명희(국립중앙의료원 데이터센터장) 김영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 김영미(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김정희원(애리조나주립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김철운((재)공공상생연대기금 집행위원장) 남종석(경남연구원 연구위원) 박정은(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신진욱(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오기출(푸른아시아 상임이사) 윤자영(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수현(킹스 칼리지 런던 정치경제학부 교수) 이창곤(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조현재(데이터 분석가) 주병기(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한귀영(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Hannes Mosler(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Timo Fleckenstein(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사회정책학과 교수)

책임편집위원 김중배(독립언론인)

고문 신광영(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이병훈((재)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장)

책임에디터 박형영(위키스토리 대표)   관리 강남규((재)공공상생연대기금 과장)


<소셜 코리아> 뉴스레터는 매주 금요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스팸처리되지 않게 하려면 social.corea@gmail.com을 주소록에 저장해주세요.
(재)공공상생연대기금
socialkorea.org / social.corea@gmail.com / Tel 02-730-1107 / Facebook 
(030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106 아카이브빌딩 5·6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