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 개발사들이 게임 개발 과정에 잇따라 최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화제입니다. 정형화된 게임 패턴을 넘어 보다 능동적인 게임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신작 개발에 AI 기술을 활용에 나섰습니다. 게임에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가 새로운 패턴을 학습해 매번 새로운 공략법을 활용케 하거나 NPC(논 플레이어 캐릭터)가 사람처럼 유저의 반응에 따라 유기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이같은 소식은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CES는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로 매년 업계에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는 장으로 활용돼 왔고, 올해는 엔비디아가 국내 게임사들과 개발 중인 주요 AI 기술들이 공개됐습니다.
우선 위메이드넥스트가 '미르5'에 등장하는 AI 보스 아스테리온을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는 양사가 지난해 6월부터 시행 중인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중간 결과물입니다. 머신 러닝과 소형 언어 모델(SLM)이 적용된 AI 모델을 파인튜닝(미세 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개발에는 엔비디아 에이스와 AI 추론 마이크로 서비스 NIM,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그래픽카드 지포스 RTX 5090 등이 활용됐습니다. 엔비디아 에이스는 엔비디아 AI 가상 캐릭터 개발 기술입니다. 아스테리온은 이용자 행동 패턴을 익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정교한 공격을 선보이게 됩니다. 양사는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추후 기술 확대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입니다.
크래프톤도 인생 시뮬레이션 신작 '인조이' 등에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CPC(Co-Playable Character)를 선보입니다. CPC는 크래프톤이 지난해 11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소개한 AI 혁신 기술입니다. NPC가 정해진 패턴에 따라 수동적인 반응을 보이던 기성 게임과 달리,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CPC는 엔비디아 에이스 기술로 구축된 게임 특화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크래프톤은 앞서 컨퍼런스콜을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업과 함께 SLM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새로운 기술 도입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CPC는 '인조이' 외에도 펍지 IP에 확대 적용될 방침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