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Trend Topic 정리📚
1. 클라우드 AI 인프라 시장, 연평균 32.4% 성장
2. 에너지 대기업, 고성능 슈퍼컴 도입으로 혁신 추진
3. 정부, 1분기 내 'AI컴퓨팅인프라 종합대책'
4. 2025년, AI반도체·바이오·양자 키운다 |
|
|
|
Trend Topic
클라우드 AI 인프라 시장, 연평균 32.4% 성장💫
마켓앤마켓이 발간한 보고서 '2029년까지 클라우드 AI 시장 전망'에 따르면 AI 인프라 수요가 증가하면서 클라우드 AI 시장도 고속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요. 글로벌 클라우드 AI 시장이 2029년까지 연평균 32.4% 성장한다는 전망이에요. 보고서는 "클라우드 AI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의 통합을 통해 기업이 AI 운영 인프라를 업무 및 운영 시스템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혁신을 주도하고 광범위하게 워크플로를 개선하고 있다. 클라우드 AI는 기존 시스템과 원활하게 통합되어 운영을 유연하게 만들고 비싼 사내 기술의 필요성을 줄여준다"라고 평가했어요.
해당 보고서에 2024년 803억 달러로 추정된 글로벌 클라우드 AI 시장 규모는 2029년 3,271억 5,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요.
▶ 클라우드 AI 인프라 시장 2029년까지 연평균 32.4% 성장
|
|
|
|
에너지 대기업, 고성능 슈퍼컴 도입으로 혁신 추진✨
이탈리아의 에너지 대기업 에니가 석유 및 가스 탐사를 위해 새로운 슈퍼컴퓨터를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이 컴퓨터는 FT의 보도에 따르면, 고성능 반도체인 AMD의 그래픽 처리 장치 약 1만 4천 개를 포함하여, 고속 연산 능력을 제공해요. HPC6라고 불리는 이 슈퍼컴퓨터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 목록에서 477페타플롭스의 속도로 5위를 차지했는데요. 목표는 프로세스를 통해 새로운 석유 및 가스 매장지를 찾아내고, 동시에 청정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이에요.
FT는 석유 회사들이 오랜 기간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진 데이터를 해석하고, 자원의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며 여러 운영에 AI 기술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했어요. AI와 슈퍼컴퓨터의 결합으로 에너지 산업에서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어요.
|
|
|
|
정부, 1분기 내 'AI컴퓨팅인프라 종합대책'🚩
정부가 새해 1분기에 'AI 컴퓨팅 인프라 종합대책'을 수립해요. AI 3대 선진국 도약을 위해 인프라 확충, 사업화와 상용화 기반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인데요. AI 컴퓨팅 인프라 종합대책에는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의 내용이 담겨요. 새해에 4천억 규모를 지원해 NPU, PIM 등 AI 반도체 R&D를 지원하며 향후 센터를 구축할 때 국산 AI 반도체를 도입한다는 방침이에요. 아울러 AGI R&D와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 내용 등이 담겨요.
AI와 함께 3대 게임체인저로 꼽히는 바이오와 양자 분야 투자도 집중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국형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혁신전략과 디지털바이오 육성을 위해 상반기 내 AI 기반 바이오 혁신 전략을 세우고,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를 구축한다고 해요.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발표했어요. 이번 계획의 총 예산 규모는 작년 대비 21.2% 증가했는데요. 지난해 우주항공청이 개청하면서 올해에는 관련 분야 예산이 제외됐어요. 분야별로는 과학기술분야와 ICT 분야가 전년 대비 각각 23.6%, 12.9% 증가했어요.
올해 과학기술 분야의 경우 AI반도체, 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육성과 미래 유망원천기술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맞춤형 정밀의료 등 융합연구 투자에 집중해요. 또한 글로벌 핵심 공급망 확보를 위한 나노·소재 R&D를 고도화하고 극한 환경에서 활용되는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도 지원해요.
또한 ICT 분야의 경우 3대 게임체인저 기술 및 차세대통신,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혁신 기술 확보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에요.
|
|
|
|
Clunixmktg@clunix.com | 02-3486-5896(0302) 서울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 하이테크시티 1동 1206-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