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글에서는 이번 ZK Night와 Polygon Connect 방문을 통해 ZK 솔루션의 미래를 엿보았으며, ZK 쟁글에서는 이번 ZK Night와 Polygon Connect 방문을 통해 ZK 솔루션의 미래를 엿보았으며, ZK 솔루션을 리딩하는 폴리곤이 한국 시장 진출에 얼마나 적극적인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Starkware 등 실제 서비스들이 운영중인 ZK 솔루션 대비 늦게 시작한 편이기도 하고, 아시아에 기반을 둔 폴리곤이기에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쟁글에서는 Buidl Asia, ETH Seoul, KBW Impact와 같이 지난주와 이번주에 열리는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했으며 관련 컨텐츠들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추후 작성될 방문기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메이커다오(MakerDAO)의 창립자가 룬 크리텐슨은 "진지하게 USD로부터 디페깅하는 것을 생각해 봐야 한다"라고 밝히며 약 35억 달러어치의 USDC로 ETH를 구매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최근 USDC의 발행사 써클이 미국 재무부와 협력하여 토네이도 캐시를 사용한 주소의 USDC를 동결하는 조치를 취했는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디파이 업계에서 탈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USDC로 ETH를 구매하는 것이 과거 테라가 BTC를 구매한 것과 같다는 비유로 비꼬기도 했는데요, 탈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가 커진 상황에서 디파이 시장은 어떻게 반응할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
|
|
지난 5월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원 글렌 웨일, 플래쉬봇 전략 고문 푸자올 하버와 함께 ‘탈중앙화 사회: Web3의 영혼을 찾아서’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들은 경제적 가치 교환은 인간적인 신뢰 관계에서 시작되는 반면, Web3 세상에는 사회 정체성이 없어 서로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없다고 지적했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한번 받으면 다시는 전송할 수 없는 NFT인 SBT(Soul Bound Token)를 제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Web2 세상에서 정체성을 증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신분증을 시작으로 SBT가 만들어낼 Web3 세상의 사회적 정체성에 대해 고민해 보았습니다. |
|
|
커브 파이낸스가 8월 9일 해킹 공격을 당해 57만달러 상당의 USDC 및 DAI를 탈취당했습니다. 해킹은 커브 파이낸스 웹사이트(curve.fi) 접속자들을 리라우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커브 파이낸스 측은 공격 감지 한시간 만에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공지했습니다. |
|
|
8월 11일, 이더리움 Goerli 테스트넷의 머지(merge, PoS통합)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테스트넷의 머지는 이더리움 머지 이전 마지막이자 가장 중요한 테스트넷 머지이며, 테스트넷 머지 결과에 따라 8월 중순에 정확한 메인넷 통합 날짜가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쟁글 한국 가상자산 전날 대비 0.32% 하락 지난 주 대비 4.83% 상승 |
쟁글 NFT 전날 대비 2.31% 하락 지난 주 대비 4.92% 상승 |
|
|
쟁글 DeFi 전날 대비 2.37% 하락 지난 주 대비 5.73% 상승 |
쟁글 가상자산 TOP 30 전날 대비 1.54% 하락 지난 주 대비 8.15% 상승 |
|
|
Xangle Intelligence TOP 5
어제(8.11)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가진 TOP 5 Xangle 인텔리전스 입니다 |
|
|
No. 1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쟁글'에서 평일 오전에 매일 보내드립니다. |
|
|
Copyright © CrossAngle All rights reserved.
|
|
|
|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76, 13층 (역삼동, 강남 8258빌딩) 대표자: 이현우, 김준우 | 사업자등록번호 255-88-0107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0-서울강남-02393 호 |
|
|
|
|